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글리 - 못생긴 나에게 안녕을 어글리 시리즈 1
스콧 웨스터펠드 지음, 송경아 옮김 / 문학수첩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어글리 시리즈는 지금으로부터 몇 백 년 후의 이야기다. 녹슬이들의 문명(석유를 기반으로 한 지금의 문명)이 쇠퇴하고 새로운 방식의 사회가 만들어진다. 국가라는 큰 틀은 존재하지 않고, 도시 규모의 공동체가 존재한다. 16살이 되면 못난이들은 전신 성형을 통해 예쁜이로 거듭난다.

어떻게 보면 무척이나 이상적인 사회다. 사회 구성원이 어떤 불만도 품을 필요가 없고, 욕구가 자연히 채워지는 그런 유토피아이다. 굳이 일을 할 필요도 없고, 남들만큼 예뻐질 수 있고, 원하는 것은 모두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상적이고 평화롭다.

그런데 유토피아를 벗어나 스모크로 탈출하는 못난이들이 있고 스모크의 주민들은 지상 낙원을 거부한다.  스모크로 잠입한 16살의 소녀 탤리 또한 스모크에 머물고 싶어한다. 어째서일까?

예쁜이들의
도시는 겉으로 보기에는 이상적이지만 내적으로 ’인간성’을 결여하고 있다. 이 인간성이라는 것은 폭력, 파괴, 질투 등의 부정적인 것들을 내포한다. 예쁜이들은 그것을 인위적으로 제거당한다. 그들은 쾌락에 빠져 즐겁게 지내고 계속 행복한 삶을 산다.  말 잘 듣는 인형이 되는 것이다. 예쁜이가 된다는 것은 외형만 인형처럼 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체제에 대한 반항 자체를 하지 못하게 된다. 자기 자신의 주체성을 결여당한다.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으로 ’개조’당하는 것이다. 아니, 사람이기는 한가? 예쁜이는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사육 당하는’ 것이다. 자신의 의지로 선하게 살아가는 것이 아니기에. 옛 사랑과 질투, 감정조차 그들의 것이 아니기에. 행복을 핑계로, 사람들의 자기 결정권을 뺏어가고 선택을 앗아간다. 삶이 제한당한다.

또한 예쁜이들은 획일화 된다. 차이를 인정 받지 못한다. 못난이로 살아가는 동안, 차이보다는 획일화를 원하도록 세뇌받는다. 이름보다 실눈, 말라깽이 등으로 불리면서 서로의 인격을 모독하고 외모를 치욕스러워 하게 한다. 예쁘지 않으면 존중 받지 못하는 사회인 것이다. 개성도 인정받지 못한다.

분명 이상적이다. 사람들은 행복하다. 그렇지만 상처받지 않는 인간들이 인간인가?
이 소설의 주인공인 탤리는 상처 받고 행복하지 않더라도 그녀 자신으로 남기를 선택한다. 외모에 의한 것이 아닌 마음으로 사람을 보고 사랑을 하게 되었다. 친구를 위해 위험을 무릅쓰는 인간적인 길을 택한다. 체제에 반항하고, 사람들을 속이는 길을 택한다.

이 책의 마지막에서 탤리가 하는 선택은 아마도 그녀의 생에서 최고의 속임수가 될 것이다. 그녀 자신까지 버리는 속임수. 그녀가 어떻게 세상을 부수고, 진실을 알릴 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