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끄지 마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57
마에카와 도모히로 글, 고바야시 게이 그림, 이기웅 옮김 / 길벗어린이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 아이들은 밤에 불을 끄는 것을 무서워 한다. 형제끼리 같이 자는 날이면 책 표지의 아이처럼 이불을 뒤집어 쓰고 똑같은 표정으로 끊임없이 나를 찾는다. 아이들이 '어둠'을 무서워 하지 않도록 방 천장에 야광별을 붙여주고, 침대옆에 작은 램프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듣고 편안한 마음이 생겼으면 해서 자장가도 틀어 주었지만 아직도 '어둠'을 조금 무서워 한다.

 

 동화 속 주인공은 어둠이 짙은 방안과 계단 끝 등 본인의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곳을 무서워한다. 그래서 방마다 불을 켜고 다니는데 아이의 엄마는 무서워하지 마라 하면서 빈방의 불을 다시 끈다. '어둠'에 대해 무서운 상상을 하면서 "거기 누구 있어?"라고 질문을 던졌는데 설상가상으로 '어둠'이 대답한다. '어둠'은 어두워야 만 볼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아이와 이야기 하는데..

 

 무서움과 두려움은 모를 때 생겨난다. 무서운 대상의 실체를 마주하고 되면 생각보다 무섭지 않다. 하지만 두려움에 맞서기란 사람에게 참 어럽다. 무서운 대상의 실체를 알고자 하는 용기의 시작이 제일 어려운 것이다.

 

 '어둠'을 수채화로 표현해서 아이의 '어둠'에 관한 생각이 그림만 봐도 잘 느껴진다. 유난히 하얀 눈동자와 어둠이 대비되면서 공포도 표현되지만 '어둠'의 다른 실체를 맞이하는 놀라운 감정도 잘 표현되었다. '어둠'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점, 세상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을 때 고요한 어둠의 느낌, 밤만이 가지는 특별함과 매력을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어떤 힘을 가지고 있니? 날마다 그림책 (물고기 그림책) 28
마스다 미리 글, 히라사와 잇페이 그림, 김지연 옮김 / 책속물고기 / 2016년 9월
평점 :
품절


"엄마, 나 누굴 닮았어?" 아이들이 수시로 하는 질문이다.

그 때마다 아빠 닮았다, 엄마 닮았다, 할아버지 닮았다, 할머니 닮았다 등 이런 저런 이유를 빗대어 아이가 아는 사람들과 닮았다고 애기하곤 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니 그 대답이 충분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책 맨 뒷장에 마스다 미리는 '나에게는 특별한 힘이 있어. 그건 엄마에게도 아빠에게도 없고, 오직 나에게만 있는 힘이 분명해. 세상에 태어날 때부터 나만을 위해서 준비된 힘!'이라는 생각을 어린시절 했다고 한다.

이 부분을 보니 아이에게 너만이 가지는 있는 특별한 점, 어려움도 이겨내고 헤쳐나갈 수 있는 힘, 자신이 더 강해지고 더 멋진 모습이 될 거란 믿음을 심어주는 대답을 해 줘야겠다.

일상생활 속 아이의 질문 하나에 깊이 생각하지 못했는데 이 짧은 이야기 속에서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의 로봇 노트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56
김종호 글.그림 / 길벗어린이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빠의 어린 시절의 비밀노트를 발견한 아이. 생각만 해도 가슴이 두근거린다.

멋진 로봇 설계 그림과 함께 그 로봇이 활약하는 장면이 함께 펼쳐진다.

다양한 로봇들의 기능이 펼쳐져 있고  영웅처럼 필요한 곳에서 큰 역할을 해 낸다.

아빠의 비밀노트를 보면서 이 아이는 어떤 꿈을 가질까?

아빠와 아이가 함께 노트를 보며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렁이가 세균 아저씨를 꿀꺽 삼키면 날마다 그림책 (물고기 그림책) 27
에릭 바튀 글.그림, 박나리 옮김 / 책속물고기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균 아저씨가 숨어 있다.

그 세균아저씨를 지렁이가 통째로 꿀꺽 삼켜 지렁이 몸에 빨간 반점이 생기며 아프기 시작한다. 

그 지렁이를 먹보 물고기가, 그 먹보 물고기를 악어가, 악어의 이빨 사이에 낀 고기 조각을 악어새가 먹고 똥을 누면서, 똥 묻는 풀을 엄마 얼룩말이 먹고, 아빠 얼룩말과 뽀뽀하여 아빠 얼룩말 배 속으로 세균 아저씨가 옮긴다. 시름시름 앓는 아빠 얼룩말을 사자가 먹어 엉덩이에 빨간 반점이 나고 혀가 딸기혀가 되고...

 

먹이사슬 속에서 이어지는 전염병 고리가 무섭기도 하지만 아이와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어 좋았다.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전염병 종류가 많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동물들도 서로 전염병을 옮길 수도 있고 그 속에 사람도 예외가 아니라는 사실을 쉽게 알게 한다. 마지막 세균 아저씨의 반전이 동화 속 결말처럼 행복하게 끝나면 좋겠지만 이 부분을 읽은 아이의 반응은 슈퍼 바이러스란다. 

부디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지내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늑대 할머니 - 중국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 1990 칼데콧상 수상작 길벗어린이 옛이야기 17
에드 영 글.그림, 여을환 옮김 / 길벗어린이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곡성'이라는 영화를 보고 싶어 기다리고 있다. 계절이 더워지기 시작하니 공포 스릴러 영화가 나오기 시작한다. 외국 공포 영화와 다른 우리 나라만의 공포 감성을 자극하는 영화라 꼭 보고 싶지만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라서 시간 내기가 쉽지 않다,

 

늑대 할머니.. 제목을 보는 순간 빨간망토소녀를 떠올렸다. 표지도 어둠을 지켜보는 늑대의 모습이라 압도적이다. 늑대 할머니 제목 밑에 중극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라고 적혀 있어 내심 우리 전래 동화가 어떻게 다를지 궁금했다. 중국편도 엄마가 떡을 팔려 가시나? 하면서..

 

상, 타오, 바오주 셋 딸의 어머니는 아이들의 할머니 생일에 맞춰 떡을 갖다드리려 할머니 댁에 가게 된다. 집 근처 늙은 늑대 때문에 아이들에게 빗장을 단단히 걸어두라고 신신당부를 하면서..

늙은 늑대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아이들을 찾아와 할머니 행세를 한다. 그런데 아이들의 질문에 재치있는 대답을 하는 늑대때문에 상, 타오, 바오주는 아주 쉽게 문을 열어준다. 다행히 상의 지혜로 세 아이가 힘을 합쳐 위기를 벗어난다.

 

이야기가 단순한 구조이지만 책의 늑대 그림장면이 어른이 내가 봐도 섬찟 할 정도 공포스럽다. 낮에 읽어줘도 무섭다는 애기를 들을 것 같다.그리고 상, 타오, 바오주의 위기 모면 능력에 감탄이 절로 나오는 책이다. 엄마가 돌아오길 만을 기다리지 않고 동생들을 챙겨 지혜를 발휘하는 상의 용기에 박수를 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