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바이브
알렉스 모렐 지음, 이영아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사람은 많을 것이다. 그 말을 입에 살고 사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것을 실천해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눈밭 위의 투쟁


『서바이브』의 주인공 제인 솔리스는 진심으로 그 '죽음'을 바라는 드문 사람 중에 하나이다. 


전부터 우리 집안에는 우울증과 자살 충동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았다. 증조할아버지부터 시작해서, 할머니, 그 다음엔 아버지까지. 내 첫 사건 땐, 그들처럼 스스로 목숨을 끊고 나면 내 인생도 특별해질 거라는 욕심이 있었다. 모든 이들이 그들의 힘들었던 삶과 극적인 최후에 대해 끊임없이 얘기했다. 하지만 그들의 길을 따를 용기가 과연 내게 있는지는 확신할 수 없었다. 두 번의 예행연습을 통해 나는 내게 그런 용기가 있다는 걸, 그리고 확실히 죽을 수 있는 계획을 잘 세우기만 하면 된다는 걸 깨달았다. 

꿈에서 깨어났을 때, 나는 바로 그 계획을 찾았음을 알았다. 라이프 하우스에서, 또 고통으로 가득 찬 가련한 내 삶에서 달아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정확히 알 수 있었다. -15쪽


제인은 자살 시도 이후에 치료를 위해 라이프 하우스에서 수용생활을 했다. 그렇지만 의도적인 모범적인 생활을 함으로써 크리스마스 휴가에 집에 돌아갈 수 있게 된다. 제인의 계획은, 집에 가는 비행기 화장실에서 약을 먹고 죽는 것. 그런데 비행기 사고가 나버리고 제인은 홀로 살아남게 된다.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살 것이라는 말이 이 경우에 쓰라고 있는 건 아닐 텐데 너무 잘 들어맞는다고 해야할까. 아, 제인 혼자는 아니다. 폴이라는 남자도 있다. 폴과 제인은 눈밭, 너무 추워서 마실 물조차 없는 고원지대의 눈밭에서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하게 된다. 






제발 살아남기를


이후의 이야기 전개는 조금 뻔하다. 죽음의 위기 속에서 생에 대한 의지를 갖게 되고, 속풀이도 하고, 사랑도 하고. 어찌 보면 통속적이랄 수도 있을 전개. 그러나 통속성이 계속해서 재현되는 것은 그것이 많은 이들에게 와닿기 때문이다. 알렉스 모렐은 이야기를 넘어 두 사람의 관계와 제인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그려냄으로써 독자를 설득해낸다. 어느샌가 나도 그의 이야기에 빠져들어 '뭐야, 설정 작위적이잖아. 당연히 살려고 들겠지'라는 삐딱한 시선 또한 바뀌어서 두 사람의 생존을 간절히 바라게 되었다. 


"무서워요." 나는 솔직하게 말한다. 

"난 아까 오줌 쌀 뻔했어. 무서운 게 당연하지."

"다들 그렇게 말하더라."

"다들이라니, 누구?" 폴이 묻는다.

"사람들이요."

"의사들?"

"네, 의사들, 부모님, 친구들, 이젠 산꼭대기에서 만난 낯선 남자까지. 다들 나한테 두려울 게 없는 것처럼 살라고 말해요. 그래놓고는 갑자기 죽어버리기나 하고." -172쪽 



의사도 사람들도 바꾸지 못했던 제인을, 오히려 죽음의 상황이 바꾸었다는 사실은 참 아이러니하다. 인생이 그런 것이겠지만. 

나 또한 새하얀 눈밭에서 다시 태어난 제인을 통해 치유된 느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