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전쟁에 대한 그의 입장은 처음부터 잘못된 전쟁인 만큼 빨리종결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전쟁으로 이라크를 점령한 뒤 약간의 경제 원조와 민주화 훈련으로 그 땅에 '제퍼슨식 민주주의'를 만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위험한 순진성의 발로라는 것이다.  
   

제퍼슨은 미국 독립 선언문의 작성자 중 한 사람이고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사람이기 때문에 한마디로 말하면 '미국식' 민주주의를 말하는 것 같다. 책 뒤에도 나오고 있는 '다원주의 민주주의'라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년 4월 13일 ~ 1826년 7월 4일)[2]은 제3대 미국 대통령(재임 1801년 ~ 1809년)이자 미국 독립 선언서의 기초자이다(1776년). 제퍼슨은 미국 공화주의의 이상을 논파한 가장 영향력 있는 건국의 아버지 중 한 사람이다. 또한 미국의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존경을 받는 대통령 중의 하나이다. 그의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일어난 큰 사건은 루이지애나 매입(1803년)과 루이스와 클라크의 서부 탐험(1804년 ~ 1806년)이었다....Wikipedia 

Jeffersonian democracy is the set of political goals that were named after Thomas Jefferson. It dominated American politics in the years 1800-1820s. It is contrasted with Jacksonian democracy, which dominated the next political era. The most prominent spokesmen included Thomas Jefferson, James Madison, Albert Gallatin, John Randolph of Roanoke, and Nathaniel Macon....Wikipedia 

다른 블로그(from "Vision21" 브라보님)에서 찾은 바로는, 

제퍼슨은 "미국 독립정신의 핵심을 만든 인물이다. 그가 주장한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이들을 Jeffersonian democrats라고 부른다"고 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제 퍼슨은 민주주의의 약점과 대중의 우매함을 잘 안 사람이었다. 그는 性善說의 신봉자가 아니었다. 그는 국민들의 분별력이 약하여 민주주의를 운영할 자질이 부족할 경우에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했다. 제퍼슨은 그런 국민들로부터 主權을 회수하여 독재정치를 펼 것인가, 아니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민을 교육할 것인가 自問했다. 결론은 後者였다.
 
 제퍼슨 민주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작은 정부와 代義 민주주의 존중: 미국 헌법 조문의 엄격한 해석으로 정부의 권력남용을 막는다.
 
 2. 국민의 재산과 권리를 수호하는 것이 정부의 기본 의무이다.
 
 3. 국민의 알 권리와 정부에 대한 비판의 자유를 존중한다.
 
 4. 정부는 인간의 자유를 보호하고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교육을 중시한다.
 
 6. 미국이 자유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일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
 
 7. 종교와 정치를 분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종교의 자유 보호책이다. 종교는 정치부패로부터 자유로와지며, 정치는 종교갈등으로부터 자유로와진다. 

[출처] 제퍼슨과 李承晩|작성자 부라보

 
   

 

즉, 제퍼슨식 민주주의를 심는다는 것은 단순하지 않다는 것으로 미국식의 민주주의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 다는 것일 이책에서는 말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