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음과모음 2024.겨울 - 63호
자음과모음 편집부 지음 / 자음과모음 / 2024년 12월
평점 :
⌜우리가 동료가 될 수 있을까요? 🎵⌟
— 『자음과 모음, 2024 겨울 ⏐ 63호』
이번 호가 흥미롭게 다가온 것은 순전히 “동료”라는 단어 때문이었다. 나는 내내 동료를 구하는 사람이었고 심지어 <동료를 구하는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니까. <동료를 구하는 수업>의 이름을 붙일 때, 어떤 단어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했던 기억이 난다. 친구, 동지, 같은 유사어들이 있었지만 내게는 그 사이의 단어가 필요했다. 왜 하필 동료여야 했을까? (나는 친구도 동지도 다 없는데......) 이름을 붙인 이후로도 내내 확실히 해명되지 않아 궁금했다. 그러다 이번 계간지의 머리글의 일부를 읽고, 동료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동료’는 특정 직군에 속하거나 특정 업무를 협력해 수행하는 자를 의미한다. ‘동료’는 제도화된 성원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한 비평가가 짚어주었듯 오로지 공적이지만은 않은 사적인 성격을 지닌 관계를 포착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 되기도 한다. ‘동료'는 사무적인 용무로 얽힌 중립적이고 추상적인 관계를 가리키기도 하고, 같은 뜻을 공유한다고 기대되는 실체 없는 기표로 호명되기도 한다. 반면 ‘동료’는 창작이나 감상, 비평, 정치적 행위를 함께 수행하는 존재, 애착의 대상이 되면서도 분노를 일으키기도, 기어이 상처를 주고받고야마는, 몸으로 육박해 오는 실체이기도 할 것이다.” 8p
내가 왜 동료라는 단어를 마음 속에 품었는지를 말해 주는 부분이었다. 나는 알고 지내는 동종업계 사람이나, 같은 꿈을 꾸고 있는 친구가 아닌, 동료가 필요했다. 공적이기도 하고 사적인, 그 사이를 가로지를 수 있는 관계가 필요했다. 읽기와 쓰기라는 행위는 특성상 홀로 수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읽고 쓰는 자들은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인지하는 일을 절실하게 여기게 된다. 학교를 벗어나고 소속감을 잃은 이후로는 더욱 그랬다. 내가 동료를 구하고자 했던 것은 그런 이유였을 테다.
그렇기에 반가웠다. 다섯 명의 필자를 통해 문학장에서 동료라는 개념은 무엇일 수 있는가에 대한 사유를 들을 수 있었던 것도 값진 일이었으나, 나와 같은 일을 하는 누군가가 동료라는 단어를 또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점이 기뻤다. 이것을 읽으며 내내, 저 여기 있어요, 하고 손 흔들고 싶어졌다.
특히 이여로 작가의 글과 김영희 선생님의 글이 인상적이었다. 이여로 작가의 글에서는 동료와 패거리를 구분하면서, 동료를 통해 사유하는 방식에 대해 밀고 나가는 방식을 흥미롭게 볼 수 있었다. 김영희 선생님의 글은 작지만 단단한 조약돌처럼, 교사 집단이 갖는 느슨한 연대와 동료성으로 귀결되어 마음이 따뜻해졌다.
이후의 부분들도 흥미로웠다. 김유태 기자가 다룬 '작가의 골방' 이라는 키워드는 아주 흥미로워서, 나의 골방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되었다. 다소 어쩔 수 없이...... 소설 파트에 집중해 읽은 면도 있다. 권여선 선생님 소설은 최근에 다른 문예지에 실린 소설과 많이 겹쳐 읽혔다. 간병하는 여자와 아픈 여자, 모녀 키워드가 중심으로 보였던 것 같다. 작가에게 모티프나 키워드가 반복된다는 것은 그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되쓰이는 것이므로, 작가 본인께서 어떤 중요한 이야기를 향해 가고 계시리라 짐작하게 되었다. 믿고 읽는 권여선....... 💙 이번 호에서는 김채원 선생님 소설인 ⌜다섯 개의 오렌지 씨앗⌟, 가장 좋았다. 반짝반짝 슬픈 소설이었다.
늘 아름다운 것을 만드는 자음과모음께 감사드립니다. 이 고운 책은 자음과모음에서 제공받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