몬스터 1~18(완결) 세트
우라사와 나오키 지음 / 세주문화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사실 1,2권에서 벌어지는 사건과 사고들은 그다지 특이할 것이없는 평범한 이야기이다.
출세욕과 의사로서의 신념 사이에서 고민하던 한 의사가 고위층을 수술하지않고 한 어린 소년을 수술해 구출해 낸다는 이야기는 여러 휴먼드라마에 벌써 등장했을법하니까.
하지만 이 사건 이후로 그 소년 속에 들어있는 진정한 '몬스터'를 없앨 수 있었던 기회를 놓친 것이라는 걸 깨달은 의사는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리고 그 소년을 살려냈던 자신의 손으로 없애기 위해 길을 떠나게 된다.

결말은 이야기가 잔뜩 벌려놓은 것을 다 아귀짓지 못하고 약간 허덕대는 느낌을 준다. 맨 마지막 장면의 그 펄럭이는 흰 커튼 아래 비어있던 침상은 강한 이미지와 메세지를 전달하기 보다는 약간의 허무감이 느껴진다. 아마도 이 만화책의 가장 큰, 그리고 유일한 티 가 아닐까 싶다.

하지만 이 만화는 이런 결점을 감추고도 남을 만큼 훌륭한 이야기 전개로 독자들을 빨아들이는 힘이 있다. 대개의 소설이나, 만화, 희곡 등등 모든 문학 작품에서는 주인공이 여러명의 사람을 만난다고 하더라도 그 인원이 제한되어 있기 마련이다. 또 여러 사람들과 엮이더라도 그 사람들은 그냥 아무 의미없이 등장했다가 사라지고만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야기가 지나치게 산만해 지기 때문이다.

이 만화의 이야기를 만약 다른 작가가 그렸다면 역시 몇 안되는 등장인물로만 매듭지었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이 일이 우리가 직접 겪은 일이었다면 그렇게 적은 수의 사람들로만 이야기를 이끌 수 있었을까? 이 만화의 작가는 아주 많은 사람들을 이야기에 넣고 그들이 지나가게 만든다. 그렇지만 그들은 전혀 닮은 구석이 없는 다양한 얼굴들을 지니고 있고 또 모두가 만화 전개에 있어 중요한 역할들을 한다.(이렇게 많은 사람들을 잘 조절해낼 수 있었다는 건 작가의 역량이 아니었나 싶다) 그렇기 때문에 만화가 18권이나 되고 그 안의 내용도 절대 만만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루하다거나 판에 박힌듯한 스토리 전개로 흘러가지 않고 끝까지 느낌이 살아있다.

또, 요한이 직,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그 절대악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정신적인 고통을 겪게 되는 이야기들이 이 만화가 힘을 얻게 하는 요인이다.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후반부에 나오는 감정을 '거세당한' 또 하나의 인물인 글리터 씨가 고아원의 한 꼬마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눈물을 배운 이야기 였다. 마치 장면 하나하나가 모두 내 눈앞에서 펼쳐지는 것 처럼, 그 꼬마가 느꼈을 감정이 내가 느낀 감정처럼 와 닿았고 나 역시 글리터 씨 처럼 마지막 장면에서 눈물을 보였으니 말이다. 이렇게 요한으로 인해 사람들이 상처를 입고 또 치유해 가는 과정들은 허구적이지만 또 사실적인 요소들을 담고 있어 가슴을 쿡, 찌르고 간다.

이 만화의 교훈이나 깨달음은 사실 마지막 장면에서 얻을 수 있는 게아니다. 이렇게 요한을 찾아 죽이러 가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주변 인물들이 겪는 고통과 치유, 이 이야기들이 이 만화의 장점이고 이 속에서 교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