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우리 문화 - 문화 속에서 한국사의 잃어버린 고리 찾기
이이화 지음 / 김영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대해서 처음 봤을때 유럽 중세 문화에 대해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있었던 와중이었답니다. 책에 대해서 보면서 "그래 우리나라 문화사도 좀 알아야하는것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 책은 저자의 의도와는 잘 부합되는듯합니다. "처음 만나는 우리 문화"라는 제목에 걸맞게 우리 문화의 여러 요소에 대해서 백과사전식으로 책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다채로운 우리 문화를 소개하고 싶어했는데 이런 많은 요소를 한정된 지면에 담으려면 아무래도 백과사전식 서술이 가장 좋은 방법이었겠죠.


하지만 이 책은 제 취향은 좀 아닌 책이더라구요. 가장 안 맞는 부분은 바로 백과사전식 편집입니다. 이것은 뭐랄까 책이 "통일된 주제를 위해 나아간다"라는 생각을 들게 하기 보다는 "각각의 부분적 요소를 강조"하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 문화의 통사를 읽고 있긴 하지만 "부분부분의 역사"를 읽고 있는 느낌이랄까 그런 느낌이 강했습니다.

예를 들면 의식주 문화에 대해서 설명했으면서 근대에 대해서 또 따로 설명하므로써 이전시대와 이후 시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것이 아니라 이전시대와 근대가 따로 떨어지는 느낌을 가지게 하는것입니다. 통사로써 우리 문화를 다루는것이라면 좀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어야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 백과사전식 편집에 많은 내용을 다룰려고 하다보니 상대적으로 기대했던것 보다 내용이 너무 짤막하게 구성되어있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문화 전체를 적당한 두께의 책 한권에 다 넣는다는것은 무척이나 힘든일이긴합니다.


이 책은 확실히 "우리문화"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유익할 듯합니다. 별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처음으로 읽기에는 무난한 책이었죠.(관심없으신 어머니 읽혀봤음) 하지만  관심있는 사람들이 읽기에는 뭔가 2%부족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중요한점은 과연 이 책을 사보는 독자들이 어떤 사람일까하는 점입니다. 대부분은 어느정도 "관심"을 가진 사람들일 가능성이 큼니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좀 실망스러운 책이 아닐까합니다. 


이 책의 독자층을 어떤 사람들로 설정했는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역사를 막 배우기 시작하는 학생들이 읽으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런 백과사전식 책을 하나 본다면 우리 역사나 문화에 대한 다른 부분을 이해하는것이 더 쉬울테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