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수의 도시 ㅣ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8
이사벨 아옌데 지음, 우석균 옮김 / 비룡소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아 재밌다 아 재밌다!
진짜 오랜만에 재미있는 책 발견해서 냠냠 쩝쩝 재미있게 씹고 뜯고 맛보고 즐겼습니다.
이제 이사벨 아옌데 할매를 알았으니 그녀 작품도 정주행 해보는걸로 냐냐-!
우리가 만나게 된 건..
집 근처 도서관에 책을 연체했더니만 글쎄 약 한달 정도 대출 정지를 먹었습니다. 홋홋.
마침 책도 안읽히기도 했고 다른 창작욕을 불태우느라 책과 멀리 지내던 한달이었죠.
그런데 우연히 교회에서 왠 애들 보는 책들이 있길래 보니 몇몇 청소년 문학과 외국 챕터북이 있더군요.
존나 반가운 마음에 이리 저리 제목들을 보다가 만났습니다.
영혼의 집으로 유명한 이사벨 아옌데님. 이제 나이는 할머니 뻘이 되었으니 이사벨 할매님.
헐 이 분이 청소년 문학도 쓰다니, 졸감동해서 냉큼 줏어옴.
1. 아마존 밀림으로 고고합시다
이야기는 상당히 빠르게 전개됩니다. 와 진짜 군더더기가 너무 없어서 매우 빠르게 전개되더군요.
내용은 역시나 청소년 문학 답게 주인공의 내적/외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만, 아마존 밀림에 대한 묘사나 깨알같은 촌철살인의 표현들도 놓치지 않았죠.
주인공 알렉산더 콜드는 (참고로 알렉산더는 남미이름 알레한드로의 미국식 이름) 어머님의 병세가 위독해져 가족이 서로 떨어져 있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여행작가인 할머니네 집에서 살게 되는데 할머니는 며칠 내로 아마존으로 야수를 탐사하러 갈거임.ㅋㅋ 도시청년 알렉스는 참으로 내키지 않았지만 아직 미성년자인지라 미국에 혼자 있을 수도 없고 ㅋㅋㅋ같이 가면서 예기치 않은 모험에 빠져들게 됩니다. 그 과정이 억지스럽지 않아서 매우 좋았습니다. 왜 이런 책들은 보면 주인공이 원래 무슨 마법과 관련이 있어서 필연적으로 (나를 부르는 운명의 부름에 응답하여 ㅋㅋ) 여행을 떠나게 되잖슴? ㅋㅋ 알렉산더에게도 속에 재규어의 피가 흐르긴 하지만 여기서는 알렉스가 특별히 뭔가 특출나서라기 보다는 순수한 어린아이였기 때문에 그런 모험이 가능하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2' 자연소녀 나디아
이상하게 나디아라는 이름은 참 자연과 많은 관련이 있는 것 같음 ㅋㅋ 그 일본 만화도 있잖아요. 나디아. 암튼. 알렉스가 만나는 동생뻘 자연소녀 나디아 역시도 아버지가 지역 탐험가라서 같이 모험을 떠나게 됩니다. 원래 탐사대의 목적은 아마존에 살고 있는 미신같은 존재인 '야수'를 찾는 것이었죠. 몇몇은 야수를 잡고 밀림에서의 문명세력을 넓히기 위해, 몇몇은 대자연의 모습을 내셔널지오그래픽에 담기위해, 또 몇몇은 원주민들이 문명세계와 접촉한후 전염병으로 죽지 않도록 백신을 주기 위해 탐사에 가담합니다. 다들 목적이 다양했기 때문에 중간중간 의견 불협화음과 배신은 참 볼만했습니다. 특히 학술계에서 유명한 루도빅 르블랑은 이야기 끝까지 감초역할을 톡톡히 해준 탓에, 남미이름이 많아 등장인물 하나하나를 제대로 외우기 어려웠던 독서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름만큼은 생생히 기억되었네요.ㅎㅎ 아무튼 이 탐사대에는 알렉산더와 나디아, 두 명의 어린아이가 동행합니다. 나디아는 알렉산더보다는 어리지만 이미 자연속에서 자라면서 상당히 조숙하고 영리한 아이로 자라나죠. 학교를 다니지는 않지만 이미 원주민어와 동물들의 언어를 포함해서 상당한 언어를 쓸 줄 압니다. 또 미국소년 알렉스와 생각이나 행동면에서 많이 대조적으로 나와서 두 아이를 서로 비교해보는 재미가 있죠. 물론 책에서는 두 아이 모두 정신적 성숙을 하며, 그러면서 두 아이들이 서로 도와가는 장면들은 참 훌륭한 부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아이가 각자 자신의 토템인 재규어와(알렉스), 독수리(나디아)를 인지하고 그것을 자신의 내면과 하나로 융합하는 과정이 놀라웠습니다. 이것에 대한 복선이 책 표지에 나와있더군요. 탁월한 책표지 디자인입니다.
