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초판본 빈센트 반 고흐, 영혼의 편지들 세트 - 전3권 - 1960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빈센트 반 고흐 지음, 이승재 옮김 / 더모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출간이네요!! 이제야 빈센트 반 고흐라는 화가의 속마음을 두루두루 들여다볼 수 있겠네요.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의 연인
플로리앙 젤러 지음, 박명숙 옮김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프랑스 문단이 주목한다는 타이틀을 아주 크게, 사진도 아주 크게 내세운 작가의 소설이 나왔다.

내용에 대해서는 왈가왈부하지 않을 예정이다. 왜? 느끼는 건 모두가 다르니까. 하지만 딱 한 마디만 하자면 "가장 주목을 받기"에는 글솜씨가 솔직히 그저 그렇다. 하지만, 비주얼, 프랑스 사람 치고는 꽤 자랑할만 하다. 그래서일까? 책 크기의 2/3가 넘는 사진이 아주 인상적이다. 소설이 소설로 인정을 받아야지, 얼굴로 들이데는게 정상인가.

그리고, 프랑스 문단이 가장 주목한다? 이런 작가가 있다는 사실은 들어본 적은 있으나,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는 소리는 금시초문이다. 물론, 주목 받았던 작품이 한, 두 개 있었겠지. 그렇다고 프랑스 문단이 "가장 주목하는"이라는 타이틀을 내거는 건 좀 그렇지 않나 싶다.

책이 책 자체로 평가 받아야 하겠지만, 솔직히 그게 어디 쉬운 일인가.........

그렇다 하더라도 너무 크게 부풀리는 건 좀 그렇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age Against The Machine - Live at the Grand Olympic Auditorium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Rage Against The Machine)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더 이상 이들의 노래를 들을 수 없다는 것이 아쉽다. 개인적으로 단 한 장의 앨범을 제외하고는 첫앨범부터 마지막까지 최고의 음악으로 서비스 한 흔치 않는 그룹이었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이제 그들를 추억하며 들어야 하는 그들의 마지막 라이브 앨범... 그렇기 때문에 아쉽고 또 아쉽다.

오디오슬레이브로 건너간 모렐로는 무엇을 하고 있나 궁금하고, 데 라 로체는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아무튼 그들의 마지막 앨범이 원치않는 컴필레이션이 아니라 라이브 앨범이었기에 더더욱 가치가 있지 않나싶다. RATM을 추억하며 이제 이들의 뒷모습을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ream Theater - Train Of Thought
드림 씨어터 (Dream Theater) 노래 / 워너뮤직(WEA)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드림 씨어터의 음반 구입에 무슨 말이 더 필요하겠는가? 굳이 고민을 하자면 국내반을 살 것인가 수입반을 살 것인가... 진정한 이들의 팬이라면 그런 고민 외엔 아무 의심 없이 당연히 들어야 하는 것이다. 철저한 보안 속에서 극비리에 진행되었다는 그들의 이번 엘범... 그간 기다려 온 팬들을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다. 근래에 나오는 음반 중에 보기 드물게 짧은 수록곡, 하지만 한곡 한곡의 길이와 짜임새가 그 공백을 보상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코스 - 21세기 게릴라의 전설
베르트랑 데 라 그랑쥬 지음, 박정훈 옮김 / 휴머니스트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무엇을 말하고자 이 책을 썼는지 저자의 의도가 궁금할 뿐이다. 아래 몇 분의 지적처럼 마르코스의 신변잡기가 주를 이루는 듯한 내용에다가 그것 역시 다듬어지지 않은 짚신처럼 투박하다. 혹시 번역상의 문제가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 본다(사실 역자가 멕시코 반군 수뇌부를 인텨뷰한 경험이 있고 그에 대한 기사를 썼다고는 하지만 번역은 그와 별게의 문제라 생각된다).

내용상에서도 초반부는 상당히 지루하다. 아니, 방향을 상실한 것처럼 어디로 우리를 인도하고 있는지 어리벙벙하다. 중간으로 갈 수록 가닥이 잡히는 듯 하지만 전반부의 내용에 식상하고 지친 마음으로는 그다지 재미있게 책장을 넘기기 힘들었다. 아무래도 21세기 게릴라의 전설, 마르코스 보다는 두 외국 기자의 시각에서 본 마르코스란 제목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그리고 실수라면 실수랄 수 있는 것이 저자의 이름 중 베르트랑 데 라 그랑쥬가 아니라 베르트랑 드 라 그랑쥬가 아닌가 싶다. 프랑스 기자니까... 끝으로 두 명의 저자보다 소개가 긴 역자의 소개는 사실 소개가 무색할 정도로 번역에서는 실망스럽다고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