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자 X의 헌신 - 제134회 나오키상 수상작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3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현대문학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출근 시간 지하철에서 읽기 시작해 정말 재밌게 봤다. 책장 넘기는 게 아깝다는 말이 절감됐다. 정신없이 읽다가 내려야할 역을 세 정거장 지난 다음에야 되돌아갔다. 회사에 지각했다.

 미사토를 키우고 도시락 가게에서 일하며 근근히 살아가는 야스코 앞에 전 남편이 나타나 삥을 뜯으려 한다. 야스코는 경찰을 부르겠다며 위협해보지만 전 남편은 코웃음을 친다. 분노가 치밀었다. 경찰이 제때 도움을 주었다면, 미사토나 야스꼬는 그런 무서운 짓을 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경찰은, 가정폭력 피해자가 궁지에 몰려 '사건'을 저지른 뒤에야 나타나 '정의'를 떠들어댄다. 일본도 그런 점에선 한국과 별 차이 없나 보다. 이 모녀의 '죄'가 영원히 들키지 않았으면, 안타까운 마음이 일었다. 그런 쓰레기 자식 때문에 일생을 망치게 되는 건 너무 가혹하다.

이때 수학교사 이시가미가 도움을 준다. 도와준 방법이 기가 막히다. **을 한 것이다. 그 비현실적인 발상에 씁쓸하면서도, 어떤 일이 있어도 이 모녀를 배반하지 않도록 배수의 진을 친 이시가미의 마음에는 정말 감동했다. 이시가미라는 인간을 이해하고 이런 마음을 알면서도 진상을 밝혀낸 친구 유가와는 얼마나 괴로웠을까.

이시가미의 마음에 응해줄 수 없었던, 구도의 진실된 구애에 마음이 흔들렸던 야스꼬를 나는 이해한다. '사랑'이라는 감정이, 단지 상대방이 내게 헌신한다고 해서 꼭 의무적으로 생겨야하는 감정은 아니지 않는가? 이시가미는 자기 방식대로 야스꼬를 사랑했다. 그래서 중간에 작가가 의도한 오해에 빠졌을 땐 정말 불쾌했다. 그건 진짜 사랑이 아니지 않는가, 하고. 뻔하고도 기분 나쁜 진행에 짜증이 날 뻔했다. 다행히도 그건 오해였다. 이시가미는 마지막까지 소년같은 남자였다.

난 이시가미가 성숙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시가미는 사람을 사귀는 법에 서툴렀고,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 역시 그랬다. 마치 청소년다운 순수함으로 야스꼬를 힐난하고 자살을 시도한 미사토처럼, 이시가미는 미성숙하면서 순수한 마음에서 엄청난 일을 저질렀다.

야스꼬처럼 반전을 알게 되는 게 두려웠다. 알고 나서 이시가미에 대한 오해가 풀려 기쁘면서도, 머리가 띵하고 숨이 가빴다. 어긋난 헌신임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아름답고 순수한 이야기이다. 살인에 이런 수식을 붙여 미안하지만.

그런데 다 읽고 나니, 한국에서는 불가능했을 트릭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0-; (지문이,,,)

- 소설 속 문장

"사람이 풀기 힘든 문제를 만드는 것과 그것을 푸는 것 중, 어느 쪽이 어려운지. 단, 해답은 반드시 있어. 어때, 재미있지 않나?"

그런 질문을 했던 모리오카의 자세가 이시가미는 싫지 않았다. 왜 이런 공부를 하는가, 라는 의문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 의문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학문을 하는 목적이 생겨난다. 수학의 본질을 이해하는 길로도 이어진다.
그런데, 그들의 소박한 의문에 대답하지 않는 교사가 너무 많다. 아니, 대답하지 못한다. 진정한 의미에서 수학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정해진 커리큘럼에 따라 가르치고, 학생에게 일정한 점수를 주는 것만 생각하기 때문에 모리오카가 던진 그런 질문 따위 그냥 번잡하고 귀찮을 따름이다.

"그때, 자네가 말했잖아. 노숙자들을 보고는, 그들은 시계보다 더 정확하게 생활한다고. 기억해?"
"기억하지. 인간은 시계에서 해방되면 오히려 그렇게 돼,라는 게 자네의 대사였어."
 
"이 세상에 쓸모없는 톱니바퀴는 없지 않을까. 모든 톱니바퀴들은 제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결정하고 살아간다는 말을 하고 싶을 뿐이야."
 
"그렇다면 P≠NP 문제는? 혼자 생각해서 답을 제시하는 것과 남이 제시하는 답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는 것 중 어느 게 더 간단할까? 자네는 먼저 답을 제시했어. 다음은 남이 낸 답을 들어줄 차례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