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살것인가 - 유현준

자연에는 담장이 없다.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동물들은 벽을 쌓지 않는다. 오직 인간만이 정치적 혹은 종교적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선을 긋고 벽을 세우고 공간을 나눈다. 자연에 있는 유일한 선은 물과 땅이 바뀌는 강병이나 해안선 같은 것들뿐이다. 그나마 이 선들도 밀물과 썰물, 파도, 장마 등으로 끊임없이 변하면서 경계를 모로하게 한다. 하지만 인간은 이런 자연의 선과는 상관없니 명확한 국경선을 긋고 사람들을 오가지 못하게 한다. 이런 선들은 언젠가는 없어져야 할 선이고 벽이다. -공간의 발견, 벽

나는 지금 어딘가에 살고 있는 중이고, 이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내가 사는 지금 이곳과 주변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기도 하고 내가 생각하지 못한 것들에 대한 의미를 다시 한번 알게되니 신기하기도 했다. 깊게 생각하지 않았고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들, 다 내 주변에 있는 이야기들이었다.

작가님이 이야기 해주신 법칙 중에, '3차선 법칙'이 있다.
"차도가 3차선 이하인 경우에는 보행자의 흐름이 이어지지만, 4차선보다 넓으면 단절이 된다. 좋은 예가 홍대 앞이다. 지난 15년간 홍대 앞의 상권은 지하철 홍대입구역부터 시작해서 합정역 사거리까지 꾸준히 확장되었다. 그래서 합정역 사거리 건너편에는 메세나폴리스라는 쇼핑몰이 생겨났다. 하지만 홍대 앞에 놀러 온 젊은이들은 이 길 건너의 메세나폴리스에는 잘 가지 않는다. ... 그 이유는 합정역 사거리의 차도가 10차선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친구들과 홍대, 합정 근처에서 술을 마시고 놀다가, 친구가 검색을 해보다가 맛있는 식당을 찾았다고 가보자! 했는데 가지 못했다. 왜냐하면 저 10차선을 지나야 하기 때문이었다. 모두 하나같이 너무 멀어- 그냥 이 근처에서 아무데나 가자-라고 했었던 기억이 떠올랐다.
이 도시와 이 공간, 건축, 생활들이 모두 다 연관이 되어있고, 나는 그 안에 살고 있다. 이 책으로 내가 지내고 내가 사는 내 집, 내 방만이 아닌 내 주변을 더 돌아보고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