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탐정 정약용 2
이수광 지음 / 산호와진주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 명탐정 정약용 1권이 재미있어서 2권까지 읽었다. 1권에서 만들어진 정조 암살 떡밥에 대해서 숨막힐듯 잘 풀었다. 어떻게 반역을 준비했으며, 그 중간에 어떻게 일이 바뀌게 되었는지, 그리고 궁녀로 왕궁에 잠입한 여리의 이야기와 주변에서 준비만 하고 있었지, 실제로 활동을 한 이정행의 이야기는 이전 편에서 만들어 놓은 복선들을 준수하게 지키고 그리고 하얗게 타올랐다.

 

1권 처럼 살인사건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긴 하지만, 그 사건들 모두가 정약용의 이야기에 큰 영역을 차지하진 않는다. 이정행이 참여한 재판이나 이여철의 아내의 살인 사건정도가 주 이야기의 줄기에 영향을 줄 뿐, 나머지는 주변의 이야기를 듣고 판단하는데 그친다. 정리하면, 몇가지 사건의 판결을 제외하건 꼭지를 찍어서 표현한 사건들 모두가 '명탐정'으로 만드는데는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다. 그 대신 정조 암살의 이야기에 의미를 두고 다가간다.

 

왕이 될려고 했던 광오한 욕심을 가진 이정행이 노론의 힘을 입어서 엄청난 계획을 준비/실천하고 있었지만, 이 또한 노론이 준비한 하나의 '카드' 였을 뿐, 이 카드가 안될거 같자 바로 다른 전략을 쓰는 무서움을 보여준다. 이번 2권의 주요 내용이 이정행의 반란과 실패에 대한 부분인데, 아쉽게도 이정행 부분은 잘 표현되었는데 또 다른 카드가 된 '정순대비'는 그저 행동하는 데서 마무리가 좀 부족한 느낌이 들었다. (누가 노론의 큰 틀을 잡고 움직이고 있었는가?) 이전까지는 어째서 이정행이 그런 입장까지 왔는지 하나하나 (광적인 살인은 제외) 표현해왔지만, 정순대비는 그런 소설의 전철을 밟지 않아서인지 정채 불명의 '김영주'라는 인물이 배후의 매신져가 되어 그녀를 흔든다. 그게 다다. 그런식으로 노론 세력이 권력을 잡아버렸다.

 

끝내 정조 암살의 핵심이 이정행이 아니고 또 다른 노론들이였건만 작품내에서는 심증만 주지 이를 구체적으로 밝혀내지를 못했다.

 

노론이 어떻게 해서 권력을 잡아서, 견제 세력의 남인들이 즐겨보았던 서학을 탄압하게 되었는지는 자세히 나오진 않았지만, 정약용은 무모하게 탄압을 받게 된다. 논리를 넘어서 정치적 견제세력이라는 논리하에 자기가 가지고 있었던 모든것을 포기하게 만든다. '귀양'이라는 사실을 쓰다보니, 뒷끝이 너무 안타깝게 흘러가버린다. 여주인공이라 볼 수 있었던 여리도 작품 후반부에서는 쉽게 버림받은 존재가 되었고, 형조에 있던 인물과 김경방 같은 정약용 주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들은 그저 '김여' 라는 선비에 의해 한줄 문장으로 마무리 되어 버렸다.

 

그래서인지, 정약용의 유배 이후에는 자료가 없어서인지 이야기의 범위가 극히 좁아진다. 정조와 여리를 그리워 하는 정약용의 마음만이 내 머릿속에 남는다. 작가도 마무리가 아쉬웠는지, 정약용과 여리와의 관계가 정점으로 달하는 부분을 에필로그 사건에 끼워 넣었다. 마치 콜 오브 듀티4 : 모던 워페어에서 아쉬움을 뒤로하고 에필로그 미션을 보는 느낌이 든다.

 

...

