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카테고리에 넣어야하나 고민했다. 천명관의 『고래』. 분명 환상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환상문학으로 분류하기에는 부족한 느낌이다. 판타지 장르는 분명 아니고, 넓은 의미의 환상소설으로 봐도 애매하다. 환상'소설'이라는 점에서 망설이는지, '환상'소설이라는 점에서 망설이는지, '환상소설'이라는 점에서 망설이는지도 구분이 안 간다. 그래서, 그냥 환상소설 카테고리에 넣어버렸다. 


고래는 상당한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작품이고, 문단에서도 이걸 어떻게 봐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고 한다. 그럴만 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야기를 위한 이야기


고래는 이야기이다. 문장, 캐릭터, 주제의식, 세계관.... 그 모든 것보다도 이야기에 치중하고 있다. 순전히 이야기를 위한 이야기. 재미있는 이야기. 물론 장르문학을 주로 보는 나로서는 '재미있는 이야기'라는 게 무척이나 당연한 일이지만, 이런 식의 재미있는 이야기는 또 처음이다. 이 이야기는 어떤 특정한 장르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소설? 아니, 그보다는 '옛날옛적에...'로 시작하는 구전문학을 닮아있다. 텔레비전의 연속극을 말로 풀어주면 이런 식일지도 모르겠다. 소설의 화자는 끊고 늘리고 능청스럽게 독자에게 말을 걸며 이야기를 진행시킨다. 


노파, 금복, 춘희의 이야기를 말이다. 세 사람의 인생을 보여주면서, 서사를 진행시킨다. 멀리 떨어져서 '얘네가 이렇게 살았더래요'하는 식으로 말이다.



훗날, 대극장을 설계한 건축가에 의해 처음 그 존재가 알려져 세상에 흔히 '붉은 벽돌의 여왕'으로 소개된 그 여자 벽돌공의 이름은 춘희(春姬)이다. _1부 부두, 공장 中


영화가 끝나고 불이 켜지자, 갑자기 그 놀라운 세계가 눈앞에서 감쪽같이 사라졌다. 금복은 뭔가 속은 것처럼 억울한 기분이 들었다. 오르가슴을 향해 솟아오르다 추락한 것 같은 허망함과 아쉬움에 그녀는 자리에서 일어서질 못했다. 그 순간 그녀는 방금 눈앞에서 펼쳐졌던 그 신기한 세계가 멈추지 않고 영원히 계속되길 간절히 원했다. 그리고 만일 누군가 그렇게 해줄 수만 있다면 자신의 모든 것과 맞바꾸어도 아깝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_1부 부두, 로라 中



구전문학 같은 이야기


이야기는 기묘하다. 옛날 이야기니까. 민담이니까. 이상한 이야기 좀 나올 수도 있는 거다. 그 환상성을 주체로 삼고 있지도 않고, 판타지의 전형적 문법도 보이지 않는다. 양념처럼 첨가할 뿐이다. 벌을 부리는 이상한 할머니도 나오고, 사람 성별이 변해버리기도 하고, 죽은 남자의 아이를 배기도 하고 동물과 이야기를 나누기도 한다. 그런데 정말 이상하게, 이상하게도 판타지라는 생각은 안 든다. 분명히 판타지도 구전문학에서 출발해 소설로 정착한 장르인데? 장르 소설 '이전'의 형식을 담고 있기 때문일까. 말로 전달되는 이야기 말이다. 



야한 이야기


이게 판타지든 아니든 간에, 이야기 자체는 재미있다. 소설 속의 음담패설에는 좀 익숙해지기 어렵고 어떤 사람들은 거기에 거부감을 느낄 듯 하다. 후배는 이 책의 마초적 분위기가 정말, 진심으로 싫었단다. 이야기에서는 정말로 음담패설이, 성적인 관계가 소설 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섹시하다거나 한 것이 아니라, 투박한 부둣가 선원들이 아낙네 희롱하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만약 그런 걸 싫어하는 사람이 이라면 이 소설을 피하는 것이 좋을 것같다. 


그녀가 엑스레이 사진을 통해 발견한 것은 바로 죽음 뒤에 남게 될 자신의 모습이었다. 그날 이후, 그녀는 언제나 입버릇처럼 '죽저지면 썩어질 몸'이란 말을 자주 되뇌었다. 그리고 곧 내키는 대로 아무 사내하고나 살을 섞는 자유분방한 바람기가 시작되는데, 그것은 어쩌면 평생을 죽음과 벗하며 살아온 그녀가 곧 스러질 육신의 한계와 죽음의 공포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덧없는 몸부림이었는지도 모른다. _2부 평대, 통뼈 中



내게는 참 매력적인 이야기였다. 쉼 없이 몰아치며 전개해가다, 딴전 피우고, 이야기로 다시 돌아가고, 사람들이 엮이고, 인생이 계속되고. 그 모든 것이 말이다. 이야기를 위한 이야기. 재미있는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