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온리 - 일상이 된 모바일 라이브, 미디어의 판을 뒤엎다
노가영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일상이 된 모바일 라이브, 미디어의 판을 뒤엎다.

동영상이 대세가 되었다 생각했지만 그냥 익숙해졌다고나 할까?

하지만 책을 읽다보니 영상 특히나 모바일 라이브 시대가 오지 않았나 싶다.


사실 집에 가면서 와이파이가 잘 되어 있는 전철에서 예능을 보거나

집에서도 TV를 켜놓고선 핸드폰으로 영상을 보고 있고,

잠깐 화장실을 갈때에도 손에 핸드폰을 들고 나도 모르게 영상을 보고 있다.
그리고 아이들조차도 TV보다는 유튜브를 통해 영상을 보는것을 가장 좋아한다.

그러다보니 아이들에게는 가장 익숙한게 유튜브 영상인데 엄마로써 가장 피해야할 것이 모바일 영상이었다.

하지만 정작 아이들 눈을 피해 엄마인 나는 여러 영상을 찾아보고 있었다.


아직 의식적으로 영상을 유뷰트를 통해 보지는 않지만(어떻게 보면 작은 의식이라고나 할까? ㅠㅠ)

이미 pooq이나 네이버 TV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여러 영상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오히려 즐겨봤다고나 할까?

이렇듯 어른 아이 할것 없이 자연스럽게 영상 특히나 접하기 쉬운 모바일 영상속에 스며들었고

아마도 앞으로 더 발전하면 발전하지 죽지않을 분야가 아닐까 싶다.

어떻게 보면 모바일 퍼스트가 아닌 진짜 온리 시대에 어떻게 하면 될지를 여러 예와 세계 정세에 맞게 잘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나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매체 중 1위가 유튜브이므로 앞으로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 중에 하나가 되지 않을까 싶다. (큰 아이반 친구들은 벌써 장난감이나 게임을 찍어서 올리는 수준까지 간 친구들이 몇명 있다고 들었다)


어른들이 네이버에서 검색을 했다면 아마도 아이들은 무조건 유튜브에서 검색을 한다고 보면 될듯하다.

이미 유튜브는 자연스럽게 미디어 세상을 접수했고,

영상이 갖는 힘은 가장 커지지 않았나 싶고 모든 회사가 앞으로는 홍보를 고민할 때 빠지지 말아야 할 최우선 과제가 아닐까 싶다.

어떻게 보면 5인치 작은 화면에서 벌어지는 미디어 전쟁의 승자는 누가 될지 기대도 되지만

그 안에서 살아남아야할 것을 생각하면 (사실 업무상 고민되는 부분도 있는지라) 걱정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이미 pooq를 기본이요 무섭게 떠오르고 있는 넷플릭스는 올해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기도 하고,

1인 미디어 확장이 과연 어디까지 갈까 궁금하기도 하고, 모바일 미디어의 진화라고 말은 하지만

그 이후에는 과연 무엇이 나올지 궁금하기도 하고, 금융, 자동차, 광고산업 등

우리 실생활에 모든것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기대가 되기도 한다.

영화도, 드라마도, 뉴스도, 검색도, 모두 모바일 동영상이 접수한 시대! 어떤 트렌드로 가속화될지 기대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