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물만두 > 나만의 상반기 베스트 도서

나도 한번 해봅니다.

5월까지 53권을 읽었군요. 만화, 동화 빼고요. 점점 줄어드니 참...

1.  콜린 덱스터의 책을 빼놓을 수 없군요.

2.  오, 이 책 정말 대단합니다.

3. 이 작품이 좋았습니다. 잔잔한 여운이 남는 작품이죠.

4.  놓칠뻔한 일본 추리 단편집이죠. 새로운 작가와의 만남은 언제나 즐겁습니다.

5.  매트 스커더의 전 시리즈의 출판을 바라며... 아자~

6.   좋은 작품이었습니다.

7.  숨은아이님 아니었으면 제가 감히 볼 수 없었을 작품... 감사드립니다.

8.  세풀베다를 알게 해준 고마운 작품입니다.

9.  새로운 세계의 발견이라고 생각되는 작품입니다.

10.  경마장 살인사건과 갈등하다가 그래도 카레라 형사의 손을 들어줍니다.

아무래도 전 역시 추리 소설과 SF소설이 좋군요.

6월... 황금같은 추리 소설의 달이 될 6월... 더 대단한 작품들이 마구마구 쏟아지기를...

파산을 한다해도 쌓아놓으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물만두 > 문예춘추 선정 일본 미스테리 100선

001 옥문도 1947 요코미조 세이시 

002 허무에의 공물 나카이 히데오

003 점과 선 1957 ; 마츠모토 세이초

004 불연속 살인사건 1947 ; 사카구치 안고

005 흑사관 살인사건 1934 ; 오구리 무시타로

006 도구라 마구라(환마술) 1935 ; 유메노 규사쿠

007 혼징 살인사건 1945 ; 요코미조 세이시

008 검은 트렁크 1956 ; 아유가와 데츠야

009 회귀천 정사 1980 ; 렌죠 미키히코

010 문신 살인사건 1948 ; 다카키 아키미츠 

011 산고양이의 여름 1984 ; 후나토 요이치

012 대유괴 1997; 텐도 신 

013 이전동화 1923 ; 에도가와  "음울한 짐승"에 수록

014 음수 1928; 에도가와 람포  "음울한 짐승"

015 제로의 초점 1959 ; 마츠모토 세이초 "점과 선"에 수록

016 11매의 트럼프 1976 ; 아와사카 츠마오

017 아 아이이치로(악애일랑)의 낭패 1978 ; 아와사 카츠마오 

018 기아해협 1962 ; 미나카미 츠도무

019 고메스의 이름은 고메스 1962 ; 유키 쇼지 

020 위험한 동화 1961 ; 츠치야 다카오

021 점성술 살인사건 1981 ; 시마다 소지 

022 흩어진 기계 장치 1978 ; 아와사카 츠마오

023 사건 1977 ; 오오카 쇼헤이

024 우리 1983 ; 기타가타 겐조

025 심리시험 1925 ; 에도가와 람포  "음울한 짐승"에 수록.

026 상자 속의 실낙 1978 ; 다케모토 겐지

027 굶주린 늑대 1981 ; 시미즈 다츠오

028 백주의 사각 1959 ; 다카키 아키미츠

029 황토의 분류 1965 ; 이쿠지마 지로

030 도망의 거리 1982 ; 기타가타 겐조

031 야수는 죽어야 한다 1958 ; 오야부 하루히코 

032 인형은 왜 죽는가? 1955 ; 다카키 아키미츠 

033 나메쿠지 쵸야 체포 소동 1968 ; 츠츠키 미치오.

034 끝없는 추적 1967 ; 이쿠지마 지로

035 고양이는 알고 있다 1957 ; 니키 에츠코

036 섬머 아포칼립스 1981 ; 가사이 기요시

037 고도의 마인 1929 ; 에도가와 람포 "외딴 섬 악마"

038 검은 백조 1959 ; 아유가와 데츠야

039 타오르는 파도 1982 ; 모리 에이

040 변호인측의 증인 1963 ; 고이즈미 기미코

041 그림자의 고발 1963 ; 츠치야 다카오

042 악마의 공돌이 노래 1957 - 요코미조 세이시

043 기울어진 집의 범죄 1982 ; 시마다 소지 

044 여덟 개의 묘가 있는 마을 1949 ; 요코미조 세이시

045 신사동맹 1980 ; 고바야시 노부히코

046 징기스칸의 비밀 1958 ; 다카키 아키미츠

047 갈라진 해협 1983 ; 시미즈 다츠오

048 리라 장 사건 1968 ; 아야가와 데츠야

049 오시에와 여행하는 남자 1929 : 에도가와 람포

050 마른 풀의 뿌리 1961 ; 친신

051 밤의 오딧세이아 1981 ; 후나토 요이치

052 고층의 사각 1969 ; 모리무라 세이이치 "고층의 사각지대"

053 모래그릇 1960 ; 마츠모토 세이초

054 바이 바이 엔젤 1979 ; 시미즈 다츠오

055 한시치 체포 기록 1917 ; 오카모토 기도

056 파노라마 섬 기담 1926 ; 에도가와 람포

057 한 개의 납 1959 ; 사노요

058 사루마루 환상 여행 1980 ; 이자와 모토히코

059 고양이 혀에 못을 박아라 1961 ; 츠즈키 미치오

060 초대받지 않은 손님 1980 ; 사사자와 사호

061 직튼 갈색의 파스텔 1982 ; 오카지마 후다리

062 인생의 바보 1936 ; 기키 다카타로

063 배덕의 메스 1960 ; 구로이와 쥬고

064 증발 1972 ; 나츠키 시즈코

065 나폴레옹 광 1979 ; 아도타 다카시 " Y위 거리"에 수록

066 부호 형사 1978 ; 츠츠이 야스다카

067 샤라쿠 살인사건 1983 ; 다카하시 가츠히코

068 잠 없는 밤 1982 ; 기타가타 겐조

069 나비부인 살인사건 1946 ; 요코미조 세이시  "혼징 살인사건"

