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연애할 때 - 칼럼니스트 임경선의 엄마-딸-나의 이야기
임경선 지음 / 마음산책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거 좀 대충하고 삽시다'
그녀가 게스트로 출연한 육아팟캐스트의 부제는 그랬다. 육아, 왜 그렇게 다들 어렵게 생각하는지. 대충대충 좀 하고 살면 안되는지. 그녀의 목소리에 마음이 움직였다. 사실, 나 역시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보다는 내가 먼저. 내 몸이 편하고 즐겁고, 또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할거라고 믿는 나는, 진통이 무섭다는 이유로 제왕절개를 택했고, 모유도 꽤 잘 나오는 편이지만 분유를 먹으면 더 잘자는 것 같다는 이유로 하루에 두세번은 분유를 먹인다. 그럼에도, 나는 요즘 내 인생에서 가장 짐승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적어도 당시 모성애라는 것은 내게 핑크빛 부드러움이라기보다 선홍색 핏빛, 날것에 가까웠다. 그건 평소에 내새끼가 어디서 뛰어놀든 말든 관심도 없고 심지어 내 새끼가 먹던 먹이마저 심통 부리며 빼앗아 먹을 수 있지만, 막상 위태로운 순간이 오면 으르렁대며 이빨을 보이는 어미 사자의 심정 같은 것이었다. (임경선, 엄마와 연애할 때, 35쪽)

두 눈 말똥말똥 뜨고 더 안아달라고, 더 놀아달라고 보채는 아기를 토닥여 재우기도 전에 내가 먼저 잠들기 일쑤지만- 그래도 서너시간에 한번은 알람없이도 눈이 번쩍 뜨인다. 매우 본능적인 움직임으로 기저귀를 갈아주고, 졸린 눈을 비벼가며 모유를 먹이는 새벽 세네시의 어느 순간들에 나는 내가 '엄마'라는 사실을 다시금 인지한다. 그리고 생각한다. 나는 아기에게 어떤 엄마가 되어줄 것인가. 아기에게 어떤 엄마이기를 원하는가. 어떤 엄마들은 배냇저고리부터 매해 아이가 가장 잘 입던 옷까지 차곡차곡 간직한다기도 하고, 어떤 엄마들은 육아 일기를 쓰거나 영상이나 사진을 모은다. 고작 30여 페이지의 태교일기도 미처 다 쓰지 못한 나는 그런 것들에 아무래도 자신이 없다. 엄마 노릇에는 나름 최선을 다해보겠다 다짐했지만, 이기적인 나는 여전히 엄마이기 전에 여자이자 한 인간으로서 스스로를 존중하고 싶다. 그런 내게 <엄마와 연애할 때>는 큰 위안이 되었다. '엄마라는 존재는 생각만큼 그리 대단하지도, 대단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그녀의 문장에서 힘을 얻는다. 때로 육아에세이를 쓰느라 아이에게 소홀할때도 있었다지만, 그런 순간이 있었기에 아이가 더 사랑스러워보였다는 말도- 문 쾅 닫고 글쓰고 있노라면 아이가 전혀 생각나지 않더라는 말도 힘이 된다. 어쩌면, 나를 잃지 않을수도 있겠다는 희미한 빛이 보인달까. "아기 예쁘지? 아기보다 더 소중한 건 없어"하는 지인들의 말에 괜히 죄책감이 들었던 순간들이 한순간에 씻겨내려가는 느낌이었다.

그러니까 내게 이 책은, 사이다.
어깨 힘 쫙 빼고, 편안하게 써내려간 그녀와 그녀의 딸 윤서의 시간들은 나와 나의 딸 채원이의 시간을 상상케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클라라 2016-04-02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 참 좋아요 >_< 이제 육아책을 읽을 시기는 지났지만.. 끌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