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코홀릭 - 내 안에 잠자고 있는 초코홀릭 감성을 깨우자!
돔 램지 지음, 이보미 옮김 / 시그마북스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표제를 보면, 작가가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감히 짐작은 됩니다. ^^

내 안에 잠자고 있는 초코홀릭 감성을 깨우자!  "

'잠자고', '홀릭', '감성' ...  이런 단어들이 가리키는 의미는 '추억'을 말하는 것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누구에게나 켜켜히 쌓여인 과거의 기억들이 'Layer'되고 'Overlap'되어 한동안 잊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가는 '초콜릿'을 기억속에서 세상 밖으로 끄집어 내었습니다. 그리고, 그 방법을 좀 더 전문가답게 책을 통해 소개하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자, 그럼 작가의 의도가 무엇인지 그의 안내에 따라 책 속으로 한 걸음 들어가 보겠습니다. ^^

각 장(Chapter)들은 '초콜릿 입문', '초콜릿 이해하기', '카카오 생산지', '초콜릿 고르는 법', '초콜릿 맛보기', '초콜릿 만들기' 그리고 '초콜릿 즐기기' 순으로 초콜릿 학문의 총론방법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서론에 해당하는 '초콜릿 입문'에서 자세한 역사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장(Chapter)이 저는 가장 마음에 들었어요. 그리고 '초콜릿 이해하기' 장(Chapter)에서 소개하는 카카오나무, 품종, 재배, 수확, 발효와 건조, 분류작업, 로스팅, 파쇄와 윈노윙, 그라인딩과 미분쇄, 콘칭, 탬퍼링, 몰딩과 포장, 무역 등에 관한 자세한 설명글은 초콜릿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궁금했을 법한 지식과 정보들 입니다.

초콜릿은 '카카오'에서 얻고 , 이 명칭은 '카카오나무, 카카오꼬투리, 카카오콩'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오늘날 사용하는 '코코아'라는 말은 영어식 명칭이라는 것도 알게 해주네요. 이 '카카오나무'의 발생지는 이 곳이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  아마존분지의 열대우림  "

'카카오의 신성화'는 중앙아메리카 문명을 발생시킨 민족(아즈텍, 모카야, 올멕, 마야)들이 음료로 사용함과 동시에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이런 고대왕국은 코코아콩을 '화폐'로 사용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네요. ^^

제가 눈여겨 심독했던 또하나의 장(Chapter)인 '초콜릿 이해하기'에는 '카카오나무에서 초콜릿이 되기까지'를 아주 상세하게 설명해주고 있어서 인상깊었고 재미있었습니다. 뭐랄까요? 탐구자적인 자세가 되었다고 할까요? 자세한 내용중 일부만 짚어보겠습니다.

'수확'에서 '몰딩과 포장'까지 전과정을 삽도와 함께 알기쉽게 설명한 내용입니다. 좀 생소한 용어도 나오네요. '코코아닙스(nibs)', '윈노윙', '콘칭' 등등. 혹 커피를 즐기는 분들은 아마도 눈에 익은 단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재미도 있을 겁니다. ^^ 이중에서 '로스팅' 단계를 들여다 보겠습니다.

이번에 제가 책을 통해서 알게된 새로운 사실 중 한가지는 '로스팅'입니다. 책에 따르면, '초콜릿 제조자들은 코코아 향미를 극대화하고 안전한 먹을거리를 만들기 위해 ... ' 이 과정을 거친다고 하네요. 이 과정에서 커피의 로스팅과 유사하게 '마이야르 반응(갈변반응)'이 일어난다는 겁니다.

작가는 책을 통해, 초콜릿 산업에 대한 이슈를 제시하고 있는데, 바로 '공정무역'입니다. 좋은 카카오콩을 구매하는 데 정당한 대금을 지급하는 등 품질과 노동조건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는 제조회사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반가운일이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빈투바', '트리투바'라는 비즈니스모델로 바뀌고 있는 언급도 담고 있습니다.

이후 책의 후반부는 초콜릿 레시피를 이용한 '만들기'와 '즐기기'가 소개되고 있습니다. 직접 재료를 준비하여 레시피대로 만들어보면서 즐기보면 좋을 듯 합니다.

'빈투바(Bean to bar)' 제조자 이기도한 저자는 최상급 카카오로 유명한 마다가스카르, 탄자니아, 브라질 등지의 농부에게서 직접 코코아콩을 구입한다고 소개하면서 농부, 노동조합과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는 등 사업패러다임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공정무역'이라는 단어와 오버랩됩니다.



아는만큼 맛있습니다.
THE 베커지엥

http://blog.naver.com/cllom21/2209084688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