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단경로 - 제25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강희영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봄에 들었던 도서관 문화센터 수업 중에 강사님이 이런 농담을 던졌다. "(이 지역에서 유명한 장소)A에서 (또다른 유명 장소)B로 가는 가장 가까운 길은 어디일까요? 어떻게 가야 가장 가까울까요?" 수강생들은 지루한 강의에서 벗어날 기회를 놓치지 않고 눈을 반짝이며 대답했다. 이쪽으로 가면 내리막길 연속이라 시간이 덜 걸려요.. 아니 저렇게 가야 신호등 걸리지 않고 갈 수 있지요.. 이래저래.. 여러 대답이 나온 끝에 한 수강생이 손을 들고 말했다.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가면 가장 가깝습니다."

 

  <최단경로> 강희영의 소설에서 혜서는 전임자인 진혁이 남겨놓은 수수께끼를 풀고 싶어 길을 떠난다. 길찾기 알고리즘을 사용해 그를 쫓아가지만, 가장 가까운 길을 알려주기만 할 뿐 그를 찾아낼 수는 없었다. 혜서는 진혁이 남겨놓은 검색기록을 쫓아가기만 하다 문득, 의문을 떠올린다. 누군가를 따라다니기만 하던 그녀가 스스로 생각해 한 발 내디딘 순간, 그녀는 숨겨진 이야기에 다가가게 된다.

 

   나는 책을 읽으며 사람이 사람을 '실제로' 알게 되면 무엇이 달라질지 계속 생각했다. 애영의 아이를 친 운전자가 그 아이를 원래 알았더라면, 자신은 맵을 따라갔을 뿐 잘못한 게 없다며 항소할 수 있었을까. 애영이 성장한 진혁을 한 번이라도 만났더라면, 진혁이 그의 아이를 한 번이라도 만나봤다면, 서로 껴안고 이야기를 나누었다면 어땠을까. 혜서는 진혁이 남긴 그의 아이 옹알이 소리를, 전자음이 아닌 실제로 들었다면 게임하듯 그를 찾아갔을까. 그들은 알고리즘과 기계를 사이에 두고 조금씩 비껴나갔다. 직접 대면해도 오해하기 쉬운 게 사람 사이인데, 편리를 위해, 시간 단축을 위해 만들어진 문명이 결국 현실을 오해하고 사랑하는 이들을 이별하게 만들었다.

 

  혜서의 후배, 유일하게 혜서를 궁금해하는 이이자 그녀의 감정을 이해하는 듯한 등장인물인 민주. 민주는 서울과 암스테르담 사이를 넘어 혜서와 연락을 주고받는 방법으로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를 선택했지만, 얼마 후 끊기고 만다. 사람 사이에 진심을 알리고 진실을 알게 하려면, 실재하는 그를 만나야 하는 것을, 온기와 숨결을 서로 나누어야한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던 게 아닐까. 민주에게 가장 어울리지 않는 소통 방법은 이메일과 문자메시지였다. 소설 밖의 어느 날 민주가 혜서를 따라 암스테르담에 나타나도 놀라지 않겠다는 상상도 잠시 해보았다.  

 

  최단 경로. 가장 빨리 가기 위해 선택할 길은 감정이 동하는 길. 이 책을 읽는 내내, 누군가에게 가장 빨리 닿는 길은 손을 뻗어 온기를 나누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며칠 전부터 서운한 감정이 들었던 이에게, 내일 만나자 말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