070 죽음이 있는 풍경 1965 ; 아유가와 데츠야

071 살인귀 1931 ; 하마오 시로

072 불꽃에 그림을 1966 ; 친신

073 검은 화집 1960 ; 마츠모토 세이초

074 아쿠쥬로 체포기록 1939 ; 히사오 쥬란

075 W의 비극 1982 ; 나츠키 시즈코

076 베를린 1888년 1967 ; 가이도 에이오

077 안녕 아프리카의 여왕 1979 ; 모리 에이

078 단쥬로 할복 사건 1959 ; 도이다 야스지

079 거대한 환영 1962 ; 도가와 마사코

080 마리오넷의 함정 1977 ; 아카가와 지로

081 완전범죄 1933 – 오구리 무시타로

082 내일 날시로 해두게 1983 ; 오카지마 후다리

083 삼중노출 1964 - 츠즈키 미치오

084 살아나는 황금늑대 1964 ; 오야부 하루히코

085 어두운 낙조 1965 ; 유키 쇼지

086  인간의 증명 1975 ; 모리무라 세이이치

087 유령 열차 1976 - 아카가와 지로

088 뺑소니 1969 ; 사노 요

089 유괴작전 1962 - 츠즈키 미치오

090 비합법원 1969 ; 후나토 요이치

091 장미여자 1983 : 가사이 기요시

092 스탈린 암살 계획 1978 ; 히야마 요시아키

093 친구여 조용히 잠들라 1983 ; 기타가타 겐조

094 돌밑의 기록 1948 - 오시타 우타루

095 추락 1958 ; 다카가와 교

096 우리들의 시대 1978 ; 구리모토 가오루

097 호크씨의 타향의 모험 1983 ; 가노 이치로

098 기타노유츠루 2/3의 살인 1984 ; 시마다 소지

099 50만 년의 사각 1976 ; 도모노 로

100 살인에의 초대 1973 ; 텐도

뒤에 실려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마태우스 > 알라딘 알콜대상

 

 

 

 

 

술을 마실 때, 난 늘 이런 말을 한다. "나라도 경제를 살려야 해!" 말은 그렇게 하지만, 내가 술을 마시는 진짜 이유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얘기를 하기 위해 꼭 술을 마셔야 할까? 내 대답은 '그렇다'이다. 남자끼리, 혹은 여자랑 있다해도, 차 한잔을 놓고 서너시간 씩 얘기를 하는 건 영 불편하기 때문이다.

술을 좋아해서 서재 이름도 '참이슬이 있는 서재'지만, 내 주량은 그다지 세지 못하다. 소주 두병이면 기본은 하는 거지만, 결코 잘 마시는 건 아니다. 하지만 이런 건 있다. 누구보다 열심히 술을 마신다는 거. 일년에 300번을 넘게 술을 마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거다. 그런 꾸준함이 있기에 내가 친구들로부터 존경받는 게 아니겠는가?

서재를 돌다보니 알라딘 분들 중에는 굉장한 주당들이 많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걸 알고나니, 술일기를 쓰면서 소주 한두병 마신 것까지 일일이 카운트를 하는 게 좀스럽게 느껴진다 (물론 내가 술일기를 쓰는 건, 술읽기를 통해 우리 사회를 읽고자 함이지만...). 그 주당들 몇분을 소개하고, 왕중왕도 뽑아보도록 하겠다.

1. 검은비님(가명 아님)
검은비님은 예술가다. 예술과 술은 원래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 그래서인지 무지하게 술을 잘하신다. 검은비님이 최근 쓰신 글의 한 대목이다.
[저녁 먹으러 들어가서부터 새벽 5시까지 술을 마셨다. 거의 10시간 가까이.....나도 한 술 하지만 그 인간도 장난 아니였다. 둘 다 이런 저런 얘기하면서 술 마시고 하다보니 창이 훤해졌다. "너처럼 징하게 술 마시고도 멀쩡한 인간 첨 본다. 젊은게 좋긴 좋구나~~!!" 하더니...먼저 두 손 들고 잠자러 자기방으로 돌아갔다. 사실 나도 많이 취해있었지만 난 취하면 바보가 되는 기분이 들어 의식적으로 취기를 몰아내곤 한다. 그러다가 하다하다 막판까지 가면 그냥 기절한다. 하하하...왠만하면 기절전에 집으로 가지만]
새벽 다섯시까지 열시간이나 술을 마시다니! 정말이지 존경스러운 분이다. 자주 술을 안마셔서 그렇지, 한번 마시면 모든 사람을 맛가게 만드는 전설의 검객 검은비님. 왕중왕의 유력한 후보다.

2. 연보라빛우주님
젊음의 패기로 무장한 우주님의 글이다.
[간만에 맥주를 많이 마셨다. 하지만, 기분이 좋았던 고로 시종일관 웃었다. 술버릇 중, 하나는 웃는 거니까. 대부분 술을 많이 마시면, 목소리가 커지고 괜시리 더 웃음이 많아진다. 오늘은 이 첫번째 증세가 나타났다. 여타 다른 증세는 좀 추하다. 친구들에게 전화를 하거나 아니면 가끔 울기도 한다. 기분이 아주 다운되었을 때 그렇다. 대부분은 그냥 웃기만 한다]
글의 내용으로 보건대, 우주님의 주량은 그리 많지는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원래 술을 잘마시는 사람은 독한 술을 좋아하기 마련이다(물론 전 야구선수 김인식 같은 사람은 생맥주를 16,000cc를 마셨다고도 하지만). 아쉽게 탈락!

