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과학 품은 전래 동화
이지민 지음, 김윤정 그림 / 풀빛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래동화 속에 꽤 많은 과학적인 이야기들이

숨어 있었다는 게 놀랍기도 하면서

다시 읽는 전래동화가 왠지 더 재미있게 느껴졌던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아이도 다 아는 내용인데도 재밌다며

그자리에서 책 한 권을 다 읽더라고요:)











용왕은 왜 하필 '간'이 필요했을까?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제비는 왜 남쪽으로 날아갔다가 돌아왔을까?

.

.

.

<토끼전>,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흥부와 놀부>,

<혹부리 영감>, <요술맷돌>, <설문대 할망>...

모두 이미 잘 알고 있는 전래동화들인데,

지금까지는 왜 이런 궁금증을

단 한번도 가져보지 못했던 걸까요?













익살스러운 그림과 만화 덕에

한층 더 재미있어진 전래 동화.












전래 동화를 다 읽고 나면,

이어서 「전래 동화가 품은 과학」이 나오는데요.

좀 전에 읽었던 전래동화 속에 숨어 있는

과학적 지식을 핵심만 뽑아서 정리해 둔 코너랍니다.


예를 들면, 용왕이 그렇게도 원했던

'간'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은 무엇인지,

남쪽으로 날아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오는 이유는 무엇인지,

낮에는 해가 뜨고 밤에는 달이 뜨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는 앞에서 다룬 내용보다 한 발 더 나아간

새로운 과학적 지식들로

아이들의 호기심을 꽉꽉 채워줍니다.


혹시라도 아이가 잘 모를 것 같은 단어는

밑에 따로 주석을 달아 두어서

아이한테 설명해주기도 편했답니다ㅋ











"엄마, 그럼 요술 맷돌 때문에 바닷물이 짠 거였어?"


전래 동화 <요술 맷돌>을 읽어 본 어린 아이들이라면

한 번쯤 물어봤을만한 질문이죠?ㅎㅎㅎ


얼핏 저희 아이도 6살 땐가...

저한테 똑같이 물어봤던 것 같은데요.

그때는 어릴 때라 그렇다고 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하나하나 제대로 설명해 줬네요ㅋ












재밌는 전래동화를 읽으면서

덤으로 다양한 과학적 지식까지 알게 되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덕분에 저희 아이는 요즘 다시 전래동화를 읽고 있는데요.

대나무 숲에서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치면

다시 돌아오는 메아리는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건지,

불씨 꺼뜨린 며느리에게 다시 불을 피우는 법을 가르쳐 줄 수 있는지,

견우와 직녀는 왜 1년에 한 번씩 만날 수 밖에 없었는지...

온통 궁금한 거 투성이래요.


얼른 후속편도 나오면 좋겠어요:)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