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오마가린 왕자 도난 사건
필립 스테드 지음, 에린 스테드 그림, 김경주 옮김, 마크 트웨인 원작 / arte(아르테)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르테 출판사의 <잘 지내니>란 책을 인연으로 미국의 유명한 작가 마크 트웨인의 알려지지 않은 원작 <올레오마가린 왕자 도난사건>을 읽었습니다.

어린이 책들을 읽고 이해가 안 될거라고는 생각을 못했습니다.

하지만 <올레오마가린 왕자 도난사건>을 읽고는 처음엔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일을 하고 와서 피곤한 상태여서 집중해서 읽지 못한 탓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책속에 원저자인 마크 트웨인과 미완성의 원작을 완성시킨 저자 필립 스테드의 등장이 제게는 낯설게 느껴져 그랬던 것 같다는 생각을 두번째 읽으면서 했습니다.

두번째 읽을 때는 몸이 조금 편안한 상태에서 읽었는데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버렸습니다.

재미있어서,

뒷 부분이 궁금해져서 ,

그리고 책 속의 의미 심장한 글귀들을 읽느라고요.

대부분 어렸을 때 <톰 소여의 모험>이나 <허클베리핀의 모험>을 읽어 보았을거라 생각됩니다. 저도 어렸을 때 톰이나 허크의 모험 이야기를 읽고, 미지의 모험에 대한 동경을 품었던 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수줍음 많은 제가 그런 생각을 했다니, 책은 역시 위대한 존재입니다.

<올레오마가린 왕자의 도난 사건>은 솔직히 제목부터 웃기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왕자 이름이 ~마가린이라니, 그리고 왕자가 사라졌다는데 '도난'되었다고 표현한 것까지, 웬지 책속에 뭔가 있을 듯한 생각을 하게 합니다.

이 책은 마크 트웨인이 딸들에게 읽어주기 위해 꾸며낸 이야기인데, 딸들이 재미있어해서 5일 밤동안이나 계속된 이야기라고 합니다.

딸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준 후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후에 마크 트웨인은 기록으로 남겼다고 하는데, 그 후 이 이야기는 미완성인채로 캘리포니아대학의 마크 트웨인 기록 보관소에 잠들어 있었다고 합니다.

2011년 윔스럽 대학의 마크 트웨인 연구자인 존 버드 박사가 마크 트웨인 요리책을 구성하기 위해 요리 관련 자료를 찾다가 이 미완성의 이야기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100년 넘게 기록보관소에서 잠들어 있던 이 미완성의 동화는 칼데콧상을 수상한 작가 필립과 삽화가 에린 스테드 부부에 의해 세상에 나오게 된 것입니다.

책 속에는 작가와 마크 트웨인이 등장해 이야기를 이끌어갑니다.

마크 트웨인 특유의 독창성과 유머를 느낄 수 있으며, 책을 읽으면서 불의에 맞서는 선한 사람들의 용기있는 행동과 이야기 곳곳에서 마음에 와 닿는 글귀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선한 마음을 지닌 조니가 결국은 행복하게 되는 결론이라 기분이 좋습니다.

다음은 제가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귀절들입니다.

주 주의깊게 집중하면, 꼭 있어야 할 바로 그곳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12쪽)

>>>> 자기 자신을 발견할 수 있기 위해 우리는 주의깊게 집중하는 몰입이 요구된다는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절대로 욕을 하지 않겠다고, 꼭 욕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도(그런 일은 종종 일어나기 마련이니까) 하지 않겠다고 오래전에 다짐했기 때문이다.

~~~~

이 또한 조니가 도덕의 나침반을 지니고 다니기로 결심한 이유이다. 길을 잃고 헤맬 때 가야 할 방향을 찾으려면 필요할 테니까.(16쪽)

>>>>> 근래에 읽은 글이 생각납니다. 사람이 화가 난다고 화풀이를 한다는 건, 화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합니다. 우리의 주인공 조니는 욕을 할 필요가 있을 때도 욕을 하지 않겠다는 도덕성을 지니고 있네요. 저는 어렸을 때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말이죠.

노파에게 조니의 닭('전염병과 기근'이라는 이름의)을 주자 노파는 조니에게 담청색 씨앗을 주면서 설명합니다.

"이 씨앗은 엄청 힘든 상황이 왔을 때에만 심어야 돼요. 심고 나서는 확신을 갖고 결과를 기다려요. 봄에 씨앗을 심고, 동이 틀 때와 밤 12시 정각에 물을 줘요. 항상 씨앗을 돌봐주고 순수한 마음을 간직하고요. 불평하고 싶어도 참아야 합니다. 꽃이 피면 그 꽃을 먹어요. 그 꽃이 당신을 배부르게 해 줄 거고, 당신은 두 번 다시 허기를 느끼지 않을 거에요." (59쪽)

>>>> 어른이 되어서도 꼭 필요한 덕성 중의 하나가 아닐까요?

"역사란 이런거야. 거짓말에 관한 문제에서만 역사를 신뢰할 수 있다고. 역사는 과장에다가 대부분 거짓이니까." (82쪽)

>>>> 마크 트웨인의 이 말이 아니라고 해도 우리는 앍고 있습니다. 역사는 강한자에 의한 기록이므로.

세상은 아름답고도 위험해

기쁘기도 슬프기도 해

고마워할 줄 모르면서 베풀기도 하고

아주, 아주 많은 것들로 가득해

세상은 새롭고도 낡았지

크지만 작기도 하고

세상은 가혹하면서 친절해

우리는, 우리 모두는

그 안에 살고 있지 (99쪽)

"~~ 기쁨의 순간마다 우리는 슬픔의 순간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리고 완벽한 평화 속에서 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때까지 한때 우리 곁에 있었으나 지금은 우리 모두를 지배하는 자연의 섭리에 굴복한 이들을 기억해야 합니다." (100쪽)

책 속의 삽화 색이 잔잔하니 자극적이지 않고, 볼거리가 많습니다.

삽화는 에린 스테드가 그렸는데, 그녀는 저자인 필립 스테드의 아내입니다.

한 사람은 글을 쓰고, 또 한 사람은 그림을 그렸네요.

동화라고 하지만,

어른이 읽어도 좋을 책입니다.

* 이 글은 arte의 <올레오마가린 왕자 도난사건>을 제공받아 쓴 글임을 알려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