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하고 쫀득~한 과학 이야기 생각이 자라는 나무 8
존 그리빈,메리 그리빈 지음, 이충호 옮김, 손창은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나는 지금까지 수학이나 과학에 관한 책들을 아주 멀리하고 문학만 가까이 했다. 5학년이었던가? 처음 접했던 수학책(수학귀신이었던가?)이 너무 재미가 없어서 그랬던 것 같다. 그런데 며칠 전, <수학 교과서, 영화에 딴지 걸다>라는 책을 본 후로부터 그런 편견이 사라졌다. 역시 요즘 책이라서 그런가 개성이 드러나는 톡톡 쏘는 내용이었다. 그 성원에 힘입어 읽은 이 책 역시 기대이상의 재미를 쏴 주었다.

 나는 과학을 싫어하는 편이고(물론 생물은 좋아한다) 관심도 거의 없었다. 당연히 유명한 갈릴레오 갈릴레이나 아리스토텔리스, 아이작 뉴턴은 알고 있었지만 다른 과학자들은 잘 몰랐다. 솔직히 말하자면 갈릴레이나 아리스토텔리스, 뉴턴의 위대한 업적도 대충 알고만 있었고 그들의 사생활이나 그 업적을 남기기 전의 바탕 등은 아예 모르고 있었다. 그래서 이 책은 굉장히 신선했고 많은 정보를 습득하게 되었다.

 나는 아이작 뉴턴이 가장 인상 깊었다. 물론 나의 뇌 주름(요즘 과학시간에 배우는 부분)에서 손꼽히는 몇몇 과학자들 중의 한 명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그가 23살에 엄청난 발견을 했다는 점이 놀라웠다. 또 지금까지 훌륭한 신사로만 알았는데 자신보다 위대한 과학자들을 인정하는 대에 굉장히 인색했고 어느 정도 버릇이 없었다는(로버트 훅에게 보낸 편지의 문장의 뜻을 보자면) 점에 대해서도 놀랐다. 하지만 그가 살아있었던 인간이라는 것이 더 사실적이게 되어 재미있었다.

 이 책은 그들의 업적이나 인간다움을 문장으로 잘 엮어 이해하기 쉽고 또 재미있는 내용이라서 마음에 든다. 하지만 가장 좋았던 것은 바로 비슷한 분야를 연구했던 사람을 계속 이어나가고, 그 이어나감이 문장에서 문장으로 매끄럽게 연결된 점이다. 그 점이 가장 새로웠다. 앞으로도 이런 책들이 많이 출간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