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각오
마루야마 겐지 지음, 김난주 옮김 / 문학동네 / 1999년 5월
평점 :
품절


사실,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을 단 한편도 읽어보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듯 그의 오래된 수필집에 대해 몇마디 지껄여 보려는 생각이 든 것은 그의 이 책 한권이 왠지 그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듯한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사실 선생님의 강요(?)로 읽었다. 억지로 책을 떠안기시며 언제까지 읽어오라고 과제를 부여하셨기 때문이다. 나는 소위 말하는 글을 쓰는 아이인데, 의지와 열정이 부족한 관계로 그나마 좁쌀만큼 보였던 재능을 묻어버리는 경향이 강한 녀석이었다. 그런 것이 마음에 들지 않으셨는지 이 책을 과제로 부여하셨던 것이다.

마루야마 겐지는 지극한 문체주의 작가였다. 사실, 요즘은 책이 아닌 다른 것들 - 영화나 인터넷이나 텔레비젼이 워낙 발전을 했기 때문에 책의 인기가 예전같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마루야마 겐지는 철저한 문체주의를 고수하여 책에서 사람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그 무엇을 내비치고 있다. 특히나, 나는 마루야마 겐지의 글을 대하는 태도에서 상당한 충격을 받았다. 그는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 오롯한 원고료 만으로 생계를 잇는다. 최대한의 절재와, 최소한의 에너지 소모를 통해 그의 생활 대부분을 창작에 쏟아붇는다. 그야말로,인고의 노력으로 끌어내는 그의 문장은 그 하나하나가 살아있는, 그런 기분마저 들게 한다. 이상한 비유가 될지는 몰라도, 인쇄되어 박혀 있는 그 문장 하나하나가 신경이 살아있는 장어구이 토막 같다.

분명 딱 박혀 있는 모습은 '죽었다'는 느낌을 들게 하지만 그 문장은 '읽는다'는 단 한가지의 행동을 통해 바로 '살아있다'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재능으로는 부족하다. 재능을 뒷받침해 줄 만한, 혹은 그 재능을 무시할 수 있을 만큼의 무시무시한 노력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해내면서, 그러면서도 이런 자신을 계속 채찍질하는 그의 모습은 나 스스로를 충분히 반성하도록 만들었다. 모든 수필집이 그렇듯이, 소박한 이야기를 담담하게 써나가는 그 필체는 내용을 앞지르려 하는 작가의 노력앞에서 독자를 작게 만든다. 더불어, 그의 팬으로 독자를 끌어당긴다. 아니, 팬이라는 이름보다는 오히려 추종자라고 해야 할까..? 그의 소설은, 그의 문체는, 그리고 그는 진정한 소설가 - 작가라는 이름으로 분명 대다난 인물이었다. 물론, 그의 책 역시 그를 앞지를 만큼 대단했음은 두 말 할것도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