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지키며 일하는 법 -강상중-
이 책을 어떤 종류의 책으로 분류해야할까. 다 읽고 난 내 느낌으로는 자기계발서이다. 그리고 최근 읽은 자기계발서 중엔 최고인 것 같다. 책을 쓸때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자신의 경험이라는 토양을 단단히 딛고 이야기를 전개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강상중이란 분은 일반 사람이 경험하기 힘든 스토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단 절반 이상은 먹고 들어간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일단 재일동포(이말이 주는 어감이 묘하게 전체주의적인 느낌이 있는데 일단 내가 배운대로) 2세대로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차별을 겪어왔고, 그로인한 정체성의 혼란과 이방인의 정서 등을 느끼게 되었는데 그런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를 진단하는 의사‘인 정치학자가 되었을때 더 빛을 발했던 것은 아닌지. 물론 타고난 유전자와 노력은 기본이고..
이 분이 강조한 것도 역시 ‘읽기‘였다. 기본적인 독서와 다양한 사람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한 시대읽기. 예전에 존경하는 교수님 주관으로 참가했던 시대읽기라는 독서모임이 생각났다. 물론 다 대학원생들이었지만 그때 읽었던 책이나 들은 풍월은 삶을 윤택하게 해준다는 느낌을 들게 했다(물론 거의 모든 책을 다 읽고 가진 못했지만.. 지적 허영심을 느끼게 하긴 충분했다). 또 한가지는 그림책 읽기로 시작된 독서모임. 인턴을 시작하게 되면서 모임에서 낙오(?)되긴했지만 아직은 소속되어 있는 잎싹(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따온 이름) 모임도 있고. 물론 둘다 지금은 과거지사. ㅠㅠ
고전을 ‘말린 것‘에 비유하는 저자의 설명에 이런 간단한 단어로 고전이 가진 힘을 드러내는 저자의 필력에 감탄했고. 말린 것과 날 것을 걸고루 섭취하여 정신 건강을 지켜 내는 것이 진정한 읽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하고. 지나치게 열심을 강조하는 시대에 한 가지에 너무 매몰될 필요는 없다는 것도 좋은 교훈이었다. 어쩌면 한가지만 죽어라 판다고 되는 세상이 아니라는 서글픔도 느껴졌다. 딱히 두드러지게 잘하는 것도 없고 그렇다고 아주 못하는 것도 아닌 어정쩡한 부류의 나같은 인간(심지어는 고등학교 때 적성 검사에서도 문이과 동점이 나와서 날 고민에 빠뜨렸던)에게 지금의 세상은 아주 불리한 조건은 아니라는 얘기로 들렸기 때문에 ㅋㅋ
+구입하고 들고 다닌지는 꽤 되었는데 오래 들고 다니며 조금씩 읽었다.
+귀는 매우 좋아졌는데, 눈이 나빠진 것 같다. 조금만 피곤하거나 잠을 설치면 아침마다 눈이 뿌옇게 보인다. 차 속에서 책 읽기는 멈추고 운전을 다시 배울 때가 온 것 같다.
+비판적인 관점, 반성적인 관점, 생각하며 책 읽기, 연관지으며 읽기, 그리고 읽기와 나의 삶과 이 세상을 연결해내기. 어떻게 하면 그런 멋진 일을 해낼 수 있는 것인지.
![](http://image.aladin.co.kr/product/11380/16/cover150/k132531618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