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공간을 얻기위해 집을 짓고, 시를 쓴다. 시는 언어로 세운 집이라고 이 책에서 이어령 선생님은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안을 살짝 들여다 볼 때, 그 안에서 나오는 따뜻한 불빛을 볼 때면 느끼는 신비한 체험을 우리가 시를 읽을 때 느낄 수 있다고.. 그걸 설명해 주겠다고.. 그것이 행간 이라는 의미이던, 간에 이 책에서는 시의 내부 공간 탐색.. 첫번째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시에 그런 숨은 공간이 그렇게 많은지, 또 집의 복잡하고 설계적인 면이 있듯이 이 시에도 그런 멋진 설계 구조가 있는지 설명을 안해 주었으면 몰랐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