3. 플라시보님
호걸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플라시보님은 '한술' 하는 분으로 알려져 있는데, 내가 꼭 넘어야 할 벽으로 생각하고 있다. 플라시보님의 글이다.
[우리 네명은 집 근처에 있는 횟집으로 가서 회를 하나 시키고 둘러앉아... 소주잔을 돌리기 시작했다. 소주가 한병에서 두병 다시 네병 다섯병 마구마구 늘어나기 시작했고 급기야 술이 알딸딸하게 된 류모양이 병돌리기를 하자며 발악을 했고 우리는 그때부터 병을 돌리고, 못 먹겠다고 버티고, 흑기사 없냐며 울부짖고, 이건 내쪽이 아니라 니쪽이라며 우기기의 향연을 시작했다. 10시에 시작한 술자리는 그렇게 새벽 2시까지 이어졌고 2시가 넘어서서야 일행들은 집에 가야한다며 슬슬 일어나기 시작했다]
글을 보니 친구분들도 다 한술 하는 것 같지 않는가? 진정한 강자는 조용히 술잔을 비우는 사람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울부짖으면서 마시는 사람이 더 강한 법이다. 플라시보님의 또다른 무용담이다.

[예전에는 그런걸 몰랐었다. 조금 허름한 집에서 소주를 먹는 맛을 말이다. 나는 언제나 깔끔하고 깨끗한 Bar들만 골라 다녔고 병째 마시는 술은 맥주 만으로 족하다고 생각하며 살았다. (양주를 병째 시켜놓고 부어라 마셔라 하는 인간들이 무식해 보이듯 소주도 빈병을 차곡차곡 쌓아가며 마시는건 역시 무식해 보였다.) 그렇지만 이제는 조금 알 것 같다. 흰 와이셔츠에 조끼까지 챙겨입은 예쁜 언니가 아닌 나이 지긋한 아주머니가 서빙인지 손님 접대인지 구분이 안갈 정도로 막 말을 붙이고 먹는 법 까지 상세하게 알려주는 가계에서 소주를 먹는것도 참 괜찮다는걸 말이다....셋이서 대게에 소주를 마셨다. 하도 간만이라서 초장에는 좀 주춤했지만 이내 몸이 소주에 적응하기 시작했다. 이런 저런 얘기를 하면서 우리는 대게 한 접시를 비우면서 소주를 2병에서 3병 그리고 4병으로 이어갔다.  2차로 맥주를 마시러 갔다. 집에 도착하니 새벽 4시였다. 요 근래의 내 생활에서는 드물게 오랫동안 술을 마신 날이었다]
내 약점은 오래 버티지 못한다는 거다. 기껏해야 새벽 두시가 고작이다. 게다가 소주를 마시고 맥주를 마시면-전문용어로 '소맥'이라 한다-십중팔구 필름이 끊긴다. 그런데 플라시보님은 셋이서 4병을 마시고 다시금 맥주를 마셨다니, 나보다 한수 위다. 몸을 만들기 전까지는 대결을 회피하는 게 좋겠다.

4. 진우맘님
진우맘님은 술을 그다지 잘 못마실 것 같다. 연약해 보이는 외모가 그런 착각을 더욱 부채질한다. 하지만 그런 건 아니다. 진우맘님이 쓰신 '음주공적'의 일부다.

[처음 떠난 MT...술이 떨어졌다. 한 학번 선배와 내가 매점으로 술심부름을 가게 되었다. 소주를 사들고 돌아서는데, 선배가 꼬신다. "야, 우리, 이거(소주병) 완샷 한 번 해볼까?" 흠...이 선배에 대해서도 할말이 많다. 가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청개구리 같다고나할까... 왜 그런 제안을 했는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나중 얘기로는, 설마 한다고 할 지 몰랐단다. 당시 나는 그것이 <매우 재미있을 것>같았다.(미쳤지... -.-) "넷!" 대답하고는 "하나, 둘, 셋!" 센 후 병채 꿀꺽꿀꺽 마시기 시작했다. 선배는 반 병을 채 못 마시고는, 내가 금방 그만두겠거니...하며 나를 보고 있었다. 그런데, 멈출 기미가 안 보이고, 병이 점점 비어가자 갑자기 내가 죽을까봐 겁이 덜컥 났더란다. "야, 그만해, 그만!" 끌어말렸지만 그 땐 이미 텅 빈 소주병. 멀쩡한 나는 "헤, 내가 이겼죠?"하고는 돌아서 걸었다. 허어.... 하긴, 내가 그날 끝까지 멀쩡했던 것은 아니다. 그로부터 얼마 후, 필름은 끊겼다. 다음 날 동기에게 들으니 호수에서 배 타고 싶다며 한밤중에 물가의 배를 미는 내 다리에 이 녀석, 30분이 넘게 매달려 있어야 했단다. ㅎ...ㅎ...ㅎ...]
소주 한병 가지고 맛이 가다니, 이런 말을 하시는 분이 있을지 몰라도, 한병을 원샷하는 건 밤새 소주 네병을 마시는 것보다 더 힘든 일이다. 내 주위에도 그런 사람은 없고, 내가 아는 어떤 사람이 아는 다른 사람이 그렇게 하는 것을 봤다는 얘기를 전해들었다. 진우맘님의 실력은 다음 글에 나온다.

