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톨레마이오스의 문 바티미어스 3
조나단 스트라우드 지음, 남문희 옮김 / 황금부엉이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바티미어스 시리즈의 마지막권이다.  

존 맨드레이크는 정보부 장관이 되어 일에 시달리고 있다. 키티는 마법 공부를 시작했고, 프톨레마이오스와 바티미어스를 조사해 간다. 그리고 바티미어스는, 나타니엘에게 심하게 부려먹혀 죽어가고 있다. 본질이 고갈되어 가는 것이다. 더 철저하게 사회 시스템에 따르는 나타니엘 때문에, 유쾌하고 재치 넘치며 강력했던 지니는 한 번 변신하는 것조차 고통스럽게 되었다. 바티미어스와 나타니엘의 골은 깊어진다.  

1권에서는 마법사 이야기, 2권에서는 평민들 추가. 3권에서 이야기는 요괴들에 대한 것으로 확장된다. 마법사들의 노예인 요괴들만이 아닌, 요괴들 자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들의 세계, 그들의 본질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것이 가능하게 한 인물이 한 명 있으니 바로 키티가 좇고 있는 프톨레마이오스이다. 1, 2권에서도 가끔씩 언급되던 인물이다. 앞 권에서 언급되는 것만으로도 프톨레마이오스는 바티미어스와 특별한 관계를 맺었던 마법사일 것이라고 짐작 가능하다. 그가 바티미어스에게 특별한 존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프톨레마이오스의 문 때문이다. 이 문은 바티미어스 시리즈에서 나왔던 갈등들이 해결될 수 있는 실마리를 보여준다. 인간과 요괴의 갈등, 지배와 피지배의 굴레를 벗을 수 있는 열쇠가 되어 더 큰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문은 이해의 상징이다. 물론 이 문 하나를 연다고 해서 모든 갈등이 사라지고 지상에 낙원이 펼쳐지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가능성은 생겨난다.  

권력자들은 그 권력에 대한 욕심 때문에 자멸한다. 수상 데브로가 치욕스런 선택을 한 것도 추하지만, 많은 음모를 꾸미던 자들이 허망하게 망한 것 또한 씁쓸하다. 지배당하던 노예들은 지배자들을 해치고 전세를 역전하지만, 그 것은 상황이 나아지는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 바티미어스가 이야기한 제국의 수립과 몰락같은 역사의 순환이 평민과 마법사에서 벗어나, 요괴와 마법사의 관계가 되었을 뿐이다. 또한 평민들에게 있어 요괴의 승리는 지배 계층만이 바뀌었을 뿐이다. 아니, 상황은 더 악화된다. 익숙한 시스템이 깨진 데다가 생존까지 걸렸으니 말이다. 

이제까지 존 맨드레이크로서 야심을 드러내던 나타니엘은 변한다. 3권 초반부터 지친 모습을 보여 변화를 예상케 하기는 했지만, 갑자기 착해진 것은 좀 유감이다. 일반적인 성장 판타지와 같은 전철을 밟게 되었다고나 할까. 물론 나타니엘이 철이 들기를 처음부터 기다려왔다. 키티와 나타니엘이 만난다면 나타니엘이 키티에게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각은 했었다. 정말로 그렇게 되니 아쉽다. 

어쨌거나 마지막 위기 상황에서 두 인간 주인공의 행보는 갈린다. 나타니엘이 그 동안의 이미지를 벗고, 자신의 사고 방식을 바꿨지만 그 근본마저 바꾸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었던 듯 싶다. 그는 일단 사태를 막기 위해 힘을 택한다. 힘을 힘으로 제압하는 것이다. 그가 마법사의 사고에서 약간 벗어나기는 했다고 해도, 그 기반조차 완전히 바꾸지는 못한 것이다. 반면에 키티는 그녀가 이제껏 좇아온 대로 화합을 선택한다. 프톨레마이오스의 문을 넘어, 이 세상과 저 세상이 이해할 수 있는 길을 택한 것이다. 그녀의 선택이 꼭 옳다고는 할 수 없다. 그녀의 선택은 정황에 비춰볼 때 안일하기도 하고 현실적이지도 않다. 이상적이다. 그러나 두 사람의 선택이 갈리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두 쪽 모두 좋게 작용한다. 두 선택이 합쳐져 시너지 효과를 낸다.  

이번 권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요괴들의 본질이 있는 저쪽 세상이다. 그 모습 자체와 돌아가는 원리도 신기했다. 하지만 두 세계가 만난다는 것은 혼란을 주고, 어느 쪽이 오고 가든 고통을 주게 마련이다. 키티는 그 영웅적인 행보를 보였지만, 누가 그 길을 또 걸을 수 있을까? 마법사의 지배가 불가능하게 되었고, 평민들은 서서히 정치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키티의 힘으로 요괴와의 대등한 관계도 가능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그 미래에 한 사람이 빠져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니 안타깝다. 썩 좋은 녀석은 아니었지만, 나름대로 정 들었는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