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는 사람이 없는 편이 좋다 - 처음 듣는 이야기
우치다 다쓰루 지음, 박동섭 옮김 / 유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거실에서 TV를 아예 없애고 책장을 놓아 서재처럼 꾸민 적이 있었다. 내 시선에서 가장 책이 잘 보이는 코너에는 민음사에서 펴낸 세계문학전집을 비치했는데 어느 날 아내와 소파에 앉아 책장을 바라보다가 이런 말을 했던 기억이 난다. “이렇게 앉아서 책장에 전시된 책등을 보면 책 속의 인물들이 닫힌 책 틈 사이로 나에게 말을 건네는 것 같아. 마치 그 책을 열면 말을 걸던 인물들이 우르르 이 현실 속으로 쏟아져 나올 것만 같은 기분이 가끔 들어.”


우치다 타츠루에 따르면 책이란 외부로 통하는 문이며 책은 독자를 지금이 아닌 시대와 여기가 아닌 장소로 데려가는 힘을 지녔다. 책 한권이 거기에 있는 것만으로도 닫힌 공간에 자그마한 구멍이 생기고 그로부터 신선한 바람이 불어 들어온다고 그는 말했다. 내가 아내에게 이야기한 것은 착각만은 아니었다. <레미제라블> 책 이면에는 19세기 격동의 프랑스 혁명이 존재했고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책 너머에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예술의 서사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관점의 변화라고 해야 할 지 모르겠지만 가장 인상적이었던 대목은, 독서란 책을 읽지 않는 행위까지 포함한 것이며 정확히 말하면 언젠가는 그것을 읽을 것이라는 전미래적 시제를 포함한 행위라는 점이다. 나아가 자신이 읽지 않은 책에 둘러싸여 사색하고 자신의 무지를 깨닫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고 그는 말하는데, 이렇게 보면 책이란 그 안에 담긴 활자를 읽음으로 사람이 진보하는 것이 아니라, 읽지 않음으로 인해 그것을 읽고 싶은 지점으로 우리를 움직이게 만든다.


우치다 타츠루 작가의 책을 처음 읽는다고 생각했지만 기록을 살펴보니 약 10년 전인 2013년에 그가 쓴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를 읽었던 모양이다. 그 당시의 나는 미셸 푸코와 구조주의 철학에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정작 지금까지 꾸준하게 책을 읽었던 주제는 마지막 자크 라캉에 대해서였다. 모르는 것은 여전히 많고 그것을 알려주려는 책은 여전히 많다. 나는 여전히 무지했고 그 무지함이 나를 여전히 책을 읽는 사람으로 존재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