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리노믹스 - 유튜브 시대, 스토리 마케팅으로 수익을 창출하라
로버트 맥키.토머스 제라스 지음, 이승민 옮김 / 민음인 / 2020년 4월
평점 :
"유튜브는 재밌는데, 광고는 왜 스킵할까?"
소비자들의 반란이 일어났다!
뜬금없이 무슨 소리인가 할 것이다. 바로 소비자들이 원치않는 '광고'를 스킵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기업의 홍보, 수익과 이윤 창출을 위해 제작된 광고들이 TV에서 무자비하게 쏟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원하든 원치않든 무작정 광고를 시청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넷플릭스, 훌루 등을 통해 광고없이 영화,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소비자가 광고를 차단하고 무시하고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광고를 기피하는 이상, 마케터들은 어떻게든 소비자에게 도달할 새로운 경로를 서둘러 찾아내야 한다.
이제 광고는 허풍과 장담의 주입식 '푸시 전략'이 견인력을 잃을수록, 더 많은 마케터들이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으로 끌어당기는 '풀 전술'로 방향을 선회한다. 이에 필요한 것이 바로 <스토리노믹스>다. <스토리노믹스>는 재정적 결과를 견인하는 스토리 중심의 비즈니스 실행을 지칭하며, 비즈니스 세계가 가진 엄청난 스토리의 잠재력을 뽑아낸다.
"스토리는 삶의 도구다." - 케네스 버크 (극작가)
"내 회사, 내 제품에 대해 듣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구매 직전에 잠깐 머릿속에서 브랜드를 놓고 고민하는 시간은 1분 정도다. 바로 그 귀중한 1분 때문에 현대 마케팅에서 스토리화된 브랜딩이 반드시 필요하다. (P188)
대상 관객이 정해졌다면(스토리텔링 과정의 1단계), 이제 물리적, 사회적 설정, 핵심 가치, 주인공을 포함한 소재를 선택할 차례다.(2단계) 브랜드 스토리에서 택할 수 있는 소재는 기원 스토리, 역사 스토리, 미션 스토리, 제품 스토리, 고객 스토리의 최소 다섯 장르로 분류할 수 있다. 브랜드를 정의하려면 적어도 한 가지 스토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P196)
성공적인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3단계
1. 관객을 매혹하고 관객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통찰과 정보를 제공해 관객을 만족시킬 이야깃감을 고른다.
2. 이 주제를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드라마화할 수 있는 최고의 크리에이티브 인재를 고용한다.
3. 시간이 지나도 탁월한 수준을 계속 유지한다. (P253)
단순히 지식 정보 또는 제품만 소개하는 광고는 시청자들, 소비자들에게서 외면받는 시대다. 이는 곧 기업의 이윤과도 직결된다. 이에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광고도 '스토리'를 전달해야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고 소비자들의 머릿속에 더욱 각인될 수 있다. 그동안 여러 컨텐츠를 보면서 중간중간 광고가 나올 때마다 성가시기도 했는데 이 책을 읽고나니 그 생각이 좀 바뀌었다.
읽으면서 다소 아쉬웠던 점은 이것이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써진 책이 아니라서 외국 기업을 대상으로한 마케팅, 광고에 관한 사례를 다룰 때 좀 와닿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현직 마케터, 마케팅을 전공하거나 마케팅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스토리 마케팅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기에 꼭 읽어보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