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조세희 지음 / 이성과힘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그 제목에서부터 이미 ‘억압’을 상징하고 있다. 휜 모습으로 선, 작고 볼품없는 난장이. 그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생활에 필요한 최저수준에도 미치는 못하는 저임금과 열악한 환경, 자유가 박탈 된 1970년 사회의 유신 독재 체제를 배경으로, 이 작품은 은밀한 언어로 당시 사회의 문제를 꼬집고 내고 있다.

읽고, 쓰고, 비판할 자유도, 표현할 자유도, 부당한 상황에 대해 호소하고 권리를 외칠 자유도 없었던 비틀어진 사회 안에서, 사람들은 모두 권력이라는 거인 뒤에 초라하게 선 난장이었다. 산업화, 공업화라는 과제를 안고 급하게 선진국을 쫓기 위해 쉼 없이 달음질을 하는 동안, 그 뒤에 선 난장이들의 등은 더욱 굽고 작아지기만 할 뿐이었다.

그 때. 달나라로 떠나기를 희망하면서, 난장이 ‘김불이’는 그 시대 사회의 부조리와 어두운 권력의 산 유물이었던 커다란 공장의 굴뚝에 서서 힘껏 공을 쏘아 올린다. 그러나 달의 근처에도 닿지 못하고 크게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져버린 공처럼, 난장이도 결국 공장 굴뚝에서 떨어져 죽어버린다. 여전히 ‘꿈’으로만 남은 그의 미련한 희망이, 안타깝게 불발되어 낙하해 버린 것이다.

어두운 골목 한 귀퉁이에 떨어져, 어린아이들의 장난감이 되고 결국 망가지거나 썩어버릴 공. 그러나 그가 공과 함께 쏘아 올린 어리석은 희망은, 사람들의 의식을 일깨웠다. ‘자각하라.’, ‘일어나라.’, ‘대항하라.’, ‘쟁취하라.’ - 그의 작은 공은 그렇게 커다란 희망과 뜻을 품고 하늘에서 신의 소리처럼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그리고 30여 년. ‘1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이 떠돌 정도로 급속도로 변해가는 최첨단 과학의 21세기, 작은 우주선을 빌려 무엇이든 달까지 쏘아 올릴 수 있는 꿈같은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문명이 발전한 만큼, 우리는 경제적으로나 혹은 문화적으로 이전보다 많은 것을 누릴 수 있게 되었지만, 그러나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많은 난장이들로 붐벼댄다. 여전히 성황 하고 있는 빈익빈 부익부, 미해결 된 복지문제, 적당히 현실과 타협하며 사는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들은 경제적으로 훨씬 뒤쳐졌던 그 70년대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확실히 현실이라는 벽은 너무나 거대하고 또한 높아서 그 끝을 가늠할 수 없는 경우도 더러 있다. 높은 사다리를 만들어 오르고 또 올라도, 중도에 힘이 다 해 결국 바닥으로 떨어질 만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겨우 흠집을 낼 정도라고 하여도, 우리는 그 벽을 부수기 위해 커다란 망치를 들어 쳐내려야 한다. 벽 어딘가에 부딪혀 다시 떨어진다 해도, 작은 공 하나를 그 위로 힘껏 던져 보아야 한다.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기술’이나 ‘과학’이 아니라, ‘희망’이기 때문이다.

변화 한다는 것, 변화 시킨다는 것은 의외로 아주 쉬운 일이다. 단단해 보이는 벽의 가장 낡은 곳을 찾아 힘껏 내리치고, 가장 낮게 내려앉은 곳을 향해 공을 던져보면, 그 작은 시작이 사람들의 의식을 일깨우고 마음을 움직여 함께 할 수 있게 된다. 벽을 때리는 망치가 두 개가 되고, 아흔 개가 되고, 백만 스무 개가 된다. 공을 더 높이 던질 수 있게 사람들이 탑을 만들고, 단단한 사다리를 만들고, 쏘아 올릴 수 있는 기발한 발명품을 만들어 낸다.

희망이란 그런 것이다. 실패를,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고 ‘과정’이라고 여기는 것, 불가능이 없다고 믿는 것. 내가 죽은 후에라도, 언젠가는 이 벽이 허물어질지 모른다는 믿음. 나는 지금, 작은 공을 손에 쥐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짝반짝 빛나는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서불안의 알코올 중독자 아내 쇼코, 호모 남편 무츠키, 무츠키의 애인 곤. 이야기는 쇼코과 무츠키의 1인칭 주인공 시점이 번갈아져 나오며 전개 된다. 크나큰 사건도, 커다란 줄기의 줄거리도 없는 너무나 평이롭고 일상적이게 이어진 '평범한(?) 연애 소설'.