 

1권, 2권을 읽으면서 정약용에 대한 그의 생각과 행적을 추적해 볼 수 있었다. 소설이라지만, 당시 정약용의 존재는 그 시대의 흐름을 바꾼 중요한 인물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좀 더 정약용에 대해서 알아 보고 싶고 그 분이 저술한 책에 관심이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 명탐정 정약용 1
이수광 지음 / 산호와진주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다산 정약용하면 아는게 솔직히 수원화성 빼고는 전무한 나에게 이 책은 정약용을 일약 영웅으로 만들게한 책이다. 당대 최고의 판관으로 억울한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한 그의 노력들이 이 책에 담겨져 있다. 불의한 일들을 바로 잡는다는게 쉽지 않았을텐데, 이 책을 보면 조선시대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들을 정약용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이뤄낸다.
 

조선시대 태평성대 시기라 할 수 있는 영, 정조 시대에도 피비린내 나는 역사는 존재했었다. 그 시기의 중간에 등장한 정약용은 당시 정조가 그의 탁월한 능력을 보고 파격적인 조치로 그를 형조참의로 뽑으며 난해한 사건들을 맡긴다. 이 소설은 그가 과거를 더듬으며, 더는 억울한 사건들이 미지로 묻혀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재판관들에게 가르치는 글인 '흠흠신서'를 저술하면서 내용이 펼쳐진다.
 

내용 중에 잔혹한 부분들이 많다. 이 소설은 딱 '성인용'이라 할 정도로 내용이 선혈적이고 적날하게 사건의 참혹함을 묘사한다. 마치 슬레이어즈 애니메이션 보다가 소설을 보면 어떨까 싶어서 펴보면 그 잔인함에 혀를 내두드르는 그런 심정이다. 영화를 아직 못봤지만, 설마 영화에서도 그렇게 잔혹한 묘사를 하진 않았을 거다. 그러니, 영화를 보고 이 책을 볼려고 한다면 어린이들에게는 추천하고 싶지 않다.
 

더군다나, 한자적 표현이 쉽게 풀이되지 않은 그대로 서술이 되어서 읽다가 막히는 부분이 꽤나 된다. 한자공부를 했다면, 별문제 없이 보겠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국어사전 정도는 하나 끼고 봐야 내용 이해에 무리가 없다.
 

표현은 시원시원하고 좋다. 결론으로 나오는 판결문도 간결하고 직관적이다. 다만, 사건 초반 이정행과의 이야기가 앞부분에 나오는 건 적절하지 않은거 같다. 내용의 비약이 커져버려 읽는데 난관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죽은 여인들이 자신의 그림에 그려져 있다는 게 첫화에 나온 살인범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걸 보고 '이 그림과 무슨 연관을 지을려고 하지?' 하면서 책을 읽기 시작하면 헷갈리기 시작한다. 그거 빼고는 내용을 이어 보는데 큰 문제가 없었다.
 

1권은 8장으로 여러 이야기들이 묶어져 있는데, TV 시리즈 처럼 잘 나눠져 있구, 매 이야기마다 큰 줄기가 통해져 있어 작가의 이야기 풀이 능력이 대단하다는 걸 느꼈다. 정조의 암살 사건에 노론이 엮여져 있구, 그 중간엔 심조원, 이정행이라는 인물과 이를 막을려는 여리라는 인물과 대내시위 김경방과의 대립이 밑밥으로 심겨져 2권으로 넘어간다.
 

큰 이야기의 내용으로 보면, 정약용이 썩은 당시의 정치인들을 어떻게 뿌리 뽑는지에 잘 나와있다. 아침/저녁에 남편이 다르다고 말하는 여자들의 이야기로 온 조정이 뒤집어졌고, 이후 뇌물로 여러 관리들이 곤장 맞게되는 관경에서 예나지금이나 이런 부패한 사건들은 존재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부정한 상황에서 칼을 뽑아서 단호하게 정의를 구현하는 정약용같은 인물이 지금 우리 나라에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정약용은 자신의 모든 걸 다 거는듯한 마음으로 정의를 지킬려고 노력한다.
 

정조 또한 자신의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죽음을 복수한 피비린내 나는 경력이 있어서인지 그를 둘러싼 암살 위험들에서 벗어나며 자신의 힘을 지켜나가고 있다. 두 주인공 또한 상황이 꽤나 어렵다.
 

