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1 평화 - 진짜 핵심 진짜 재미 진짜 이해, 단어로 논술까지 짜짜짜 ㅣ 101개 단어로 배우는 짜짜짜
서의동.이지선 지음 / 푸른들녘 / 2023년 2월
평점 :
Book Grow Review
단어로 논술까지 짜짜짜
평화 101
서의동 . 이지선
평화를 표현하는 단어가 101개가 존재하다니!
책의 차례를 보면서 나열된 101가지 단어를 보고 감탄했다. 대부분 전쟁이나 갈등에 관련을 의미하는 단어들이 많았다. 간혹 '겨레말큰사전'이나 '노벨평화상', '오키나와'라는 단어는 읽기 전부터 어떤 스토리가 숨겨져 있을지 궁금증을 자아냈다.

평화가 무너지면 사람도 사라집니다.
폭력과 분쟁, 갈등과 대립, 증오와 저주가
가득한 세상에서 인권이 보장되고
사랑이 싹트긴 어렵거든요.
‘음악’이 평화라면 전쟁은 ‘폐허와 침묵’이고,
그 안에서 사람들은 더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
평화101 / 여는 글 중에서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는 키워드 2가지만 소개해보겠다.
노벨 평화상은 노르웨이의 노벨 위원회가 1901년부터 매년 인류 평화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는 상이다. 인류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드높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상을 제정한 사람은 알프레드 노벨이라는 스웨덴의 기업가이자 발명가이다. 노벨은 1866년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다. 애초의 목적과 달리 다이너마이트가 전쟁에 쓰이면서 많은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하자 노벨은 매우 괴로워했다고 한다. 세상을 떠나기 전 매년 세계 평화와 과학 발달에 이바지한 사람에게 상을 주라며 유산을 스웨덴 왕립 아카데미에 내놓았다. 수상자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정한다.

인도주의는 인간의 가치를 보호하고 공존과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사상과 행위를 말한다. 인간은 인종, 종교, 국가 등의 차이를 초월해 모두 평등하고 존엄하다는 생각이 바탕에 깔려 있다. 인도주의는 군사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논리가 되기도 한다. 국가의 주권을 침해할 수 없지만,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할 경우 국제사회가 특정 국가에 개입해 무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를 '인도주의적 개입'이라고 한다.
노벨평화상이나 인도주의 모두 논란이나 비판의 여지를 남기기도 한다. 수상자가 가끔씩 논란이 될 만한 인물이 선정된다거나 받아야 할 인물이 받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될 수 있고, 인도주의 취지가 훼손된 힘이 센 국가의 악용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인 부분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근본의 취지와 목적에 집중해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 무엇보다 기억해야 할 문장!
<평화가 사라지면 사람도 사라집니다. >
'101'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99는 채워야 할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숫자이고,
100은 보충할 게 더는 필요해보이지 않는 숫자다.
그러나 '8101'은 다르다.
101은 현재 진행형이다.
- 101 시리즈 소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