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로버트 J. 소여 지음, 김상훈 옮김, 이부록 그림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네이버 베스트 도전 만화에 <한글을 그리다>라는 웹툰이 있다. 한글을 가지고 이것저것 형상을 만드는 웹툰이다. 그 만화를 보고 외국인이 가지고 있던 한글 도메인을 사왔다는 사람도 있을만큼 인기가 좋다. 붓으로 쓰는 캘리그라피야 각광받은지 꽤 되었다지만, 이렇게 한글 자체를 그림으로 바꿔버리는 타이포그래피는 상당히 신선하게 다가왔다.『멸종』의 표지도 그런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그림이다. <한글을 그리다>처럼 전부 한글만으로 그린 그림은 아니고 부수적인 다리도 달려있지만 이런식으로 문자를 그리는 게 낯설면서 재미있게 다가왔다. 3년 전, 물론 이런 시도를 한 게 처음은 아니겠지만 색다른 건 사실이었다. 그것도 책 표지가 그런 일러스트니까. 





공룡 시대로 시간 여행

멸종은 표지 뿐만이 아니라 내용까지 내가 좋아할만한 요소가 많았다. 일단은 그 소재. '시간 여행!' 워낙 시간여행 이야기를 좋아하는 나라서 시간여행이 나오자마자 집중해서 읽기 시작했다. 캐나다의 두 고생물학자 브랜든과 클릭스는 시간여행을 통해 6500만년 전의 지구로 가게 된다. 공룡이 멸종한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타임머신으로 공룡 시대로 간 두 고고학자... 왠지 쥬라기 공원 같을 거같지만 이야기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된다. 지구의 가벼운 중력, 새로운 별, 이상한 생물 등. 이거 단순한 시간 여행이 아닌데?


 


하드 SF?

로버트 J 소여는 스스로를 하드 SF 작가라고 일컫는다고 한다. 하드 SF가 뭐냐면, 소프트 SF가 아닌 SF. 과학적 이론과 가설 등을 좀 더 파고 들어 거기에 기반을 내리고 있는 소설을 말한다. SF에서도 과학 이론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 제각기. 어떤 건 그냥 판타지라고 보일 정도로 가볍기도 하지만 어떤 건 정말 묵직하게 복잡한 과학 이론을 가져오기도 한다. 소프트 SF라면 내가 아는 한에서는 배명훈을 들 수 있겠다. 하드니 소프트니 하는 게 상당히 주관적이기는 하다.  나야 SF 전문가가 아니니 설명을 잘 못하겠는데 판타스틱에 올라온 칼럼을 보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어쨌거나 로버트 소여는 자칭 하드 SF작가 답게 소설 내에서 탄탄한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해나간다. 공룡 멸종에 관련된 수많은 이론을 들이대며 운석 충돌설에 대해 반박하기도 하고 말이다. 물론 하드 SF라고 해도 대부분은 허구다. 가설이 가지는 구멍을 파고들어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것. 로버트 J 소여는 정말 멸종에서 상상의 나래를 펼쳤다. 정말 말도 안 될 거같은 이야기를 들이민다. '사실 원래 이랬어'라며. 그런 과학소설다운 엉뚱함이 멸종의 이야기를 더 흥미롭게 만들고 있다.

 

 

판타스틱 칼럼 - 하드 SF란 무엇인가[클릭] 

 

 


 

가끔씩 나오는 일러스트 보는 맛도 쏠쏠하다


행동하지 않는 것도 선택
타임라인과 변화, 우주와 생명의 기원. 미래와 과거. 그리고 계속되는 선택. 시간여행, 특히 타임 패러독스를 생각하지 않고 미래를 바꾸는 백 투더 퓨처 식의 시간여행에서는 선택이 무척 중요하다. 우유부단했던 브랜든이 선택으로서 인류를 구하고-선택지가 별로 없었다지만- 그럼으로써 가정의 행복을 되찾은 건 시간선을 올바른 궤도에 올려놓게한 결단이었다. 물론 누군가는 거기에서 아픔을 얻었지만 적어도 브랜든에게는 완벽한 결말 아니었나 싶다. 이 타임라인의 브랜든과 저 타임라인의 브랜든 사이의 차이가 처음에는 나도 혼란스럽게 했다. 이게 어떻게 된 거지? 뭐 읽다보면 그냥 알게 된다. 소설에서 계속 반복되는 말이 있다. '행동하지 않는 건 그 자체로서 하나의 결단이다'. 그래, 우유부단함도 선택이지. 제대로 된 선택을 하려면 행동해야겠지만, 행동하지 않음도 하나의 선택이다. 결국 브랜든은 행동함을 선택하게 되지만. 

그러나 바로 지금 이곳에 와 있는 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우리 모두가 그렇다. 나는 몇 년 동안이나 결단을 내리는 일을 피해왔다. 그러나 결단을 내린다는 행위야말로 우리를 인간답게 만드는 요소이며, 생물관 단지 생물을 흉내 낼 뿐인 헤트 같은 존재들을 구별하는 관건이다.  -p.363

하나부터 열까지 다 좋았던 멸종
멸종 정말 재미있었다. 표지부터 내용까지, 내지 디자인까지 전부 마음에 들었다. 모든 SF가 이런 식이라면 난 정말 다 읽을 거 같다. SF가 나랑 맞지 않는 장르는 아닌데 왜 난 잘 안 읽고 있는 거지? 많이 읽어야겠다. 일단 3대 판타지 작가들 작품부터 읽어야할까. 하드 SF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