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웹 프로그래밍 - Django(장고)로 배우는 쉽고 빠른 웹 개발 파이썬 웹 프로그래밍
김석훈 지음 / 한빛미디어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기술들이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에서 웹 상으로 구현되기 시작하면서 그에 따라 많은 웹서비스를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만드는 기술도 발전해왔다. Java에서 Spring 프레임워크가 시장의 과점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IT환경에서 Python이 그렇게까지 대중적이지는 않으나 특유의 간결한 문법이 무기라는 이야기는 익히 들어왔다. 또 그래서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초보자들에게 처음 익히기에도 가장 좋은 언어라고 많이 추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퍼포먼스도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파이썬에서 웹 프로그래밍하기 가장 유명한 프레임워크는 역시 '장고(Django)'이다.


이 책으로 기대하는 것은 단 하나였다. 기존의 Spring Framework같은 대중적인 Framework보다 '훨씬 빠르고 간단하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가'였다.


먼저 웹 프로그래밍을 잘 모르는 사람이 웹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첫 챕터는 웹 프로그래밍에 배경 지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어떤 언어든, 프레임워크를 쓰든지 간에 이러한 배경 지식은 가장 밑바탕에 기저하고 있는 지식이기 때문에 반드시 익히고 있어야 할 기본적인 개념이다.


목차를 보며 의아했던 것은 파이썬 설치나 기본적인 파이썬 문법 등에 설명할 줄 알았지만, 그 부분은 건너뛰고서 파이썬의 웹 표준 라이브러리가 출현했다. 모든 파이썬 문법에 대해 담을 수는 없고, 이 책은 웹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책이기에 아예 그 부분은 과감히 넘어가기로 한 것 같았다. 하지만 파이썬에 대해 잘 모르는 나로써는 조금 당황스러운 구성이었다.




하지만 전체 설명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매우 좋았던 점은 이전에 한빛 미디어의 책 중 'Ignite'에 대한 책 구성과 유사했기 때문이다. 그 책의 설명 방식은 각 코드에 번호를 붙인 뒤에 뒤에 그 번호에 해설이 이어지는 방식이였는데, 이런 직관적인 코드 설명은 코드를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 코드 중간에 설명이 삽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드가 지저분해지지도 않기 때문이다. 또한 간단한 설명은 코드에 주석코드를 달아놓기도 했다.



책을 보는 내내 간단 명료한 레이아웃은 매우 좋았지만, 목차가 웹프로그래밍을 하는데 있어 순차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졌더라면 좋았을 것이다. 챕터의 이름을 보면 

02 - 파이썬 웹 표준 라이브러리

03 - Django 웹 프레임워크

04 - Django의 핵심 기능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기능적인 설명에 치우치다 보면 활용법에 대해 취약해지는 경향이 생겨서 어떻게 나중에 쓰게 될지 다소 추상적이게 받아들여진다.


웹애플리케이션의 기능 Case별로 구현해가는 과정의 즐거움 담았더라면 좀 더 알차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