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변화 - 상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열정으로 처음 만난 산도르 마라이는 정말 오랜만에 고전의 묵직함을 다시 느끼게 해주었다. 19세기 근대소설을 읽을 때나 느꼈음직한 이런 고전들은 소설을 읽는데 걸리는 시간만으로도 감정의 깊이가 생기게 되는데 무게감있는 감정이 그 작은 책으로부터 생겨날 줄은 예상치 못했다. 그래서 산도르 마라이는 나에게 최근 몇 년간 가장 반갑게 만난 작가 중의 한 명으로 남아 있다.

결혼의 변화 역시 작가의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었다. 특유의 대화체로 이루어진 소설은, 3명의 인물들이 각각 견디고 기다리며 살아 온 소설 속의 시간을 독자들에게도 고스란히 느끼게 하려는 듯 그 시간 속의 이야기를 섣불리 풀어내지 않는다.

 

산도르 마라이의 주인공들은 단 한 마디 말을 위해, 단 하나의 풀지 못한 의문을 위해 시간을 견뎌내고, 기다린다. 그리고 그 시간 뒤에 얻을 수도 얻지 못할 수도 있는 답이 아니라, 기다림 그 자체가 결국 삶이라는, 새롭지 않지만 우리는 매번 잊고 지내는 깨달음을 준다 

죽을 것을 알면서도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숙명인데 그런 기다림을 품지 않고서야 어떻게 삶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인가.

 

산도르 마라이가 풀어가는 이야기는, 아주 천천히 지속적으로 긴장감이 증폭되어서 그 긴장감을 실제로 느낄 때에는 더 이상 견디기가 힘들 정도로 팽팽해진다. 그래서 그것이 폭발할 때에는 실제로 몸에 소름이 돋을 정도의 힘을 뿜어낸다. 그 폭발을 만들어내는 건 너무나 작은 무엇인가이고, 너무나 짧은 순간일 뿐이다.

작은 리본 한 조각, 돌아보지도 않고 느낀 등 뒤의 살의의 순간 결국 그것들은 주인공들의 삶을 집어 삼키고, 그 순간을 묘사한 산도르 마라이의 몇 구절은 읽는 이의 마음을 집어 삼키고 만다.

 

결혼의 변화는 세 인물의 고백을 듣고 나서야 이야기와 인물들의 마음과 시간이 풀리는 3부 구조로 되어 있다. 알고 있다고 생각한 사건에 대한 변주가 계속 되고 풀리지 않은 비밀이 풀리는 듯한 즐거움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야기와 이야기가 주는 긴장감이 3부까지 잘 유지되지 않아서 조금 아쉬웠던 기억이 있다.

어쩌면 내 개인이 1부의 일롱카와 2부의 페터의 이야기에 더 이입하였기 때문에 그랬는지도. 그러니 유디트의 파괴적 사랑’에 이입하는 독자라면 소설을 읽으며 긴장감과 흥미로움은 더욱더욱 커질지도 모를 일이다. 그리고 어차피 이런 엇갈림들이 사랑을 만들고 연인과 결혼의 관계를 만들면서, 시간을 완성시켜나가는 것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