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천항로 27
이학인 글, 왕흔태 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조조를 사랑한 삼국지'라는 말이, 정말로 잘 어울리는 책이다. '난세의 간웅'으로 알려져 왔던 조조를 '난세의 영웅'으로 끌어올려 놓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은 조조를 간웅에서 영웅으로 돌변시켰지만, 생각해보면 조조가 한 일에 대해 오히려 더 냉정하고 객관적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아는 삼국지는 삼국지연의를 뜻하는 것으로 촉한정통의 측면이 매우 강하여 유비와 그의 의형제를 영웅 중의 영웅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래서, 사실은 삼국지(삼국지연의)를 읽어보지 않은 어린 아이들도 유비, 관우, 장비는 '좋은 사람'이고 조조는 '나쁜 사람'이라고 말한다. 일에 대한 지나칠 정도의 엄격함(혹자는 비정함이라고도 한다)과 사실의 진위를 알 수 없는 여백사의 일, 그리고 재빠른 감정 변화 등 조조의 단점 혹은 '호감을 줄 수 없는'점 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유비의 단점 같은 것은 '너무 인정 적이라는 것'정도 밖에 모른다. 황실의 일원이라고 주장하는 유비지만, 그가 정말로 황실의 일원이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확인 할 수 없다.

삼국지 자체가 조조와 유비에 대해 너무 편파적인 입장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확실히 보통의 비판적인 생각이 없으면 조조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질 수가 없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이런 조조의 단점을 반대로 해석하고 있다. 일에 대한 엄격함은 공정함을 나타내며, 재빠른 감정 변화는 인재에 대한 올바른 처우를 나타낸다. 조조의 가장 비인간적인 부분이라는 여백사의 일 또한,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을 백분 활용하고 있다. 재미있는 점은 이런 색다른 해석뿐만이 아니다. 조조만큼이나 유비에 대해서도 조금은 다른 해석을 내놓는데, 유비보다는 관우와 제갈량을 해석하는 것이 더 흥미롭다.

사당까지 세워져 신으로 추앙 받는 관우는, 유비의 의형제로 머물기에는 그 그릇이 컸을지도 모른다. 당장에, 신으로 추앙되는 관우와는 달리 유비는 그냥 유비라는 한 인물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한가지 의문을 가지게 된다. 관우는 정말 유비의 의형제라는 자리에 만족했을까? 유비라는 인물에게 그토록 이나 매료되었을까? 관우는 의기가 높고 자존심과 자부심이 강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어느 순간, 관우는 자신이 유비의 동생으로 머물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책에, 유비가 관우에게 이런 생가에 기초한 말을 한다. 내 그릇에 담겨지고, 너의 그릇이 더 크다면 나의 그릇을 깨고 나가버리라고 말이다. 다른 날에 태어났지만 한 날 한 시에 죽기로 맹세한 것으로 유명한 이 의형제의 다른 면을 본 기분이었다.

제갈량은, 아주 뛰어난 참모로 알려져 그가 천재가 아니었을까 생각하게 하는데, 여기에서는 사람이 아닌 듯한 그 어떤 존재로 그리고 있다. 그렇다고, 도교의 신선 같은 것으로 그리는 것은 아니다. 그것과는 조금 다르지만 '도원향'에서 사는 듯한 분위기를 풍기기 때문에 결국은 도사와 비슷한 존재로 표현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대단히 독특한 캐릭터로 그려지는데, 제갈량이 조조를 대하고 생각하는 부분 역시 대단히 흥미롭다. 조조를, 자신과 같은 부류가 아닐까 하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스토리의 스케일이 크고, 이미 27권까지나 나와있기 때문에 서술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을 책이다. 휴가를 보낼 여유가 없다면, 한번에 이 책을 모두 독파해 보는 것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