[음주공적 2탄. 소주 네 병 반. ----- 이것은, 음주공적이 아니라 음주 기록에 가깝겠다. 네 병 반, 내가 마시고도 필름이 안 끊기고 말짱했던 최고 기록이다. 명지대 원어 연극을 구경갔던 뒤풀이, 친구와 나는 왠지 그 날 술이 잘 받았다. 빠른 속도로 신나게 먹고 있는데, 내가 얼추 추정한 것이 네 병 반. 더 먹을 수 있었지만 처음 가 본 동네에서 차 끊길까봐 그냥 일어나야 했고, 평소 주량을 한참 오바했는데도 말짱하게 집으로 돌아왔다. 심지어, 다음 날 새벽, 어설프게 술이 깨면서 잠까지 안 와서 5시 반에 일어나 목욕탕까지 갔다. <주량>의 정의는 자신을 책임질 수 있는 평균 음주량일 것이다. 그러나, 혹여 주량이 마시고 취하지 않을 수 있는 최대치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면, 내 주량은 그 때 소주 네 병 반이었던 것이다. -.-]
집 근처였다면 아마도 다섯병을 넘게 마셨을 것이다. 고려대 농구감독이던 박한 씨는 셋이서 99병을 마시고 100병을 채우려고 가게를 헤매다 통금에 걸렸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지만, 보통 사람에게 다섯병은 거의 치사량이다. 그런데 그 갸냘퍼 보이는 진우맘님이 바로 그 전설의 다섯병을 마시는 분이였던 것이다. 하지만...다음 글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일찌감치 속이 가서 대학 2학년 무렵부터는 은퇴 선언을 해야했다. 내 음주 전성기는 짧고도 화려했던 것"
하지만 사자는 속이 가도 사자이고, 사자는 아무리 배가 고파도 풀을 뜯지 않는 법, 진우맘님이 다시 날라올라 커다란 날개로 세상을 어둡게 할 그날이 언젠가는 올 것이다. 왕중왕의 강력한 후보로 등록.

5. 앤티크님
[나는 주량이 소주 반병 남짓 되는터라, 두사람이서 한병을 채 비우고 오지 못할 때가 많았다. 혈기왕성할 땐, '아까운 술을 이렇게 남길수야 없지!'라며 남은 술을 어떻게든 들이붓고 흩어졌지만, 한해 한해 지날수록, 몸도 따라주지 않고, 괜한 오기인 것만 같아, '음, 왠지 마음이 안좋은데'라며 술이 조금 남은 병을 뒤로 하고 돌아서곤 했었다]
앤티크님은 전형적으로 술을 못하시는 분이다. 반병이 한계고, 그나마도 '몸이 따라주지 않'아 그만 두었으니 말이다. 탈락.

6. 파란여우님
낭만과 풍류를 아시는 파란여우님은....[의외로(?) 술을 잘 못한다. 소주는 2잔이상, 병맥주는 글라스로 2잔, 생맥주는 500cc, 양주는 스트레이트 잔으로 1/3 이상 마시면 치사량이다. 취하는 첫번째 증상, 어지럽다. 둘째, 다리가 공중에 붕 뜬것처럼 가벼워 진다. 셋째, 졸립다. 넷째, 실실 웃으며 횡설수설한다. 다섯째, 머리가 아파진다. 여섯째, 아무대나 기대어 자야 한다...]
사실 술을 못하는 건 부끄러운 게 아니다. 밥을 많이 먹는 게 자랑이 아니듯, 술을 많이 먹는 것도 자랑은 아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술을 잘하는 사람 중엔 나쁜놈이 없다느니 하면서 술을 못마시는 사람을 나쁜 사람으로 몰아붙이는 경향이 있다. 앤티크님, 우주님, 파란여우님, 세상은 술 말고도 많은 즐거움이 있답니다. 기죽지 마시고 즐겁게 사시길! (참고로 술 못마시는 사람을 나쁜 사람으로 몰아붙이는 사람은 바로...나다!)

7. 마냐님
기자와 술을 연결시키는 사람이 많다. 현직 기자이신 마냐님은 과연 술을 얼마나 마실까? 마냐님의 말이다.
[안타깝게도 나는 술이 싫다. 대학시절 내 주량은 대충 소주 2병 정도인듯 하다. 하지만 그 시절 단 한번도 정신을 잃어본적도 없구 늘 동기, 후배 챙기는게 내 몫이었느니...뭐 따질 것두 없다..다만 그 시절 김치찌게에 소주..그 것만으로도 늘 즐겁게 술독에 퐁당 빠졌다]
아니 소주를 두병이나 마시고, 즐겁게 술독에 빠지셨던 분이 왜 술이 싫다고 하는 걸까? 다음 대목을 읽어보자.

[내가 술을 싫어하게 된 시발점. 당시 우리 캡(사회부 경찰기자 우두머리다)은 술을 무척이나 좋아했구..대략 주5회 정도 술을 마셨던 거 같다. 물론 거의 날마다 폭탄을 돌렸다. 더구나 울 캡의 특징은 '점호'. 대략 자정부터 사람을 챙겼다. 없는 놈, 즉 달아난 놈이 있으면 남아있는 모든 인간이 피곤한 밤을 보내야 했다. 정말 쪽팔리지만..캡의 랜드로바에 술을 돌리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고 끔찍하다...

