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마음공부 - 불안과 두려움을 다스리고 초조하지 않게 사는 법 불경 마음공부 시리즈
페이융 지음, 허유영 옮김 / 유노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 내가 가진 종교가 불교는 아니지만 각 종교의 교리를 존중하는 편이다. 불교를 떠올리면 작은 이모 댁 성북동 근처에 길상사가 생각이 난다. 어린 시절, 석가탄신일 즈음 자주 가던 절이었는데 절에 들어가면, 성당에 들어가는 느낌과 아주 비슷했다. 그래서 문지방을 넘어서기 전 항상 최근에 잘못한 것이 있었나 한 번 더 생각하던 나였다. 지금 생각해 보면 최대한 경건한 마음으로 들어가기 위해서였던 어린 나만의 의식이었던 것 같다.

금강경의 정식 제목은 <능단금강반야파라밀경> 이라고 한다. 불교학의 근본이 되는 교법을 담고 있다고 한다. 불교학에 접근하기 보다 나는 '삶의 오랜 지혜'로서 이 책을 마주하려고 노력했다. 금강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 하나는 모든 것을 꿰뚫을 수 있는 빠르고 맹렬한 번개라는 뜻이고, 또 하나는 가장 단단한 암석인 다이아몬드라는 뜻이다.

금강경을 읽는 것은 학문이 아니라수행이다. 마음을 빠르고 맹렬한 번개나 단단한 다이아몬드로 만들어 어떤 형태와 관념에도 유혹당하지 않고 번뇌하지 않으며 분명하게 들여다보고 본질을 꿰뚫어 보게 만든다. 금강경을 읽는다면, 이 세상의 모든 형태와 관념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본래 모습 안에서 평온하게 머물며 생명 자체의 희열을 느끼게 될 것이다.

금강경 마음공부, 페이융


<금강경 마음공부>를 중반쯤 읽다 보면 '호흡'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심호흡은 자기 내면으로 돌아올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오로지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어 자신의 호흡에 집중해 보기. 호흡이라고 하니 나는 요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일상의 숨쉬기에는 아무런 생각이 없다가도 요가할 때만큼은 호흡에 의식적으로 된다. 요가 동작이 항상 호흡과 연결되다 보니, 그로 인한 배의 팽창이나 갈비뼈를 느껴보는 시간이기도 하다. 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조금씩 분배하여 날숨을 보낸다. 나도 모르게 내 마음이 평온해지면서 동작을 정성스럽게 하게 된다. 그리고 그 동작을 통하여 나는 내 몸과 대화하는 것 같다. 주로 평소에 운동 좀 하라는 핀잔이 위주인 대화이긴 하지만 말이다.


세상 모든 것이 사라지고 오직 자신의 숨소리만 들리는 경지에 이르면, 그 유일한 소리가 자신을 내면으로 데려가 주고 자기 내면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복잡한 생각이나 명상도 필요없다. 그저 심호흡을 하는 것만으로도 자기 내면으로 회귀해 마음속의 진정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한번 해 보라. 아주 간단한 방법이다. 무엇을 하고 있든, 서 있든 앉아 있든 누워 있든, 모든 주의력을 호흡에만 집중한다. 콧구멍으로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며 혀끝을 천천히 말아 올려 윗니 뒤에 대고 천천히 숨을 멈추었다가 입으로 숨을 내쉬며 혀끝을 천천히 내려놓는다.

금강경 마음공부, 페이융


작가는 마음이 초조해지고 불안할 때 호흡을 통해 뜻밖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거라고 이야기하며 또한 어느 순간 갑갑함을 느낄 때 허공을 응시하라고 말한다. 라마교 밀종의 가장 기초적인 수련법인 '관심방허공'과 비슷하다고 한다.


어느 곳에 있든 좁은 점 안에 갇혀 있는 듯 갑갑하다면, 고개를 살짝 들어 올려 허공을 응시하며 사방을 둘러보라. 모든 사물이 그 허공 안에 있다. 자신이 머물러 있는 공간 외에 헤아릴 수 없이 넓은 세상이 펼쳐져 있다는 것을 깨닫고 나면 두려움이 사라질 것이다. 나를 옭아맬 수 있는 것은 자기 마음, 바로 이 한가지 외에는 없다.


금강경 마음공부, 페이융


특별한 어떤 행위가 아닌 호흡과 허공을 응시하는 것에서도 우리는 의미를 덜어내기도 하고 더할 수 있다. 결국 '나 자신'이 나와 어떻게 소통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닐까?

마지막으로 정말 와닿은 이야기가 있다. 로마로 통하는 길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누군가 성공한 방법이라고 모두가 성공하는 방법은 아니라는 말.


온전히 자기 마음과 자기 눈으로 이 세상을 관찰하고 모든 것을 느껴야만 그것이 지혜가 될 수 있으며, 그런 지혜를 가져야만 진정으로 바라는 것을 이룰 수 있다.

금강경 마음공부, 페이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