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맨 The SandMan 1 - 서곡과 야상곡 시공그래픽노블
닐 게이먼 외 지음, 이수현 옮김 / 시공사(만화)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SF&판타지 도서관에는 재미있어보이는 책들이 많았다. 그 많은 책 중에서 집어든 것은 『샌드맨 1 -서곡과 야상곡』이다. 왜? 어째서? 물어본다면, 《녹스 앤 룩스》에서 봤던 <<샌드맨> 즐겁게 읽는 법>이라는 기사 때문이었다. 샌드맨. 제목은 정말 많이 들었고, 유명 SF작가 닐 게이먼을 이야기하면서 빠지지 않는 작품이다. 소설이 아닌 그래픽 노블(만화)라는 건 알고 있는데, 대체 뭐하는 이야기야?

 

샌드맨 즐겁게 읽는 순서?

<샌드맨 즐겁게 읽는 법>에서는 각 권의 분위기와 기조를 분석하면서 독자에게 맞는 샌드맨을 추천한다. 1권부터 차례대로 읽는 것은 그리 추천하지 않는 듯한 기색이다. 그럼에도 내가 1권부터 읽었던 것은, '판타지 소설 독자라면 처음부터 이작품부터 읽어도 무리가 없다.'라는 문구와 그래도 순서대로 봐야지 싶었기 때문이다. 역시 판타지 독자였기때문일까? 재미있게 읽었다.

 

 

그래픽 노블 어려워라.

그런데 내가 제일 당황했던 것은 내용이나 분위기가 아니라 그래픽 노블이라는 이야기기 형식 그 자체였다. 내용? 분위기? 익숙한 장르였고, 기본적인 이야기 골조도 판타지다웠다. 그러나 그래픽 노블은 너무나 낯설었다. 그래픽 노블을 제대로 본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아니, 그래픽 노블이든 아니든 영미권 만화책을 제대로 본 것이 이번 처음이다. 어쨌거나 만화책이니까 만만하게 봤는데,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렸다. 그림부터가 낯설고, 전개도 그리 친절하지 않았고, 사람 얼굴도 그림마다 바뀌는 거같아서 구분하느라 애먹고. 소설로 써져있다면 되려 더 이해도, 속도도 낫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다. 그래픽 노블이 어째서 그냥 코믹북이라고 불리지 않고 '노블'이라는 명칭을 다는 건지 제대로 이해했다.

 

꿈의 왕, 샌드맨.

샌드맨, Sand Man은 모래로 만들어진 사나이같은 게 아니다. 내가 그렇게 생각했었다는 것은 비밀. 유럽 전래 민담에서의 샌드맨이라는 존재이다. 모래를 뿌려 사람들을 잠들게 하는 꿈의 요정. 이 작품에서 샌드맨은 죽음의 동생이자 꿈의 세계의 왕, 신이다. 죽음을 소환하려는 사람들의 오만한 시도가 실패하고 그 동생 샌드맨이 소환당해 유배되었다. 70년이었던가? 70년 동안 때를 기다린 샌드맨은 복수를 끝내고, 자신의 잃어버린 물건들을 하나씩 찾아간다. 퀘스트를 하나씩 완수해가는 과정. 미국식 유머도 조금씩 들어있다. DC 코믹스의 저스티스 리그도 잠시 등장. 잘 알지 못하니까 저 악당이 누구인지는 모르겠다.

 

잔인한 꿈.

하나의 이야기가 책 한 권을 관통하고 있지만, 퀘스트 형식이다 보니까 한 퀘스트 하나씩이 각각의 이야기인 듯한 느낌도 준다. 이야기 배경도 느낌도 각각 다 다르다. 근데 어떤 이야기는 꽤 잔인하기도 했다. 아니, 대부분이 그랬다. 만화로 보면서도 끔찍했으니 영화로 나왔으면 못 보고 돌렸을 테다. 꿈이라는 세계가 대변하는 것들. 악몽, 욕망, 잔인성, 야수성 등이 깨어나며 현실을 파괴했다. 그러나 '샌드맨'이라는 인물 자체가 잔인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유배 때문에 약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려나.

 

 

어쨌거나 재미있었다. 다른 권들은 무슨 이야기일지 궁금한데, 어디서 구해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