이어 어찌저찌 돌다가 K부장을 모시고 경제부 기자 하던 시절. 그 전설적인 K부장은 폭탄주 기본이 10잔이었다.(99년이던가..K부장은 360일 폭탄을 마셨다고 했다) 나두 당근 10잔을 마셨구..나머지는 잘 모르겠다. 내가 술 좀 한다 했지만 사실 10잔 마시면 죽는다. 난 대체로 3~4잔 마신뒤부터 슬쩍 빠져나가 목구멍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었다. 그런 식으로 10잔 버틸때까지..2~3번은 오바이트 하면서 계속 마셨다. 뭐, 그 당시만해도 나 혼자 홍일점인데...못 마신다고 빼기도 뭐했구...어쨌거나 버티는게 낫다고 생각했다. 그럭저럭 기자 술자리 10년 경력 쌓고 나니..정말 술이 싫다]
그렇다. 아래 사람들을 술로 괴롭히는 상사들이 즐겁게 술을 즐기던 마냐님을 술에 대해 혐오감을 갖도록 만든 거다. 아니 그 아까운 술을 왜 억지로 먹인담? 술을 누가 쏟을까봐 소주 한잔을 따르고 난 다음에도 일일이 뚜껑을 덮는 나로서는 그렇게 술을 낭비하는 게 이해할 수 없다. 돈까스를 내가 두 개 먹었으니 너도 두 개 먹어라, 이렇게 억지로 먹으라고 강요하는 사람은 없다 (사실은 있다...). 그런데 술은 왜 그러는 것일까? 타고난 저마다의 능력과 소질이 다른데. 난 정말 그런 사람이 싫다. 술을 잘 마시는 나도 그러는데, 술을 못마시는 사람은 회사 생활이 얼마나 싫을까? 마냐님, 거의 병영사회에 가까운 우리나라에서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마냐님의 아드님은 그런 세상을 모르고 살 겁니다.

시간이 그다지 많지 않아 모든 분을 후보로 올리지 못한 것, 사과드린다. 자, 그러면 이분들 중 왕중왕을 뽑겠습니다. 횟수와 무관하게 주량만 가지고 선정을 하겠습니다. 그래서 다섯병을 마신 진우맘님과 10시간을 마신 검은비님이 최종 경합을 벌인 끝에...짜자잔!!!...짜자자자잔!.............진우맘님이 영광의 알라딘 알콜대상 수상자로 결정되었습니다. 짝짝짝!!

상패: 알라딘 알콜대상
내용: 귀하는 타고난 주량으로 소주를 마셔 왔으며, 그 어렵다는 원샷까지 하는 등 몸을 아끼지 않는 투혼을 보여 주셨기에 이 상을 수여합니다.
-성실한 알콜중독 마태우스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마태우스 > 알라딘 알콜대상

 

 

 

 

 

술을 마실 때, 난 늘 이런 말을 한다. "나라도 경제를 살려야 해!" 말은 그렇게 하지만, 내가 술을 마시는 진짜 이유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얘기를 하기 위해 꼭 술을 마셔야 할까? 내 대답은 '그렇다'이다. 남자끼리, 혹은 여자랑 있다해도, 차 한잔을 놓고 서너시간 씩 얘기를 하는 건 영 불편하기 때문이다.

술을 좋아해서 서재 이름도 '참이슬이 있는 서재'지만, 내 주량은 그다지 세지 못하다. 소주 두병이면 기본은 하는 거지만, 결코 잘 마시는 건 아니다. 하지만 이런 건 있다. 누구보다 열심히 술을 마신다는 거. 일년에 300번을 넘게 술을 마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거다. 그런 꾸준함이 있기에 내가 친구들로부터 존경받는 게 아니겠는가?

서재를 돌다보니 알라딘 분들 중에는 굉장한 주당들이 많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걸 알고나니, 술일기를 쓰면서 소주 한두병 마신 것까지 일일이 카운트를 하는 게 좀스럽게 느껴진다 (물론 내가 술일기를 쓰는 건, 술읽기를 통해 우리 사회를 읽고자 함이지만...). 그 주당들 몇분을 소개하고, 왕중왕도 뽑아보도록 하겠다.

1. 검은비님(가명 아님)
검은비님은 예술가다. 예술과 술은 원래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 그래서인지 무지하게 술을 잘하신다. 검은비님이 최근 쓰신 글의 한 대목이다.
[저녁 먹으러 들어가서부터 새벽 5시까지 술을 마셨다. 거의 10시간 가까이.....나도 한 술 하지만 그 인간도 장난 아니였다. 둘 다 이런 저런 얘기하면서 술 마시고 하다보니 창이 훤해졌다. "너처럼 징하게 술 마시고도 멀쩡한 인간 첨 본다. 젊은게 좋긴 좋구나~~!!" 하더니...먼저 두 손 들고 잠자러 자기방으로 돌아갔다. 사실 나도 많이 취해있었지만 난 취하면 바보가 되는 기분이 들어 의식적으로 취기를 몰아내곤 한다. 그러다가 하다하다 막판까지 가면 그냥 기절한다. 하하하...왠만하면 기절전에 집으로 가지만]
새벽 다섯시까지 열시간이나 술을 마시다니! 정말이지 존경스러운 분이다. 자주 술을 안마셔서 그렇지, 한번 마시면 모든 사람을 맛가게 만드는 전설의 검객 검은비님. 왕중왕의 유력한 후보다.