처음, 쇼코의 시점에서 쇼코와 무츠키의 어긋난 관계를 알게 되고 나서는 어쩌면 이것은 매우 극단적이고 폐쇄적인 극한 '비주류'의 암울함을 쓰다듬는 커다란 손 같은 것일지 모른다고 추측하였다. 쇼코와 무츠키는 서로가 하나씩의 (어찌보면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는) 단점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는 것과, '부모님의 기대를 위해서' '지금 상황에서 도망치기 위해서' 하나의 '탈출구'로 합의 하에 결혼을 한 이상한 부부다.

쇼코는 자신의 감정을 억제할 줄 모르는 데다, 정서불안과 알코올 중독으로 때때로 아무렇게나 솟구치는 감정을 억제하지 못해 엉엉 울거나 마구 물건을 던져 부숴버리고, 무츠키는 그런 아내를 가여워 하면서 13년이나 사귄 '곤'이라는 남자와 연예관계를 계속 이어나간다. 상황도, 인물도, 그야말로 극단적인 설정. 그러나, 막상 그들이 풀어 나가는 이야기는 그러하지 않았다.

무츠키는 이해심도 동정심도 많은, 매우 성숙한 어른이고. 쇼코는 무츠코에게서 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을 즐거워 하는 순수한 여자다. 둘은 서로의 단점을 '이상하다' 라거나 '이해할 수 없는 부류' 라고 생각하지 않고 진심으로 서로를 감싸안아 준다. 어쩔 수 없이 선택하게 된 결혼생활을, 그들은 꽤나 평이롭고 순수하게 이끌어 나간다.

-무츠키가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쇼코의 부모측이 알게 된 후, (그것이 원인은 아니었지만) 곤이 떠났다. 쇼코는 발을 동동 구르며 '어떻게 하면 좋지, 얼른 찾아 나서야 해.'하고 성급하게 자신을 몰아가는데, 무츠키는 오히려 담담했다. '곤이 자신을 떠나갈 리 없다.'는 생각에서 온 여유다. 무츠키는 또한, 쇼코의 부모측에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말하는 것. 즉 진실을 말하는 것에 대해 조금도 두려워 하지 않는다. 이 두가지를 기반으로,(또한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나는 진심으로 무츠키라는 캐릭터에 반해버렸다.-

쇼코와 무츠키가 서로에게 관대한 것은, '나도 저사람처럼 단점을 가지고 있으니 하는 수 없지'따위로 생각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저런 것을 가지고 있을수도 있지 뭐'라고 서로를 진정으로 이해하기 때문인 것일까. 방금 겨우 책을 한 번 읽은터라 나는 그것을 정확히 추측해낼 수는 없지만, 아무튼 그들은 어쩌면 유일하게 진정으로 서로를 이야기하고 기댈 수 있는 상대를 만난 것인지 모른다.

그들이 정말로 행복한지는 알 수 없다. 쇼코는 정서불안이라는 정신병(물론 이것이 그리 심각한 상태는 아닌데다 치료가 가능하다고 하지만)으로 사랑하던 사람을 잃었고, 무츠키는 곤을 아무리 사랑해도 '결혼'이라는 '사랑의 약속'을 할 수 없다. (결혼은 구속이나 속함, 감옥과도 같은 삭막한 이미지가 여럿 있지만 그 둘이 사랑의 최고조에 달했다는 하나의 징표가 된다고도 생각한다.) 곤은 무츠키에게 '쇼코와 자라'는 둥의 말을 아무렇지 않게 하는 여유로움을 과시하고 쇼코와도 남매처럼 친하게 지내지만, 나는 그러한 곤이 정말로 '아무렇지 않은지'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그러나 참으로 따뜻했다. 그들의 이야기는, 어찌보면 이해하기 힘든 '이상한 사람들의 일상'인데, 그것이 너무도 따뜻하고 포근해서 책을 덮는 순간 묘하게 웃음이 띄워졌다. 접하면서 뇌리를 스치는 많은 의문을 잠시나마 한번에 덮어줄 수 있을 만큼, 가슴속에 몽글하게 뭉쳐 부풀어 오르는 이 따뜻함은 너무도 기분 좋은 선물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