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개 1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문학상 2회, 3회 수상작『아내가 결혼했다』,『슬롯』을 읽고, 1회 수상작『미실』이 궁금하던 차에,『미실』작가의 신작『논개』출간 소식을 들었다. 세계문학상 수상작가였으니 다른 건 몰라도 재미는 보장할 수 있겠다. 더구나 연달아 옛 여성을 소설 소재로 삼는 걸 보니, 옛 여성을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되살려내었으리라는 기대도 해봄직했다. 그러나 기대가 지나쳤던지.
『논개』는 논개의 죽음부터 출생, 성장 과정과 임진왜란을 수려하고 아름다운 우리말로 풀어낸 소설이다. 읽는 내내 낯설고도 낯설지 않은 멋들어진 묘사에 감탄이 나왔다. 작가의 방대한 어휘력에 경탄을 표할 뿐! 그러나 아쉽게도 그게 다였다.
십여년 전, 울고 웃으며 소설『동의보감』이나『토정비결』에 푹 빠졌던 때가 있었다. 어찌보면 진부하기도 하건만 아무리 읽고 또 읽어도 질리지 않았다. 매번 책장을 넘기는 게 아까웠다. 허준과 이지함 그들이 좋았고, 그들이 아파할 때 같이 가슴이 저렸으며, 그들에게 다가오는 불운에 조바심을 쳤고, 그들에게 운이 따르기를 마음을 다해 빌었다. 하찮은 엑스트라라도 좋으니 이런 사람 곁에 머물러 발이라도 닦아봤으면 싶었다.
그런데 이 여인 논개는 어떤가. 미쁘되 살아있지 않다. 미화가 지나쳐 지루할 지경이다. 논개를 둘러싼 어떤 사건에도 '손에 땀을 쥐게 되지' 않는다. 읽는 내내 언제 다 읽나, 숨이 막힐 듯 답답했다.
태어나 죽는 순간까지 변화라고는 없는 평면인물 논개에 비해 최경회와 김씨부인, 업이(산홍)의 변화는 눈이 부셨다. 평범한 사람으로 환란의 시대를 견뎌내며 마침내 범상치 않은 인물로 자리매김한 최경회, 몸에 병들어 마음에 병들고 그게 무언지도 모른 채 질투하며 고뇌하다 미움을 놓고 사랑을 이어주며 자유로워진 김씨부인, 이악스럽게 생에만 집착하다가 죽음으로도 가를 수 없는 사랑을 이해하며 눈물로 논개를 보내주는 업이의 춤. 전쟁의 참상과 그에 강간당하고 살육당하는 여인들, 저를 저버린 나라를 위해 우직스럽게 목숨을 던지는 사내들, 다만 살기 위해 각다귀마냥 떠도는 뭇 사람들.. 이 소설에서 살아있는 건 이들이었으니, 죽은 인물은 오직 하나 논개였다.
논개가 주인공이긴 한건지, 중심을 못잡은 소설 아닌가. 허무하고 또 허무하다.
고증대로 잘 살려낸 완벽하나 박제된 여인 논개. 기녀로 널리 알려진 논개의 명예(?)를 회복해주었다는 데 소설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소설 서두에 '논개'가 주논개일 수 없음을 역설하고 있음에도.
덧붙임 하나. 표지디자인은 아주 예쁘다. 고운 한복천을 이리저리 덧댄 듯한 느낌이랄까.
고질에 휘달리어 병사하였지만 김씨의 시신은 조쌀하고 단출했다. 그녀는 타인의 사랑을 인정하면서, 마침내 스스로 사랑을 깨닫고 죽었다. 32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