2. 연보라빛우주님
젊음의 패기로 무장한 우주님의 글이다.
[간만에 맥주를 많이 마셨다. 하지만, 기분이 좋았던 고로 시종일관 웃었다. 술버릇 중, 하나는 웃는 거니까. 대부분 술을 많이 마시면, 목소리가 커지고 괜시리 더 웃음이 많아진다. 오늘은 이 첫번째 증세가 나타났다. 여타 다른 증세는 좀 추하다. 친구들에게 전화를 하거나 아니면 가끔 울기도 한다. 기분이 아주 다운되었을 때 그렇다. 대부분은 그냥 웃기만 한다]
글의 내용으로 보건대, 우주님의 주량은 그리 많지는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원래 술을 잘마시는 사람은 독한 술을 좋아하기 마련이다(물론 전 야구선수 김인식 같은 사람은 생맥주를 16,000cc를 마셨다고도 하지만). 아쉽게 탈락!

3. 플라시보님
호걸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플라시보님은 '한술' 하는 분으로 알려져 있는데, 내가 꼭 넘어야 할 벽으로 생각하고 있다. 플라시보님의 글이다.
[우리 네명은 집 근처에 있는 횟집으로 가서 회를 하나 시키고 둘러앉아... 소주잔을 돌리기 시작했다. 소주가 한병에서 두병 다시 네병 다섯병 마구마구 늘어나기 시작했고 급기야 술이 알딸딸하게 된 류모양이 병돌리기를 하자며 발악을 했고 우리는 그때부터 병을 돌리고, 못 먹겠다고 버티고, 흑기사 없냐며 울부짖고, 이건 내쪽이 아니라 니쪽이라며 우기기의 향연을 시작했다. 10시에 시작한 술자리는 그렇게 새벽 2시까지 이어졌고 2시가 넘어서서야 일행들은 집에 가야한다며 슬슬 일어나기 시작했다]
글을 보니 친구분들도 다 한술 하는 것 같지 않는가? 진정한 강자는 조용히 술잔을 비우는 사람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울부짖으면서 마시는 사람이 더 강한 법이다. 플라시보님의 또다른 무용담이다.

[예전에는 그런걸 몰랐었다. 조금 허름한 집에서 소주를 먹는 맛을 말이다. 나는 언제나 깔끔하고 깨끗한 Bar들만 골라 다녔고 병째 마시는 술은 맥주 만으로 족하다고 생각하며 살았다. (양주를 병째 시켜놓고 부어라 마셔라 하는 인간들이 무식해 보이듯 소주도 빈병을 차곡차곡 쌓아가며 마시는건 역시 무식해 보였다.) 그렇지만 이제는 조금 알 것 같다. 흰 와이셔츠에 조끼까지 챙겨입은 예쁜 언니가 아닌 나이 지긋한 아주머니가 서빙인지 손님 접대인지 구분이 안갈 정도로 막 말을 붙이고 먹는 법 까지 상세하게 알려주는 가계에서 소주를 먹는것도 참 괜찮다는걸 말이다....셋이서 대게에 소주를 마셨다. 하도 간만이라서 초장에는 좀 주춤했지만 이내 몸이 소주에 적응하기 시작했다. 이런 저런 얘기를 하면서 우리는 대게 한 접시를 비우면서 소주를 2병에서 3병 그리고 4병으로 이어갔다.  2차로 맥주를 마시러 갔다. 집에 도착하니 새벽 4시였다. 요 근래의 내 생활에서는 드물게 오랫동안 술을 마신 날이었다]
내 약점은 오래 버티지 못한다는 거다. 기껏해야 새벽 두시가 고작이다. 게다가 소주를 마시고 맥주를 마시면-전문용어로 '소맥'이라 한다-십중팔구 필름이 끊긴다. 그런데 플라시보님은 셋이서 4병을 마시고 다시금 맥주를 마셨다니, 나보다 한수 위다. 몸을 만들기 전까지는 대결을 회피하는 게 좋겠다.

4. 진우맘님
진우맘님은 술을 그다지 잘 못마실 것 같다. 연약해 보이는 외모가 그런 착각을 더욱 부채질한다. 하지만 그런 건 아니다. 진우맘님이 쓰신 '음주공적'의 일부다.

[처음 떠난 MT...술이 떨어졌다. 한 학번 선배와 내가 매점으로 술심부름을 가게 되었다. 소주를 사들고 돌아서는데, 선배가 꼬신다. "야, 우리, 이거(소주병) 완샷 한 번 해볼까?" 흠...이 선배에 대해서도 할말이 많다. 가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청개구리 같다고나할까... 왜 그런 제안을 했는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나중 얘기로는, 설마 한다고 할 지 몰랐단다. 당시 나는 그것이 <매우 재미있을 것>같았다.(미쳤지... -.-) "넷!" 대답하고는 "하나, 둘, 셋!" 센 후 병채 꿀꺽꿀꺽 마시기 시작했다. 선배는 반 병을 채 못 마시고는, 내가 금방 그만두겠거니...하며 나를 보고 있었다. 그런데, 멈출 기미가 안 보이고, 병이 점점 비어가자 갑자기 내가 죽을까봐 겁이 덜컥 났더란다. "야, 그만해, 그만!" 끌어말렸지만 그 땐 이미 텅 빈 소주병. 멀쩡한 나는 "헤, 내가 이겼죠?"하고는 돌아서 걸었다. 허어.... 하긴, 내가 그날 끝까지 멀쩡했던 것은 아니다. 그로부터 얼마 후, 필름은 끊겼다. 다음 날 동기에게 들으니 호수에서 배 타고 싶다며 한밤중에 물가의 배를 미는 내 다리에 이 녀석, 30분이 넘게 매달려 있어야 했단다. ㅎ...ㅎ...ㅎ...]
소주 한병 가지고 맛이 가다니, 이런 말을 하시는 분이 있을지 몰라도, 한병을 원샷하는 건 밤새 소주 네병을 마시는 것보다 더 힘든 일이다. 내 주위에도 그런 사람은 없고, 내가 아는 어떤 사람이 아는 다른 사람이 그렇게 하는 것을 봤다는 얘기를 전해들었다. 진우맘님의 실력은 다음 글에 나온다.

