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의 초상 - 복도훈 평론집
복도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론을 읽은 기억이 몇 개 있다. <파리의 우울>을 평 한 어느 평론가의 산문과 운문을 넘나드는 그 글, 신수정의 <푸줏간에 걸린 고기>, 황광수의 <길찾기, 길만들기>가 거진 전부이다. 또렷하게 읽은 바는 없고, 머리말과 서문 사이의 이야기를 주로 읽고 읽은 적이 있던 소설평을 중심으로 읽었다. 그 중에 <길찾기, 길만들기>는 독파 후 상당한 후유증을 앓은 바, 책등이 잘 나오게 지금 집에 봉안되어 있다. <파리의 우울>을 평한 그 얇으면서도 시적 감수성이 물컹거리던 평론책은 집에서 사라졌고, 새로 살 엄두는 죽었다. 

이번에 읽은 복도훈의 <눈먼자의 초상>은 가을 밤에 갈치를 맨손으로 잡은 듯 하다. 조선문단에서 평론가 복도훈만큼 날카로운 칼을 가진 무사는 본적이 없다. 단추를 따고 검은 외투를 벗기면 수 십 마리의 생갈치들이 머리를 하늘로 두고 곧 승천할 기세로 매달려 있다. 이 사람의 비평이 그러하다.  

검객이든 무사든, 이번 책에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을 터, 짚어보면 그렇다. 옛날 영화를 보러 갔다,에서 다시 읽는 재미를 줬다. 제목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 해서 아, 그 잃어버린 시간을 찾나보다, 했으나 제목은 제목이다. 옛날 영화를 보러갔다에서 선자들의 인용만큼 한방이 없어 아쉬웠다. 거슬러 오르는 물고기는 거칠고, 계절이 오면 쉬이 강변으로 밀려 내장을 드러내기 마련인데, 아쉽고 아쉽다. 라깡을 다수 인용하지만 소설을 관통하는 실핏줄과 같은 흐름에 대해 토막을 내버리는 습관이 있는 것 같다.      

오래전, 아직 한국에 번역이 안 된 이국의 소설가가 쓴 <제비뽑기>라는 걸 읽었다. 관습에 의해 제비뽑기를 해서 1인을 투석으로 조져 죽이는 이야기다. 지금 내가 아는 평론가들 중에 관습에 의해! 돌을 맞을 사람은 있던가.  

내가 알기로 지금은 없다. 

하지만 이후에 누군가 나선다면 평론가 복도훈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