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 믿음의 글들 253
클라이브 스테이플즈 루이스 지음, 이종태.강영안 옮김 / 홍성사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C.S 루이스의 이 책은 기적이라는 기독교의 본질을 이야기 하기 위해 바로 그 본질로 들어가 헤메이는 우를 범하지 않는다. 이 책은 처음부터 '범위'를 말하고 자연주의와 초자연주의의 차이점을 길게 이야기 하면서 자연주의의 난점과 한계점을 드러낸다. 자연주의는 자연주의 안에서만 설명이 될 뿐 - 우리의 뇌는 뇌의 피질과 같은 물리적인 것이 전부이다라는 식의 결론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C.S. 루이스의 면모를 보여주는 '몇가지 의심에 대한 답변'들을 일일이 모두 다 하고 '오해'라고 생각하는 것도 집어서 어떤 문제에 대한 것을 다각적인 면을 검토해 낸다. 이것이 바로 변증학자의 일면모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면서 '기적과 자연법칙'을 이야기하며 이제 '기적'에 대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아직 서두에 불과하다. 그만큼 C.S. 루이스도 지적했듯이 전반부의 작업이 없다면 '기적'에 대한 난제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다시 '군더더기 이야기'를 꺼내 다시 '기적'의 바탕을 깐다. 그리고 내가 가장 유심이 읽고 쓰고 통쾌히 여겼던 - 이 부분을 읽을 때 마침 일기씨가 내게 말을 걸어왔다. 믿지 못하겠노라고 - 그래서 이 부분을 통째로 필사를 해서 보내주었던 '무서운 빨간약'이라는 우리 인간의 사고와 언어의 습관의 오류들을 짚어낸다. 그리고 '기독교와 종교'를 논하면서 이제 본론으로 12장에 와서야 '기적의 접합성', 13장 '개연성', 14장 '장엄한 기적' 등으로 나간다. 현재 14장을 읽고 15장 '옛 창조의 기적'을 읽고 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으로 (물로 그 전에도 변증이라는 학문, 한 종류를 멋있어했고 좋아했다. 그러나 내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야- 참 대단하다.'라고만 행각했을 뿐이다.) 변증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어떻게 보면 내게 너무도 어려운 - 왜냐하면 나는 설득 당하는 귀를 가지고 있는데다가 남을 설득하기에 떨리는 입술을 가졌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나는 모세가 너무도 잘 이해된다. "저는 말을 잘 못합니다.") 일면이 있는 반면 (이것이 내가 여태것 생각했던 변증) 그 반대로 이 책을 읽을 때 새롭게 얻게된 하나의 생각은 '아 참 변증으 쉽다'라는 것이다. 이유는 그 변증의 대상이 너무도 확실하기 때문이다! 누구나 다 변증가, 꼭 변증가가 아니더라도 어떠한 주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 주장에 대해 확신을 가지는 것이 어쩌면 당연하지만 그 중에는 확실하지 않은 것을 단지 '주장'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확실하게 하려는 사람(글)들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변증을 공부할 수 있을까?' 라고 처음 생각하게 해준 책. 별을 하나 더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