[음주공적 2탄. 소주 네 병 반. ----- 이것은, 음주공적이 아니라 음주 기록에 가깝겠다. 네 병 반, 내가 마시고도 필름이 안 끊기고 말짱했던 최고 기록이다. 명지대 원어 연극을 구경갔던 뒤풀이, 친구와 나는 왠지 그 날 술이 잘 받았다. 빠른 속도로 신나게 먹고 있는데, 내가 얼추 추정한 것이 네 병 반. 더 먹을 수 있었지만 처음 가 본 동네에서 차 끊길까봐 그냥 일어나야 했고, 평소 주량을 한참 오바했는데도 말짱하게 집으로 돌아왔다. 심지어, 다음 날 새벽, 어설프게 술이 깨면서 잠까지 안 와서 5시 반에 일어나 목욕탕까지 갔다. <주량>의 정의는 자신을 책임질 수 있는 평균 음주량일 것이다. 그러나, 혹여 주량이 마시고 취하지 않을 수 있는 최대치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면, 내 주량은 그 때 소주 네 병 반이었던 것이다. -.-]
집 근처였다면 아마도 다섯병을 넘게 마셨을 것이다. 고려대 농구감독이던 박한 씨는 셋이서 99병을 마시고 100병을 채우려고 가게를 헤매다 통금에 걸렸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지만, 보통 사람에게 다섯병은 거의 치사량이다. 그런데 그 갸냘퍼 보이는 진우맘님이 바로 그 전설의 다섯병을 마시는 분이였던 것이다. 하지만...다음 글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일찌감치 속이 가서 대학 2학년 무렵부터는 은퇴 선언을 해야했다. 내 음주 전성기는 짧고도 화려했던 것"
하지만 사자는 속이 가도 사자이고, 사자는 아무리 배가 고파도 풀을 뜯지 않는 법, 진우맘님이 다시 날라올라 커다란 날개로 세상을 어둡게 할 그날이 언젠가는 올 것이다. 왕중왕의 강력한 후보로 등록.

5. 앤티크님
[나는 주량이 소주 반병 남짓 되는터라, 두사람이서 한병을 채 비우고 오지 못할 때가 많았다. 혈기왕성할 땐, '아까운 술을 이렇게 남길수야 없지!'라며 남은 술을 어떻게든 들이붓고 흩어졌지만, 한해 한해 지날수록, 몸도 따라주지 않고, 괜한 오기인 것만 같아, '음, 왠지 마음이 안좋은데'라며 술이 조금 남은 병을 뒤로 하고 돌아서곤 했었다]
앤티크님은 전형적으로 술을 못하시는 분이다. 반병이 한계고, 그나마도 '몸이 따라주지 않'아 그만 두었으니 말이다. 탈락.

6. 파란여우님
낭만과 풍류를 아시는 파란여우님은....[의외로(?) 술을 잘 못한다. 소주는 2잔이상, 병맥주는 글라스로 2잔, 생맥주는 500cc, 양주는 스트레이트 잔으로 1/3 이상 마시면 치사량이다. 취하는 첫번째 증상, 어지럽다. 둘째, 다리가 공중에 붕 뜬것처럼 가벼워 진다. 셋째, 졸립다. 넷째, 실실 웃으며 횡설수설한다. 다섯째, 머리가 아파진다. 여섯째, 아무대나 기대어 자야 한다...]
사실 술을 못하는 건 부끄러운 게 아니다. 밥을 많이 먹는 게 자랑이 아니듯, 술을 많이 먹는 것도 자랑은 아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술을 잘하는 사람 중엔 나쁜놈이 없다느니 하면서 술을 못마시는 사람을 나쁜 사람으로 몰아붙이는 경향이 있다. 앤티크님, 우주님, 파란여우님, 세상은 술 말고도 많은 즐거움이 있답니다. 기죽지 마시고 즐겁게 사시길! (참고로 술 못마시는 사람을 나쁜 사람으로 몰아붙이는 사람은 바로...나다!)

7. 마냐님
기자와 술을 연결시키는 사람이 많다. 현직 기자이신 마냐님은 과연 술을 얼마나 마실까? 마냐님의 말이다.
[안타깝게도 나는 술이 싫다. 대학시절 내 주량은 대충 소주 2병 정도인듯 하다. 하지만 그 시절 단 한번도 정신을 잃어본적도 없구 늘 동기, 후배 챙기는게 내 몫이었느니...뭐 따질 것두 없다..다만 그 시절 김치찌게에 소주..그 것만으로도 늘 즐겁게 술독에 퐁당 빠졌다]
아니 소주를 두병이나 마시고, 즐겁게 술독에 빠지셨던 분이 왜 술이 싫다고 하는 걸까? 다음 대목을 읽어보자.

[내가 술을 싫어하게 된 시발점. 당시 우리 캡(사회부 경찰기자 우두머리다)은 술을 무척이나 좋아했구..대략 주5회 정도 술을 마셨던 거 같다. 물론 거의 날마다 폭탄을 돌렸다. 더구나 울 캡의 특징은 '점호'. 대략 자정부터 사람을 챙겼다. 없는 놈, 즉 달아난 놈이 있으면 남아있는 모든 인간이 피곤한 밤을 보내야 했다. 정말 쪽팔리지만..캡의 랜드로바에 술을 돌리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고 끔찍하다...

