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전쟁 이타카 新괴담문학 시리즈 1
진산 지음 / 디앤씨미디어(주)(D&C미디어)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이타카 新괴담문학 프로젝트 첫 번째 주자 바리전쟁이다.  

다음 문학 속 세상에서 연재를 했었다지만 읽지 않았기에 어떤 이야기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전무했던 상태이다. 그러던 차에 괴담문학이라고 이름 붙고, 북트레일러도 음산한 분위기로 만들어놨기에 공포소설인가 했다. 그런데 공포를 기대하면 좀 실망할지도 모르겠다. 그냥 무속을 소재로 한 현대 판타지라는 게 맞을 듯 하다. 그러고 보니 원래 현대 판타지라고 광고했던 것 같다. 소설의 느낌을 말하자면 꿈 속에서 퍼즐 맞추기 하는 것 같다.  

바리데기 설화는 아마 우리나라 옛 이야기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이야기이지 싶다. 이야기의 의미나 어려운 분석 같은 것은 차치하고서라도 무척이나 재미있으니까. 그 때문에 계속해서 변용되고 재창조되는 것일테다. 같은 바리데기 설화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피리새>>와 <<바리전쟁>>은 상당히 다르다. 둘 다 판타지로 바꾼 것인데도 말이다.  

주인공은 대학원생이다. 북트레일러 볼 때는 여자인 줄 알았더니, 남자였다. 진영이라니, 이름도 여자같잖아...라는 건 넘기고 그는 10년 동안 고향에 돌아가지 않았다. 아버지가 데려온 이복 여동생이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진영은 소설 속에서 시종일관 여동생 수영을 '그것'으로 칭한다. 자신이 이해할 수 없는 힘을 가졌다는 이유로 동생을 감정도 없는 무서운 괴물 취급하는 것이다. 아버지가 계속 주무신다는 이야기를 듣고 고향으로 내려가서 그것과 십년만에 조우했다. 그리고나서 기이한 일들을 겪기 시작한다. 그것과 함께 살게 된 것이다.  

이후로 한국의 무속에 관한 이야기가 진행된다. 한국의 무속. 무당과 신내림, 바리공주와 관련된 기이한 이야기들이 차근차근히 진행된다. 귀신이 하나씩 사라져가는 이 세상에서 무당들의 설 자리는 사라져간다. 변말을 사용하는 그들의 대화는 전혀 알아듣지 못했고, 피안과 차안이라는 개념 또한 나에게는 어렵다. 나는 그저 차안의 사람일 뿐이니까.  

잊혀져가는 한국의 무속 신앙에 대해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엄마가 점 보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점괘 같은 건 잘 안 믿는 나. 그러면서도 외국의 타로점은 관심을 가지고 있던 나. 은연 중에 한국의 무속을 비하하고 무시하던 게 아니었을까. 하나도 알지도 못하면서 말이다. 무가가 다시 힘을 갖게 되는 것처럼, 나 또한 한국의 무속에 대한 이미지를 바꿔야겠다.  

 내가 볼 수 없는 피안의 세계는 무척이나 흥미로웠다. 비록 기대했던 으스스함은 없었지만, 충분히 재미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