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지기 때문에 놀러 왔지 - 조선의 문장가 이옥과 김려 이야기, 제1회 창비청소년도서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고 1
설흔 지음 / 창비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만 보는 바보>라는 아주 잘 알려진 책이 있다. 책 좋아하는 바보 선비 이덕무와 그의 벗들에 대한 이야기를 정말 생생하게 담아낸, 내가 아주 좋아하는 책이다.
이 책의 첫 느낌은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어쩌면 그래서 샀을지도 모른다. 사실 이옥과 김려에 대해 잘 알지도 못했고, 큰 관심도 없었으니까.
'조선의 르네상스'로 불리는 정조시대. 드라마 속 정조는 사랑하는 여인에게 농담도 던지고 윙크도 날리는 순정남이지만, 이 책에서는 신하의 글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지겨울 정도로 수정할 것을 요구하고, 급기야 유배까지 보내는 이해할 수 없는 폭군(?)의 자태를 보이신다. 우리가 익히 들었던 '문체반정'이 그것이다.
문체의 변화가 왕의 권위에 대한 도전, 사회 질서에 대한 도전이라 여겼던 탓에, 그리고 이러저러한 정치적 이유로 인해 행해진 문체반정은 무고한 많은 사람들을 가시밭길로 내몰았다. 김려와 이옥도 그 그물에 걸려 고통스러운 삶을 보내야 했다.
<멋지기 때문에 놀러왔지>는 이옥이 죽은 후 이옥의 아들 우태가 지방 현감으로 근무하던 김려를 찾아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상상력, 약간의 판타지가 결합된 이 소설은 무엇보다 재미있다. 옛 사람들이 다들 민속촌 인형들처럼 살았던 건 아니다. 조선시대에도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해준다.
가장 감사한 것은, 이렇게 재미있게 이옥과 김려의 글을 만나게 해준다는 점이다. 이 책이 아니었다면 평생 이옥과 김려의 글을 찾아 읽어보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정조가 '패관잡문'이라며 배척했던 그들의 글은 갓 잡은 물고기처럼 펄떡인다. 따스한 눈길과 친밀한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세밀한 묘사가 압권이다.
글을 읽어 즐거웠고, 글을 지어 행복했고, 자신이 사랑했던 글 때문에 신산한 삶을 살았던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를 이처럼 멋진 책으로 만나서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