3. 안개족과 야수의 정체
책에서 묘사되는 안개족과 야수들, 그리고 야수가 살고 있는 전설의 도시 '엘도라도'는 굉장히 흥미롭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특히 몸을 보이지 않게 위장할 수 있는 안개족이나 신진대사가 매우 느려 몇백년을 살 수 있는 야수들, 그리고 전설의 도시 엘도라도를 묘사하는 장면들이 참 재미있더군요. 흔한 상상력을 뛰어넘는 부분들이 많아서 참 좋았습니다. 작가는 자연에서 안개족처럼 사는게 위대하다는 식으로만은 표현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그들은 원시인 취급하지도 않고요. 그저 담담하게 객관적으로 보여줍니다. 나디아가 마음으로 그것들을 받아들이는 반면 알렉스는 처음 접해보는 문화기 때문에 나름 고민하고 생각해보는 부분들이 비교되어 나옵니다. 참 균형을 잘 잡고 있는 표현이라고 생각이 됐습니다. 그래서 저 역시도 어느 쪽을 택할 것인가 생각하기 전에 안개족을 안개족 자체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상에 대한 작가의 입장이 책에 이렇게 녹아들어 독자들의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건 재미있는 유기작용이라고 생각합니다. ^^
4. 제3세계 문학을 접하며..반갑습니다. 이사벨 아옌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부분 미국,영국,일본,프랑스, 독일문학쪽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 그래서 그런지 가끔 접하는 이런 남미문학은 상당히 새로운 느낌을 줍니다. 그들이 책에서 전해주는 문화는 가히 미국의 그것과는 많이 다르죠. 상당히 이국적이라고나 할까요. 또 일단 이름 자체가 굉장히 낮섧니다.ㅋㅋ그래도 읽다보면 나름의 재미가 있어요. 이 책은 역자 후기가 잘 되어 있습니다. 서울대 서어서문학과를 나오신 우석균 번역가님이 번역하셨네요. 책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요약해주시고 작가 이사벨 아옌데에 대한 정보를 간략히 적어놓으셨습니다. 그런데 그 부분히 굉장히 맘에 들어서요. 사실 이 책이 시리즈인데 다음 시리즈까지 잃을 생각은 하지 않았는데 번역가님의 설명 덕분에 읽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 번역가님의 말에 따르면 이사벨 아옌데는 처음부터 작가가 되려고 한 건 아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자신과 소중한 사람들을 잃었던 경험을 통해 /영혼의 집/과 /파울라/를 썼다고 합니다. /야수의 도시/시리즈 역시도 이 이야기를 자신의 손자손녀에게 들려주고 싶어서 쓰기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번역가님은 마지막 역자후기에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이사벨 아옌데의 이런 인생과 작품은 소설이 단지 예술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이야기하고 싶은 욕구이며, 나아가 가족의 사랑을 재확인해 주는 의사 소통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2003년 가을 우석균)
캬..간략하고 어찌 보면 평범한 맺음 말일수도 있는데 어쩐지 이 내용을 아옌데의 책에서 다 확인해보고 싶어져서 말입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