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할인모형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해당 기업이 앞으로 수십억 년동안 같은 비율로 성장한다고 가정하는 지속 성장 모형이다. 사람 이름을 따서 고든 성장 모형이라 한다. 배당금 D, 성장률 g, 할인율 r 이라 하면, 앞으로 영원히 받게 될 배당금의 총합은, 


D(1+g)/(1+r) + D(1+g)^n/(1+r)^n + … 


무한수열을 정리해 V라 하면,


V = D(1+g)/(r-g)


이 때 r > g 다. (r < g라면, 즉 요구수익율 r보다 높게 기업의 성장이 영원히 계속된다면 그냥 전재산으로 이 주식을 사면 된다. 당신이 받을 배당금은 살아있는 동안 끝없이 증가할 것이다.) 만일 이 가치가 현재 주가와 같다면, (1+g)/(r-g) = V/D, 여기서 V/D는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의 역수로, 1/DY라 하자. g에 대해 풀면,


g = (r-DY)/(1+DY)


예를 들어, 물가 인상을 무시하고 애플 주식이 매년 20%씩 오르길 기대한다면 r = 0.2일 때, DY  지난 5 애플의 배당수익률 기준 0.0138 을 사용해, 애플은 앞으로 영원히  18.4% 성장해야 한다. (참고로 애플의 실제 EPS 성장률은 ’17 - ’20 4 평균 12.5%였다.)

당연하게도, 고든 성장 모형에서 배당을 적게 하는 성장 기업은 원하는 수익률에 가까운 수준으로 영원히 성장해야 한다.

혹은 같은 식을 r에 대해 풀면,


r = g+(1+g)DY


애플의 경우 지금까지와 같은 비율로 성장(g)과 배당(DY)을 지속한다고 했을 때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최대 요구수익률 r은 14%정도다. 물론 과거 EPS성장률 대신 ROE를 미래의 성장이라 정의한다면, r은 90%일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