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 산업혁명 미래 전략 보고서 - 포스코.GE.지멘스는 어떻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는가
김민규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18년 1월
평점 :
최근 가상화폐(암호화폐)로 시끌시끌했다. 물론 누군가가 돈을 많이 벌었다느니, 돈을 잃었다느니 하는 내용으로.
이렇게나 가상화폐가 화제가 된 것은 조만간 가상화폐가 우리의 생활 속으로 들어오는데까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봐도 좋을 듯하다.
지식집약형 산업이라고 불리는 4차 산업.
우리에게 쉬운 예로 스마트폰, 자동계산대, 알파고 등을 들 수 있을 듯 싶다.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나는 입학 후 전공수업에서 IoT, 유비쿼터스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온다고.
나는 10년 전에 들은 이야기지만 글쓴이는 20년 전에 들었다고 한다.
점점 상상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4차산업이 더욱 가까이 다가오면서 우리는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그 편리함만큼 두려움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다.
기계들의 활동으로 인한 일자리에 대한 두려움.
이 책에서는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계획하고 해결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문제를 정의함에 있어 인간과 로봇, 더불어 자연환경까지 공존할 수 있어야 함을 주의해야할 듯 하다.
가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인간과 로봇, 자연이 공존할 수도 있고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다.
<4차 산업혁명 미래 전략 보고서>에서 다룬 포스코, GE, 지멘스는 모두 제조회사이다.
이 책에서는 제조회사의 4차산업을 맞이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아마도 제조회사를 다니고 있는 분들이 본다면 꽤나 좋은 참고서가 되지 않을까 싶다.
제조업을 하고 있지 않다고 해도 이 책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들이 있다.
4차산업의 미래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미래를 먼저 생각하고 현재로 되돌아온다는 방법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에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술은 점점 빨라지고 자동화되고 그것이 당연하게 느껴지고 있다.
판을 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판을 짤 때 가장 중요한 것들을 놓쳐서는 안된다.
인간이 없이 기술이 발전할 수 없고 인간이 없이 삶은 성립될 수 없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