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의 인류학자 - 뇌신경과의사가 만난 일곱 명의 기묘한 환자들
올리버 색스 지음, 이은선 옮김 / 바다출판사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신경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바라보는 세상에 대해 곰곰히 적어내려간 이래뵈도 '임상사례집'.

교통사고로 뇌를 다쳐 전색맹이 된 화가가 모든 것이 명도로만 이뤄진 세계에 적응해나가는 이야기, 그리고 어린 시절 잃었던 시력을 50년만에 되찾고, 촉각으로 구성된 순차적 세계에서 시각으로 구성된 동시적 세계로 뛰어들게 되었을 때 '보는 법'을 배워나가는 처절한 이야기, 그리고 투렛 증후군으로 강박적인 행동을 보이는 외과의사가 자신의 강박적 행위를 자아의 일부로 받아들인 이야기, 자폐증에 걸려 어릴 때부터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그림을 그리던 소년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를 바라는 이야기, 그리고 어린 시절 황폐해져버린 고향 폰타나에 대한 기억으로 계속해서 마을의 꿈을 꾸고 현실에서조차 마을의 기억을 생생하게 환영처럼 재생해내 화폭에 담았던 화가가 자신의 강박적인 폰타나에 대한 회상을 예술로 승화시킨 이야기, 뇌종양으로 전두엽을 잃어 1970년대 이전 기억만 반복해서 기억하고 무기력하고 순종적인 사람이 된 어느 히피족, 화성에서 온 인류학자처럼, 인간 사회의 감정적 교류들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익혀나가던 동물학자 이야기까지 우리와 다른 사람들, 우리와 다른 세계관, 다른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세심하게 그려져 있다. 그러한 사고, 행동을 하게된 원인에 대해 신경학적으로 이러쿵저러쿵 설명도 쉽게 해주고 환자들을 하나의 '인간'으로서 '자아'로서 명확하게 그려내고자 하는 노력이 엿보인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뇌리에 내용이 안남는다. 기억에 남은 것은 정상인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들도 사실은 이들처럼 각기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진 않을까 생각해보았던 것 뿐이다.
여기서 가장 인상 깊은 건 개념 기억과 지각 기억에 대한 이야기였다. 자폐아나 암기력이 뛰어난 아이들, 백치천재들, 소설과 화가들은 지각기억이 뛰어나다고 한다. 그리고 연구자나 학자는 개념 기억이 뛰어나단다. 지각기억은 현실 있는 그대로의 기억, 아마도 소설을 읽는다면 그 줄거리나 인물들간의 관계 같은 맥락적 요소보다는 몇페이지로 되어있고 몇페이지 몇째 줄에 어떤 문장이 쓰여 있는지 더 잘 기억하는 사람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아니면 크기가 얼마만하고 색은 무슨색이며 두께는 어떻고 하는 형태적 요소를 의미할 수도 있겠다. 개념 기억은 지각기억을 통해 그 책의 전반적인 느낌, 그리고 그 소설의 내용 맥락, 감상, 소설속 인물들의 관계, 감정변화 같은 2차적 요소, 분석되고 판단되고 재정리된 기억들을 의미하는 것 같다.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나는 지각기억은 정말 엉망이다. 소설을 다 읽고 바로 주인공 이름이 기억 안 나는 경우도 수두룩하고 방금 놓아둔 물건 자리도 잊어버리고 그림을 그릴 때도 방금 보고 돌아서서 그리려고 하면 또 잊어버린다. 전화번호, 물건의 갯수, 모양, 색깔, 이름 등 맥락이 없는 것은 이해하지 못한다.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통해 연상해나가는 방법이 아니고는 그냥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한자를 못외우고 단순암기 시험에 약한 것도 그런 이유 중에 하나인 것 같다. 나는 지각 기억 대신 물건의 느낌, 인상, 성격, 특징같이 스스로 의미를 부여한 것들로 세상을 기억해나간다.
자폐증 환자는 지각기억을 통해 세계를 구축해나간다던데 거의 개념기억만 가지고 세계를 구축해가는 나는 정상인일까? 애초에 정상인이 뭘까. 나는 이 올리버 색스라는 사람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장애'인이라고-정상적이고 원활한 생활이 불가능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실제로는 스스로의 제대로된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고(자폐증의 경우에는 정체성을 구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들 하지만..) 나름의 원활한 삶의 방식과 세계관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 앞에 선명하게 드러내 보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란 말도 나는 정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냥 그사람은 그런 사람이다. 우리가 보는 것을 그들이 보지 못하듯, 우리는 그들이 보는 것을 보지 못한다. 우리는 서로에게 타자이다. 그러나 그것은 장애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서로에게 타자임을 이야기한 것이다. 내눈에 보이는 세상과 네눈에 보이는 세상은 같지 않다. 나는 이것을 인정해야 인간과 사회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런 생각들을 한 것은 아마도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특이하다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고 '이기적'이라거나 '배려'가 없다거나 하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 때문인 것 같다. 자폐증도 아닌데, 나는 내가 생각하기에도 다른 사람들이 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들, 또 다른 사람들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그런 반응들이나 감정들을 이해하지 못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소설이나 편지, 일기 같은 텍스트를 읽고 그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은 확실히 뛰어난 편인 거 같은데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의 감정이나 반응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 맥락을 파악하지를 못하니 항상 특이한 애, 튀는 애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독서와 경험을 통해 매일매일 사람들의 감정과 반응을 관찰하고 이성적으로 추론해서 그에 상응한 행동을 하고자 '공부'해야하는 동물학자 이야기를 보면서 내 처지가 떠올랐다. 나도 그렇다. 다른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하는 행동들은 나는,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처럼, 분석하고 흉내내고 틀릴까 염려하면서 배워나간다. 내가 자폐증인가 생각해보면 그건 또 그렇지 않은 것 같고..(어릴 때 말을 늦게 떼었다고는 하지만 병원 갔을 때도 아무렇지 않았단다.) 그러니 내가 미처 배려하지 못하는 그런 행동들, 맥락에 안 맞게 튀어나오는 행동들을 변명할 수단도 없다. 고쳐라 고쳐라 하는데 왜 그러는지 이해하기도 힘들고 그래도 싫어하니까 고쳐보겠노라 아둥바둥해도 안 될 때가 될 때보다 더 많다. 그러면 말만 고치겠다고 하지 노력하지 않는다고 뭐라고 한다. 이것도 변명일 수도 있겠지만... 내 이런 기분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자폐증을 겪는 사람들이 얼마나 사회 생활이 힘이 들고 스트레스가 클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가 얼마나 힘든지도.
나도 자폐증을 가진 사람, 투렛증후군 환자는 이해할 수 없다. 보통 사람들이 하는 행동, 친구나 엄마가 하는 행동도 그 맥락을 이해할 수 없을 때가 많다. 내가 이해하지 못하고 낯설게 여기는 맥락들이 있는 것처럼 개인마다 다른 사람들에 대해 낯설게 여기는 맥락들이 조금씩은 존재하는 모양이다. 그러니 나의 '당연함'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내가 이 책을 통해서 배운 것은 올리버 색스의 그런 자세였던 것 같다. 나의 잣대로 남을 재지 말 것. 나의 '당연함'과 너의 '당연함'은 다르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