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주민
최규석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최규석의 습지생태보고서,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대한민국 원주민을 욕조에 앉아서, 담배 피면서, 소파에 누워서 한번에 읽었다 (봤다.) 느낌표도 있고, 물음표도 꽤 있다. 만화다. 난 수니의 노래를 좋아한다.가끔 누군가에게 무엇을 주고 싶을때 수니 시디를 꺼내 든다. 알라딘에서 네번을 사서 다른 사람에게 네번을 주었다. 다음 월급날엔 한장을 다시 살 생각이다. 최규석의 책은 아직 잘 모르겠다. 그래서 빌려만 줄 생각이다.

2. 며칠 동안 주로 화장실 갈 때 마다 보고 있다. 세편의 책 모두 개인의 경험과 통찰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대한민국원주민은 독특하다. 70년대 후반에 태어난 만화가 자신의 경험담은 국민학교 선생님에게 들었던 2-30년은 앞선 세대의 이야기 처럼 낯설다. 그러한 경험이 아마도 책 전체를 지탱하고 있는 내공이라고 생각이 든다. 형, 누나,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의 이야기는 '개별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나'를 통해서 '가족'의 이야기로 구성된다. 비동시적인 것들이 동시적으로(혹은 그 반대로) 일어나는 것은  만화가 개인에게 뿐만 아니다. 나의 시간과 장소와 역사가 일차적으로 동기*되는 곳은 가족이다.

3. 아버지 돌아가신지 이제 10년이 되어간다. 아버지 먼저 보낸 친구가 그때 그랬다. '아버지 하고 이야기 많이 해라. 아버지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이야기 많이 들어라' 오늘 똥간에서 대한민국원주민 보면서 불현듯 생각이 다시 났다. 내가 기억하는 아버지를 넘어서서 아버지가 기억했던 세상이 어떠했을까? 내 피속에는 그게 남아 있을까?

* The timing of lives has much to do with “social synchrony” and the principle of linked lives which states that: Lives are lived interdependently and social-historical influences are expressed through this network of shared relationsips. We are alerted to the social embeddedownloadess of human lives through ties with kin, friends, and co-workers across the life span (Glen H. Elder, Jr., The Life Course and Aging: Some Reflections, http://www.unc.edu/~elder/pdf/asa-99talk.pd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