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글쓰기 특강 - 생각 정리의 기술
김민영.황선애 지음 / 북바이북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을 잘 쓰고 싶다면.. 책 읽은 방법 부터 바꾸자

책을 주기적으로 읽기 시작한 2년 전부터 한 달에 1~2권을 읽어오기 시작했다. 독서의 끝은 책을 덮을 때가 아니라 서평을 쓴 다음이라고 했다면, 내가 완독한 책은 열 손가락 안에 들것 같다. 이처럼 책을 읽고도 남은 것이 없고, 무엇을 써야 할지도 모르겠으며, 내 생각을 글로 표현하기도 쉽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완독하지 못한 책들에 대한 미련으로 책 읽기가 더 쉽지 않았고 스트레스를 받으면서까지 써야 하나 싶어 포기한 상태로 책만 읽어나갔다. 읽은 책들은 하나둘 늘어나지만 기억에 남은 것은 무엇도 없었다. 계속 되풀이되어가는 나의 서평 쓰기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했으며 무엇이라도 좋으니 해결책이 있기를 간절히 바라며 책을 읽어나갔다.
책을 읽은 후 독후감이던 서평을 쓰던 그건 개인의 선택이다. 하지만 어는 것을 쓰더라도 제대로 책을 읽어야 쓸 수 있다. 대부분 사람들이 책을 읽을 때 밑줄 하나 긋지 않고, 메모도 남기지 않는 책 읽는 습관을 지니고 있다. 나의 경우도 밑줄 대신 포스트잇 정도 붙이는 게 다다. 책을 다 읽은 후 포스트잇으로 표시한 곳만 보고 정리하려고 하다 보면 내가 이곳에 왜 포스트잇을 붙여놨을까? 하는 생각들을 종종 하게 된다. 표시해둔 곳만을 보고 정리를 하자니 내가 정말 무슨 이야기를 하고자 했는지 알 수 없을 때가 많았다. "어떤 생각으로 이곳에 표시를 해두었지!" 하고 생각을 더듬어 보려고 했던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다 보니 정리는 당연히 될 수 없었다. 그만큼 책 읽는 방법이 가장 중요했다.

 

책을 읽을 때 서평 혹은 독후감을 쓴다는 목적 고려하여 책 읽기를 해야 한다. 이를 출력 독서법(출력을 고려한 독서법)이라 한다. 서평 쓸 목적으로 읽게 되면 태도가 달라지고 책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다. 또한, 공감 가는 곳에 밑줄을 긋고 현재 생각을 메모하다 보면 자신의 관점이 명확해질 수 있다. 이처럼 읽기가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 같다. 책을 읽고도 정리가 되지 않는 분들에게 출력 독서법을 권해 본다.
(나 또한 출력 독서법을 통해 예전과 다르게 쉽게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11-09 11:2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