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22/63 - 1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11월
평점 :
시간여행 이야기를 좋아한다. 논리가 뒤죽박죽이 되고, 사건이 꼬이고, 원인과 결과가 바뀌는 그 상황. 시간이라는 절대적 힘을 거스르기 위해 노력하고, 시도하다가, 좌절하는 것도 좋아한다. 소망이 이루어지고 깨지며, 세계를 바꾸고, 돌아오고. 과거와 미래가 서로 작용하며 현재를 뒤바꾸는 이야기. 그 이야기를 작가가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어떤 방식으로 설정을 해놓았는지 보는 것도 흥미롭다. 그러니까 나는 스티븐 킹의 신작 『11/22/63』도 어떻게 과거가 주인공을 절망에 빠트릴지 궁금했다. 과거는 고집이 세니까.
토끼굴 너머 세상
조지... 아니, 제이크는 사람 잘못 사귄 탓에 토끼굴로 들어가게 된다. 토끼굴이란 일종의 웜홀로 시간과 시간을 잇는 통로. 토끼굴을 지나가면 항상 1958년 9월 9일 오전 11시 58분의 세계가 나타난다. 일종의 시간 여행인 셈. 과거를 바꾸고 현실로 돌아오면, 현실은 바뀌어 있다. 그러나 토끼굴로 다시 들어가면 다시 1958년 9월 9일이 나타나고, 이전에 바꾸었던 과거는 리셋된다. 그리고 제이크는 과거를 바꾸어 보기로 한다. 63년 11월 22일의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을 막기로 한 것이다.
여기가 어딘지는 알고 있었다. 메인 주하고 도 앤드로스코긴 군 한복판의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리스본 폴스.
문제는 지금이 몇 년도인가 하는 것이었다. _1권 53쪽
과거를 바꾸자
그리고 여기서 시간여행의 재미있는 부분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고집 센 과거의 방해와 화음의 연출. 역사가 반복되듯이, 제이크를 둘러싼 상황도 반복되고 소소하게 변주된다. 나비효과라고 할 수 있고, 타임 패러독스라고 해도 될까. 60년대에 적응해서 살아가는 제이크가 자신의 계획을 하나하나 실행해 갈 때마다 과연 이것이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궁금해진다. 책을 펼쳤을 때부터 사소한 변화 하나가 눈덩이처럼 커져 현실로 돌아갔을 때 제이크를 덮치는 장면을 떨리는 계속 기대한 내 성격은 좀 나쁜 편이기는 하다. 하지만 다들 궁금하지 않을까? 현재는 그럼 어떻게 변할까? 좋게? 나쁘게? 제이크의 의도대로 진짜로 세상이 좋게 바뀔까? 그 전에 제이크가 과거의 방해를 이겨내고 과거를 바꿀 수는 있으려나?

여정의 끝
제이크의 여정은 시간의 추적을 피해 목표를 향해 달리는 것과, 그 사명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뉘는 듯 하다. 어느 쪽을 선호하는지는 개인 취향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그 두 길이 겹칠 때 만들어진 결말은 참 멋있었다. 어쩌면 빤하다고도 할 수 있는 결과를 내놓고, 그걸 그렇게 낭만적인 결말으로 변환하는 솜씨가 대단하다고 해야할까. 이루말할 수 없을 정도로 낭만적인 결말이라 확 미리니름 하고 싶은 충동까지 인다.
"손을 잡으세요, 새디 선생님!" 바비 질이 외쳤다. "어서요!"
다른 사람들까지 옆에서 거들었다.
"잡아라! 잡아라! 잡아라!"
결국 그녀는 내 손을 잡았다. 우리는 춤을 추었다._2권 270쪽
과거는 고집이 세다. 고집 센 과거를 바꾸려 들면, 세상은 언제나 따끔하게 혼을 내려 들겠지만 그럼에도 인간은 과거를 바꾸려는 시도를 계속 할 것같다. What if. 만약이라는 말만큼 사람들을 유혹하는 것도 없으니까. 만약. 만약. 만약 토끼굴이 내 앞에 있다면 나는....
그렇기는 했지만, 나는 고전에 속하는 진부한 패러독스가 하나 생각나서 끄집어냈다.
"네. 그런데 과거로 돌아가서 자기 할아버지를 죽이면 어떻게 될까요?"
그는 당황한 얼굴로 나를 빤히 쳐다보았다.
"뭐 하러 그런 짓을 저지르겠나?"_1권 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