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크리크 다리에서 생긴 일 기담문학 고딕총서 9
앰브로스 비어스 지음, 정진영 옮김 / 생각의나무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앰브로스 비어스라는 작가를 알 게 된 것은 <<악마의 사전>>이라는 책을 서점에서 발견했을 때이다. 그날 버스에서 펼쳐든 ’악마의 사전’은 풍자와 비꼼, 냉소로 점철되어 있었다. 사전이라는 형식은 세상에 대한 작가의 정의를 무척이나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앰브로스 비어스는 이 악마의 사전에서 볼 수 있 듯 격렬한 비판과 풍자로 유명했던 작가라고 한다. 근 100년 전에 실종되어 증발해버린 작가, 냉소적인 미남(그렇다. 사진 보니까 잘생겼다)이라는 사실들은 작가에 대해 호기심이 생기기에 충분했다.

그의 단편들은 조금 기묘하다. 길이부터가 참 애매하다. 일반적인 단편 소설들보다 짧다. 단편이라기 보단 콩트에 가깝달까? 이 책에는 총 17편의 단편 소설이 들어있는데 소설들이 어찌나 짧은지 판형도 작고 두께도 별로 두껍지 않다. 이 짤막짤막한 이야기들은 짧은 길이만치 집중하기도 어려운 듯 쉬운 듯 애매하다. 몰입한다 싶으면 이야기의 끝에 다다라있다.

모든 단편들에서 끊임 없이 등장하는 소재가 있으니 바로 죽음이다. 유령이 나오기도 안 나오기도 하고 배경이 폐가이기도 숲 속이기도 하지만 모두에게는 죽음이라는 손님이 찾아온다. 죽음이야 말로 인간에게서 가장 공포를 끌어내기 쉬운 소재이니까. <시체를 지키는 사람>이라는 단편에서 어떤 미신도 믿지 않는 남자가 시체와 함께 보내는 밤에서 끊임없는 불안과 두려움을 느꼈듯이 말이다. 

논리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단편도 많다. 내가 글을 읽는 실력이 미숙하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초자연적인 미스터리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려는 것부터가 잘못일지도 모르겠다. 아까 말했듯이 각 단편들은 너무나 짧다. 그만큼 작가는 설명을 해주지 않는다. 하기사, 유령과 꿈이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던가?

유령과 꿈만이 아니고 인간들의 잔학성 이야기도 나온다. 남북 전쟁을 배경으로 한 단편들도 여러편 있다. 전쟁에서는 언제고 죽음이 닥치기 마련이니. 자신의 예술적 살인을 자랑스러워하는 살인자의 이야기도, 부모님에게 일어난 일을 담담하게 서술하는 아이도 있다. 그들에게서는 살인에 대한 죄책감도 도덕성도 볼 수가 없다. 유령보다 무서운 것은 이런 사람들이다. 유령이 나오는 단편보다 사람이 무서운 쪽이 더 재미있었던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유령-내적 공포의 눈에 보이는, 외적인 증거 (<<악마의 사전>>, 앰브로스 비어스, 정민미디어, 2006)

하기사, 유령이든 인간이든 확실한 것은 공포라는 것이다. 100년의 세월 때문인지. 그렇게까지 무섭지는 않았지만 내면의 공포심리에 대해 생각을 해볼 여지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