이어 어찌저찌 돌다가 K부장을 모시고 경제부 기자 하던 시절. 그 전설적인 K부장은 폭탄주 기본이 10잔이었다.(99년이던가..K부장은 360일 폭탄을 마셨다고 했다) 나두 당근 10잔을 마셨구..나머지는 잘 모르겠다. 내가 술 좀 한다 했지만 사실 10잔 마시면 죽는다. 난 대체로 3~4잔 마신뒤부터 슬쩍 빠져나가 목구멍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었다. 그런 식으로 10잔 버틸때까지..2~3번은 오바이트 하면서 계속 마셨다. 뭐, 그 당시만해도 나 혼자 홍일점인데...못 마신다고 빼기도 뭐했구...어쨌거나 버티는게 낫다고 생각했다. 그럭저럭 기자 술자리 10년 경력 쌓고 나니..정말 술이 싫다]
그렇다. 아래 사람들을 술로 괴롭히는 상사들이 즐겁게 술을 즐기던 마냐님을 술에 대해 혐오감을 갖도록 만든 거다. 아니 그 아까운 술을 왜 억지로 먹인담? 술을 누가 쏟을까봐 소주 한잔을 따르고 난 다음에도 일일이 뚜껑을 덮는 나로서는 그렇게 술을 낭비하는 게 이해할 수 없다. 돈까스를 내가 두 개 먹었으니 너도 두 개 먹어라, 이렇게 억지로 먹으라고 강요하는 사람은 없다 (사실은 있다...). 그런데 술은 왜 그러는 것일까? 타고난 저마다의 능력과 소질이 다른데. 난 정말 그런 사람이 싫다. 술을 잘 마시는 나도 그러는데, 술을 못마시는 사람은 회사 생활이 얼마나 싫을까? 마냐님, 거의 병영사회에 가까운 우리나라에서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마냐님의 아드님은 그런 세상을 모르고 살 겁니다.

시간이 그다지 많지 않아 모든 분을 후보로 올리지 못한 것, 사과드린다. 자, 그러면 이분들 중 왕중왕을 뽑겠습니다. 횟수와 무관하게 주량만 가지고 선정을 하겠습니다. 그래서 다섯병을 마신 진우맘님과 10시간을 마신 검은비님이 최종 경합을 벌인 끝에...짜자잔!!!...짜자자자잔!.............진우맘님이 영광의 알라딘 알콜대상 수상자로 결정되었습니다. 짝짝짝!!

상패: 알라딘 알콜대상
내용: 귀하는 타고난 주량으로 소주를 마셔 왔으며, 그 어렵다는 원샷까지 하는 등 몸을 아끼지 않는 투혼을 보여 주셨기에 이 상을 수여합니다.
-성실한 알콜중독 마태우스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붉은돼지 > 무제
토니오 크뢰거 / 트리스탄 /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
토마스 만 지음, 안삼환 외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토마스 만의 소설은 두어 해 전에 <마의 산>을 읽고는 처음이다. 지금 돌이켜 보니 소설의 줄거리도 감감하고 남아있는 특별한 느낌이나 감상도 없다. 골골거리는 환자들이 모인 무슨 요양원에서 벌어지는 이런 저런 이야기를 다룬 소설인데 프리메이슨이 나오고 어쩌고 했던 기억만 조금 난다.

본인의 기억력이 한심한 수준을 넘어 걱정스러운 단계로 접입가경 접어 들었다는 것은 본인 당자로서는 비록 안타깝고 서글프나 어쨌든 거의 명명백백한 것처럼 보인다. <토니오 크뢰거>를 두세장 쯤 읽다가....우리의 주인공 토니오가 학교수업을 마치고 그의 연모하는 동성친구인 한스 짐머와 나란히 집으로 돌아가는 대목 쯤을 읽다가..... 문득 어디서 본듯한 느낌이 슬그머니 드는 것이었는데, 책을 내려놓고 가만 곰곰 궁리를 거듭하던 차에 이문열세계명작산책에서 본 듯하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 서가에서 '성장과 눈뜸'이라는 부제가 붙은 3권을 꺼내어 펼쳐보니 아니나 다를까 거기에 떡하니 <토니오 크뢰거>가 올라가 있는 것이 아닌가. 본인이 이문열명작산책 10권을 3~4년전에 모두 읽은 것은 확실하니 그 안에 있는 토니오 킈뢰거도 읽었음이 분명한데 읽은 책의 제목도 되새기지 못하는 본인의 기억력으로 책은 또 읽으면 무엇하나 하는 슬픈 생각도 드는 것이었다.

본인이 중학교 다닐 때 수집한 영화포스터에 영화 <베니스에서 죽다> 포스터도 있었는데(영화잡지 스크린에서 주로 오려내었음) 그때는 이 영화의 원작이 따로 있는지 또 토마스만이란 작가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도 몰랐다. 포스터에는 동그란 안경을 낀 조금은 소심해 보이는 분위기의 중년남성과 금발에 세라복 혹은 해군복 비슷한 옷을 입고 있는 얼굴이 가름한 미소년(처음에는 여자인줄 알았다.)이 등장하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중년의 남성은 변태 아센바흐이고 소년은 타치오 되겠다. 아센바흐의 타치오에 대한 사랑을 달리 말하자면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동성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지경까지 와 있고 동서와 고금을 두루 살펴보건데 전례가 없는 것도 아니니 뭐 실제상황이라고 해도 미소년 남색 취양이 별 스러울 것도 없겠다. 아센바흐는 헛것을 쫓다가 헛되게 죽었지만 아름다움에 매혹되는 것은 빛나는 두 눈과 감수성을 지닌 인간의 숙명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