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여성의 숨겨진 욕망 - 믿음에 갇힌 여자들
제럴딘 브룩스 지음, 황성원 옮김 / 뜨인돌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이슬람하면 흔히 떠오르는 것은 여성들이 온 몸을 가리는 ˝차도르˝라는 천이다. 그것을 ˝스스로 썼나, 아니면 씌워졌는가˝ 는 혹시 기회가 되면 가장 먼저 묻고 싶은 외부인의 가벼운 호기심이기도 하지만, 비이실람이 이슬람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질문이기도 하다. 실로 많은 비이슬람 국가에서 이슬람에 대한 몰이해로 히잡이나 차도르 착용을 규정상 금하여 그들에게 ˝답답한 천을 벗어날 자유˝를 주려다 ˝히잡을 쓸 자유˝를 요구당하는 역풍을 맞기도 한다.

이슬람하면 이 천을 가장 먼저 떠올리는 건 비단 외부인만은 아닌 것 같다. 이슬람인도 이슬람 국가를 여행하는 외국 여자를 보면 ˝왜 히잡을 쓰지 않느냐˝는 질문을 먼저 하기 때문이다.
이슬람 문화 이해에 핵심이슈가 되어버린 차도르. 그리고 그 천 안에 있는 여성. 이 책은 그 천을 벗어나고자 하는 이슬람 여인, 그 안에서 나올 생각을 해본 적 없는 여인, 그 천 속으로 들어가려는 여인을 다양하게 보여준다.

이슬람 종파가 시아파와 수니파로 갈라진 배경은 여성(아내 아이샤와 딸 파티마)때문이라고 한다. 지금 이 두 파는 골이 굉장히 깊다. 한때는 종파를 가를 정도의 영향력이 있었던 여성들은 오늘날 완전한 약자가 되어 있다.

˝유엔의 세계 여성의 날에 참가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여성 대표는 모두 남성이었다.˝는 웃픈 일화는 이슬람국가 중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가 얼마나 보수적인지 말해준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안 그런 여성이 더 많다지만 사우디아라비아 여성은 차도르로 온 몸을 가리고 다녀야 한다. 몸의 굴곡이 보이면 남자가 성적 유혹을 느낀다는게 그 이유다.
그렇다. 불합리하게도 차도르는 사막의 햇빛과 모래바람을 차단하는데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언자 무함마드가 부인을 너무 많이 들였고 그 부인들에 대한 추문이 일자 ˝예언자의 아내들은 커튼 뒤에 있게 하라˝는 계시를 받았는데 그 후 예언자의 아내 뿐 아니라 모든 여자들을 커튼 뒤에 있게 한 것이 차도르의 기원이다. 만약 햇빛과 바람을 차단해야 했다면 바깥 생활을 거의 안하는 여성보단 남성이 차도르를 착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라는 게 작가의 주장이다.

불합리한 것은 이 뿐만이 아니다. 일부 이슬람 국가 여성은 남자의 허락없이 일을 하거나 외출, 외박, 해외 여행을 할 수 없으며 잘못한 경우 남편에게 맞을 수도 있고, 외도와 같이 집안의 명예를 더럽혔다고 판단되는 경우 여성이 살해당하는 일도 많다.

이런 일방적이며 폭력적인 사회에 대해, 이슬람 여성들은 불만이 많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모든 이슬람 여성이 그렇게 느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충격이었다. 어느 정도인지 모르겠지만 남성 뿐 아니라 여성들도 그런 불합리한 전통을 옳다고 굳게 믿는다. 이것은 이슬람 사회의 여성에 대한 불합리한 제도를 변화시키는데 걸림돌이다.
예를 들면 더운 날씨에도 땀을 뻘뻘 흘리며 온 몸을 가려야 하는 것을 나는 억압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보수적인 여성들은 몸의 굴곡을 드러내는 것을 스스로 부끄럽게 여겨 온 몸을 차도르로 가린다고 한다. 굳이 이해해보자면 아마 우리나라 여성들이 브래지어를 하지 않고 외출할 때와 비슷한 부끄러움이겠거니 짐작해 본다. 그러나 차도르 착용 외의 억압은 참 이해하기가 어렵다.

책을 읽으며 전체적으로 내가 여성이므로 훨씬 감정이입이 많이 된다는 생각이 들어, 내가 남성이었다면 이 내용이 어땠을까를 종종 생각해봤다. 좀 상상하기 어렵긴 했지만 내가 남성이었더라도 이런 규칙들에 전적으로 동의하긴 무척 어려울 것 같다. 그 남자들은 여성을 보호한다는 허울 좋은 말로 그 규칙을 정당화하지만, 이건 엄밀히 약자에 대한 억압이다.

여성에 대해 차단막과 은둔생활, 성기절제술을 받아들인 이슬람 문화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참 안전하고 온건하지 싶었다. 하지만 우리도 과거엔 닮은 면이 꽤 있었다. 조선시대 여성들이 쓰개치마로 몸을 가리고 다니거나, 첩을 들이는 것들이다. 요즘은 여성 혐오로 인한 살인이나 성폭력을 포함한 폭력이 눈에 띄게 보도된다. 그리고 여자의 처신 문제라는 후진적 사회인식이 만연하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당연해진 약자들의 자유는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시대를 막론하고 쉽게 허물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400여쪽이 되는 책을 읽다보면 지칠 법도 한데, 이 책은 뒤로 가면서도 계속 흥미롭다. 작가 제럴딘 브룩스는 유대교인데다 여성으로, 중동에서 기자를 하기엔 어려운 조건을 가졌다. 그러나 그 덕에 이슬람과 비이슬람의 대조를 더 선명하게 느낄 수 있지 않았나 한다.
작가는 취재하거나 경험한 것을 주제별로 풀어내고 있으며, 사설처럼 마지막엔 어떻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결론을 덧붙여 놓았다. 끝까지 끄덕이면서 읽는 재미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