사실 이 책의 실제 주인공은 여리라는 오작인(시체 부검인)이다. 정약용의 종자(종)로써 그의 옆에서 온갖 궂은 일을 다한다. 부검부터 보디가드까지 ... 남장 여자라서 그런지 그녀의 캐릭터는 참 묘하다. 정약용도 그녀에게 접근하고 싶었지만, 지극정성으로 내조하는 부인이 있어서 마음에 갈등이 있었다는 내용을 보아, 매력적이기도 하다. 무예 뿐만 아니라 현명하기까지 하니 ... 당시 존재한 인물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리의 이후 모습이 책 중간중간에 나온걸 보면 조금 안타깝지만, 끝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책은 재미있다. 한자용어만 익숙하면 읽는데 별 지장이 없고, 당시의 억울함을 잘 풀어 설명하고 해결하는 정약용의 지혜를 엿볼수 있다. 탐정이며 재판관인 정약용을 밝혀서 알게 하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다는 것의 기술
하타무라 요타로 지음, 황소연 옮김 / 가디언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내가 인지과학이라는 학문이 있다는 걸 안지 1년이 안 되었기에, 내 생각엔 인지과학이다 함은 ... 뭔가 정설은 없이 '나는 이렇게 생각/행동하니 공부가 잘되' 같은 식의 자기 주장이 담긴 그냥 수필/에세이 수준의 글만 있을 거라 생각해, 이 책에 거는 기대는 크지 않았다. 책을 펴고 얼마 안 있어 그 기대는 쉽게 접고 ... 다 읽고 난 뒤, 앎에 대해 조금은 달라진 내 자신을 발견했다. 어떻게 하면 제대로 공부하고 앎의 근본에 도달할 수 있을까라는 철학적인 고민을 하면서, 이에 대해 과학적인 사고로 포장된 논리적인 글을 읽었다는 기억을 남게 했다.

 

(표지가 노란색이여서 조금 튄다.)

 

인간의 지성을 개발한다면서 기술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제시한다는 거 자체가 우습게 보였다. 새로운 것을 인식하고 자신의 지식으로 만들기 위한 과정들을 나타낸다는 게 어찌 보면, AI (인공지능) 에서 쓰일 법한 방법론을 쓰는거 같다. 처음에 인지과학이라는 거 자체가 학교에서 배웠던 Machine Learning 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생각을 해보기도 했다. 마치 뜬구름 잡는 기술서라고 생각하기도 쉽다.

 

이 책은 그런 참고서나 교과서 적인 학습 방법론만 설명하는 게 아니고, '자신이 오랫동안 앎에 대해 고민했고 정리하면서 이를 가르쳐 주면 좋을거 같다'는 것들을 묶었다. 아주 바닥부터 설명하지는 않지만, 공부를 어느정도 해왔던 학생들이 이 책을 읽으면, 막혔던 부분에서 다음 단계로 올라갈 때 그 벽을 낮춰주는 촉매제와 같은 존재가 될 수 있을 정도로, 지식의 근본에 도달하는 하나의 방법을 노련한 지식인의 시각으로 서술했다.

 

공부를 왜 하는 걸까 ... 이를 넘어서 '공부를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갈 수 있을까'에 대한 하나의 "해답"을 가르쳐 준다. 근본적인 접근을 요구하기에 어찌보면 느릿하게 둘러가기에 하나 만의 "정답" 을 요구 하는 요즘 세상에 잘 맞지는 않겠지만, 진정한 지식인이 되기 위해서는 이 책에 나온 방법들을 한번 시도 하면 좋을거 같다.

 

수박 겉핣기식/문제 풀위 위주 학습에 앞서서, 근본적이고 이해/문제 설정위주의 학습이 우선되어야 한다는게 저자의 주장이다. 뻔한 내용도 조금 섞여 있지만, 그 부분은 그 만큼 중요하다고 본다. 딱딱할 거 같은 내용들을 쉽게 서술되어 있다는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사람을 가르친다거나, 입체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분에게 한 번쯤 읽고 지나가면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호이론과 보안
박창섭 지음 / 대영사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암호학개론의 교과적인 책입니다. 교재로 보실 슬라이드와 함께 보신다면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