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몬 - 권여선 장편소설
권여선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레몬], 권여선
안녕, 주정뱅이, 오늘은 뭐먹지? 에 이은 권여선 작가의 세번째 책이다(작가는 더 많이 쓰셨지만, 내가 읽은 것은... )
“어떤 삶은 이유없이 가혹한데, 그 속에서 우리는 가련한 벌레처럼 가혹한 줄도 모르고 살아간다”
작가의 글에서 공통으로 흐르는 인간에 대한 연민이 아프게 느껴진다. 이 글은 ‘애도’, 인간에 대한 애도이다. 난데없이 비틀려버린 인간의 운명에 대한, 자신이 잃은 것이 무엇인지도 깨닫지 못한채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인생에 대한 애도.
인생에서 그런 지점이 있다. 뭔가에 대한 해결이나 결론 없이는 한치도 더 나아갈 수 없는 바로 그런 지점. 주인공 다언에게는 해결되지 않은 언니의 죽음이 바로 그러했던 것이고, 언니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사람에게 복수하는 것이 언니의 죽음 이후로 잃어버리고 비틀려버린 삶을 다시 찾을 수 있는 길이라 믿을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과적으로는 다언의 삶도 다언 자신이 상상한 삶도 아니고, 영원한 죄책감과 고독으로 점철될 인생이될 것이다. 그래도 언니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게 아이의 실종이라는 영원한 고통을 주게 되는 것에 대해서 나는 나름 찝찝한 기쁨을 느꼈다. 부모의 마음으로 아이를 잃어버리는 것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가슴 언저리가 아파오기 때문에, 나쁜일을 저지른 사람이 평생받게 될 고통을 가늠하는 것 만으로도 충분히 벌을 받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죄없는 어린 아이의 삶은 어떠할까. 아이의 삶을 생각하면 빙점이 잠깐 생각 나기도 한다. 아이는 나중에 자라서 자신의 삶이 통채로 부정당하는 경험을 하게 될 지도 모른다. 책에서 이어지지 않은 인물들의 미래를 상상하고 싶지는 않다.
이 밤, 비틀려버린 인간에 대해서, 이토록 애달픈 삶에 대한 이야기를 쓰는 작가를 상상했다. 인간의 인생을, 삶을 상상하는 것이 사랑보다 더 어렵다고 한 이유를 어렴풋이 짐작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