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여 땅이여 1
김진명 지음 / 해냄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전편이었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처럼, 거의 똑같은 전개구조와 사건의 수뇌부에 있는 세력들의 음도등등이 펼쳐지는 소설입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보다 분량도 적고, 어떤 '통쾌함' 이라 불리는 것이 덜하기 때문인지 독자들도 적은 것 같네요.

이번 소설에서 그는 해인사의 팔만 대장경을 들먹입니다. 전 이것을 보고 정말 화가 나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이게 아무리 소설이고, 따라서 허구속의 이야기라 하더라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서 처럼 많은 사람들이 착각할 소지가 있는 것이라면 잘 알아보고 썼어야 하는 게 아닐까요? 팔만대장경이 만들어진 고려시대에는 풍수지리학이 매우 성했했고 도교적 성향의 이야기가 물론 많았겠죠. 따라서 팔만대장경에는 순수 불교적 목적 뿐만이 아닌, 김진명씨 말 대로 다른 것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은 역시 일본에 대한 피해의식 때문인지, 몽고의 침입에 대항해 만든 팔만대장경도 일본과 연결이 되죠..

물론 소설속에서 작가가 어떻게 논하는가는, 전적으로 소설가의 자유이고, 또 허구의 세계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뭐라고 비판 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그는 그 정도가 지나쳤다고 생각합니다. 역사를 소재로 소설을 쓰려면 조금 더 사실에 기반을 둘 필요가 있지 않았을 까요? 이 소설을 읽는 어린 독자들은 제대로 된 역사를 배우기도 전에, 팔만대장경이 고려시대 일본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든 것이라는 생각을 갖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